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완서 소설 여성 인물의 결혼관 연구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박완서
페미니즘
가부장제
자본주의
결혼관
이혼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 다뤄지는 박완서의 장편소설들은 1970~80년대를 기점으로 만들어졌다. 당시 사회·문화적 배경은 도시 산업화를 중심으로 물질적 가치가 대두되는 시기였다. 게다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잔존하고 있었다. 시대적으로 가정 내에서 요구되는 여성의 역할 및 사회적으로 강요되는 여성의 삶에 대한 시선을 매우 예리하고 심도 있게 그려내고 있다. 어머니 세대의 여성들은 희생과 헌신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가정에서 살림하며 사는 것이 인생의 전부였다. 이에 박완서는 문제를 제기한다. 왜 여자만이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것인가. 남편으로부터 사랑과 존중을 기대하는 것이 지나친 욕심인가. 애정과 양성평등이 기반하고 있지 않은 결혼의 무의미함을 짚어낸다. 그것은 여성인물들이 사회적 시선과 지탄에도 불구하고 이혼을 결심하거나, 일방적으로 참고 살기를 지속하는 양상을 그려냄으로써 문제를 자각하게 한다. 경제 발전과 교육기회의 확대로 여성들은 자아 계발과 사회 진출이 늘어나는 시기에 놓여 있다. 딸 세대 여성들의 결혼은 ‘돈(경제력)’과 ‘가부장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현실을 보여준다. 박완서는 여성의 향상 된 의식에 대응하지 못하는 가부장적 남성과 여성의 대립·갈등을 통해 근본적인 여성문제에 접근한다. 개인의 노력만으로 남녀화합을 이루지 못하는 현실을 ‘이혼’ 혹은 ‘혼자살기’를 택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다. 여성의 자아와 존재 가치가 존중되지 못한다면, 결혼을 통해 남자와 행복하게 살고 싶은 꿈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페미니즘문학은 남성중심적이고 성차별적으로 여성을 억압하는 현실로부터 저항하여 여성해방을 구현하고자 하는 문학이다. 박완서의 페미니즘 문학은 여성의 존재를 억압하는 현실을 그려냄으로 성차별적 여성문제의 심각성을 한국사회에 공론화 시키는 역할을 했다. 박완서가 짚어 낸 여성문제의 근본적 원인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이 연구의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novels by Park Wan-seo during the periods of 1970s and 1980s, and examine the meaning of women’s conflicts in a family to understand more properly what she intended to describe through the episodes. The society during these periods had undergone a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extensive urban industrialization. With an advance of economy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women became more enlightened about the role of woman in a family and a society as a whole, more conscious of the meaning or goals of their life, which led them to take actions to realize their potential. This was, however, at odds with patriarchal ideology which was still lingering onpeople's consciousness and constraining women’s capability and options. The sacrifice of mothers and daughters were taken for granted, and the society preferred their activities rather confined to the domain of home during their whole life. Here Park raises a question why women alone take the sacrifice unilaterally? Is it too greedy to expect love and respect from a husband? Park approaches these fundamental questions through the lens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 between enlightened women and patriarchal men who can not respond to women's improved consciousness. She describes the futility of marriage that is not based on mutual affection and gender equality. Characters of her novels trapped in the conflicts of ideology choose to divorce, despite social accusation and condemnation, and decide to live alone. She emphasizes that the harmony between man and woman in their marriage needs more than efforts in the individual level. Feminist literature attempts to embody women's emancipation by confronting and resisting the male-centered and gender-discriminatory reality that oppress women. Park's novels have played a role in publicizing the seriousness of gender inequality to Korean society by describing the family relationship suppressing the existence of women. The fundamental cause of women's problem that Park pointed out is not yet resolved. In that resp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s an another way of looking at the conflicts in a marriage and eventual divorce, and reminds of how we should approach the issue and what should be done to improve the current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