학술논문

기업상담 대상자의 상담 선택기준에 의한 유형분석 : 마케팅 믹스 7P를 근거로 / Investigating types of workplace counseling recipient by selection criteria of counseling services: Based on marketing mix 7p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기업상담"
"상담마케팅"
"선택기준"
"마케팅 믹스 7P"
"유형분석"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workplace recipient into selection types and studies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unseling usage characteristics, job burnout, and differentiations of counsel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sub-cluster criteria so that pursues the implication for efficient marketing activities. The survey was implemented during April 2018 till May 2018 and it targets employees who have no experience in counseling, who belong to the companies deploying counseling program and the companies are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web survey has been was applied for the survey tool and 398 employee's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The first is that the cluster analysis with cluster factor which purposes to demonstrate workplace recipient should be sorted into types, has prov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eople factor and product factor throughout sub-clusters. The workplace recipient put high priority on expertise and attitudes of counselor, counseling program and operating program, and confidentiality in selecting counseling. So a cluster called a common factor by combining people factor and product factor.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regards service quality as the highest priority, "Common and Accessibility priority (Cluster 2)" regards accessibility as the higher priority in addition to the service quality. "Common and Simple procedure priority (Cluster 3)" regards simple counseling procedure and various registration access as the higher priority in addition to the service quality. This information should be useful to determine marketing key factors to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group. The second is that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Kai Square verification which are implemen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counseling usage characteristic convinces that "Common and Simple procedure priority (Cluster 3)" and "Common and Accessibility priority (Cluster 2)" have more senior and experienced employees than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while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has junior and less experienced employees than "Common and Simple procedure priority (Cluster 3)" and "Common and Accessibility priority (Cluster 2)". And "Common and Simple procedure priority (Cluster 3)" is higher tendency of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for the further counseling than other two clusters so it is expected that "Cluster 3" is the most likely taking counseling services if the counseling requirements are raised. Differentiated way by considering ages, working experiences, understanding of counseling should help to let recipient take positive attitudes for counseling. The third is that the result of ANOVA which purpose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job burnout according to workplace recipient's type is concluded that emotional exhaustion and cynicism don't correlate with the different clusters but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is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mon and Simple procedure priority (Cluster 3)" in professional efficacy decrease so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is more exposed in job burnout.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is required urgent counseling so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is cluster to get the professional assistance by targeted marketing. The forth is that "Common and Simple procedure priority (Cluster 3)" is higher possibility to take counseling services than "Common factor priority (Cluster 1)" and "Common and Accessibility priority (Cluster 2)" based on ANOVA analysis verification. As the possibility of taking counseling is various depending on where the recipient belongs to among sub-clusters, differentiated marketing efforts per sub-cluster should be considered. Additional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ommon factors of recipient’s decision for taking counseling per sub-cluster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and marketing strategi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erms of investigate recipient not a common group but each type of sub-cluster. It develops a survey from for the workplace counseling based on selection factors by utilizing marketing mix 7P and enables companies which plan to deploy counseling program to build up efficient marketing plans by utilizing this research result. For those who have already deployed counseling programs also refer this research to promote marketing activities to populate counseling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the reference research for the additional workplace counseling research.
본 연구는 기업상담 대상자를 상담 선택요인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하위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및 상담이용관련 특성, 직무소진, 상담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홍보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서울·경기지역회사 중 기업상담 서비스를 도입한 회사의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때, 상담 경험이 없는 직원으로 국한하였다. 설문조사는 웹 서베이(web survey) 방식으로 하였고 최종 39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상담 대상자들이 하위유형으로 구분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담 선택요인을 군집변인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군집에서 공통적으로 사람요인과 제품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상담 대상자들은 상담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상담사의 전문성과 태도, 상담프로그램 및 운영방식, 비밀보장 준수를 중요한 기준으로 보았다. 그래서 군집을 명명할 때 사람요인과 제품요인을 합쳐서 공통요인이라고 하였다. 군집의 특징을 살펴보면, ‘공통요인 중시’(군집 1)는 서비스 품질(quality)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였고, ‘공통요인과 접근용이성 중시’(군집 2)는 서비스 품질 외에 상담실이 찾기 쉽거나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등의 상담접근이 용이한 것을 중요시 하였다. ‘공통요인과 상담절차의 간편성 중시’(군집 3)는 서비스 품질 외에 상담예약 절차가 다양하거나 상담신청 절차의 간편성 등 상담절차가 편리한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집단별로 상담을 고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요인을 홍보시 어필하면 기업상담 대상자에게는 유용한 정보가 되어 상담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기업상담 대상자의 하위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및 상담이용관련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한 결과, ‘공통요인과 상담절차의 간편성 중시’(군집3)와 ‘공통요인과 접근용이성 중시’(군집 2)는 ‘공통요인 중시’(군집 1)에 비해 연령대가 높고 경력이 많은 시니어 계층들이 주로 속해 있고, ‘공통요인 중시’(군집 1)는 주로 연령대가 낮고 경력이 적은 주니어 계층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요인과 상담절차의 간편성 중시’(군집 3)가 상담서비스에 대한 이해도와 추후 상담이용 의향에서 다른 두 군집보다 높게 나타나 추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가장 상담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기업상담 대상자의 연령, 경력, 상담에 대한 인식을 달리 갖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홍보방안이 상담에 호의적인 태도를 갖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업상담 대상자의 하위유형에 따라 직무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 소진과 냉소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업효능감 감소에서는 ‘공통요인 중시’(군집 1)가 ‘공통요인과 상담절차의 간편성 중시’(군집 3)보다 평균점수가 높아 직무소진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통요인 중시’(군집 1)가 가장 상담이 시급한 대상임을 알 수 있었고, 이들에게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개입에 주력을 해야 한다. 넷째, 기업상담 대상자의 하위유형에 따라 상담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공통요인과 상담절차의 간편성 중시’(군집 3)가 ‘공통요인과 접근용이성 중시’(군집 2)와 ‘공통요인 중시’(군집 1)보다 상담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에 관심이 어느 정도 있느냐에 따라 상담이용 가능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유형별로 관심이 가는 주제로 상담을 알리는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또한 각 하위유형별로 상담 선택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하위유형의 특성과 마케팅 전략을 정리하였다.본 연구는 기업상담 대상자를 동일한 집단으로 보지 않고, 하위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마케팅 믹스 7P를 활용하여 기업상담 선택요인 설문지를 개발함으로써 기업상담 대상자가 상담에 기대하는 것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업상담 선택기준에 대한 정보들은 상담서비스를 도입하려는 기업에게 상담운영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과 더불어 홍보방법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기업상담을 운영하고 있는 곳에서는 홍보활동에 여러 가지 함의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보여 진다. 더 나아가 기업상담 마케팅 후속 개입연구를 위한 근거자료로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