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정배경 영향의 교과별 차이와 학교급별 작용 시차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Variation of the Effects among Subjects and School Level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논문은 가정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교과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런 영향력이 학교급을 초월해서도 작용하는지 확인하였다. 그동안 가정배경과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다양한 가정배경 변인들이 어떻게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왔으나, 그 영향이 교과에 따라, 학교급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에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관성적으로 교과별, 학교급별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나열하여 보고하는 데 그쳐왔다. 그러나 교과나 학교급에 따라 나타나는 가정배경 영향의 차이를 면밀하게 살피는 작업은 가정배경과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더욱 세밀하게 드러내고, 기존의 재생산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가정배경 변인들이 교과에 따라, 학교급에 따라 어떻게 달리 작용하는지 확인하고, 그런 차이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에 따라 다른가? 둘째, 가정배경은 학교급을 초월해서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를 실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수집한 ‘2010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초등학교 패널 자료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1차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7차년도)시기까지 종단적으로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핵심은 다양한 가정배경 변인들이 교과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의 가정 내 지원과 경험의 효과가 학교급을 초월하여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므로, 동일한 분석모형을 기반으로 각 교과별로, 학교급별로 별도의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 분석의 종속변인은 국어, 수학, 영어 수직척도점수이며, 가정배경을 보여주는 독립변인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문화자본, 사회자본, 공부시간이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으로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지위, 가구소득을, 문화자본으로는 문화활동참여, 월평균 독서량, 책 소유권수, 사회자본으로는 부모자녀대화, 학습간접지원, 부모 간 상호작용을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국어, 수학보다 영어 성취도에 더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아버지 학력, 직업지위, 가구소득이 모두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교과는 영어뿐이었다(모형2 기준). 이는 가정배경에 따른 격차를 가장 줄이기 어려운 교과가 영어라는 점을 보여준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면 단편적인 지원-예컨대 소득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으로는 이런 격차가 해소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다양한 가정배경 변인들은 교과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국어 성취도의 경우 중, 고등학교 시기 월평균 독서량, 책 소유권수의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월평균 독서량이 학업성취도에 중요하게 작동했다. 영어 성취도의 경우 문화활동참여와 부모자녀대화가 중요하게 작용했고, 수학의 경우 학습간접지원과 공부시간이 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런 결과는 각 교과가 갖는 특성들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국어, 영어는 대표적인 재능장에 속하는 교과이다. 재능 교과들은 성공과 실패의 기준이 모호하며, 타고 태어난 재능이 있어야 잘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교과이다. 문화활동참여나 독서를 통해 형성한 문화자본은 다른 교과보다 재능장에 속하는 국어, 언어에서 더 강력하게 작동했다. 반면 수학은 대표적인 노력장에 속하는 교과이다. 노력 교과는 평가의 기준이 명확하고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면 잘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분석 결과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확보하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부모가 지원하고 관리하는 것은 수학 교과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한국 사회에서 수학은 노력 교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교과가 갖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가정배경 변인들의 작용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가정배경이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은 학교급에 따라 달랐다. 초등학교, 중학교 시기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인들은 영어 성취도에만 두루 영향을 미쳤던 것과 달리 고등학교 진학 후에는 아버지의 학력, 직업지위, 가구소득이 전 교과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문화자본 중 문화활동참여는 초등학교 시기 국어, 영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중, 고등학교 시기에 이르면 거의 모든 교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반면 월평균 독서량은 초등학교 시기에는 성취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다가 중학교 이후부터는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사회자본 변인들의 효과는 고등학교 진학 후 대부분 사라지고, 영어 성취도에는 부모자녀대화의 효과가, 수학 성취도에는 학습간접지원의 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활동참여가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을 초월하여, 즉, 시차를 두고 작용할 가능성이 있었다. 초등학교 시기 문화활동참여에 참여한 경험은 초등학교 시기의 성취도뿐 아니라 중, 고등학교 시기의 성취도에도 독립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시기 문화활동참여는 그 당시 학업성취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고등학교 진학 후에는 오히려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효과는 특히 국어 성취도에서 두드러졌다. 이런 결과는 가정배경이 학업성취도에 작용하는 방식을 더욱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를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을 받아들이되 한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중할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의 평가는 각 교과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기보다 반복적인 문제풀이 연습을 통해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논문의 분석에서 드러난 교과별 차이들은 실제 각 교과가 갖는 이론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보여주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는 대학 입시에서 각 교과가 갖는 중요도에 따라 차별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수학, 영어가 대입에서 중요한 교과로 여겨진다면 가정의 전략적인 투자는 이 교과에 집중될 수밖에 없고, 이 경우 가정배경의 영향은 각 교과가 갖는 이론적, 개념적 특성과 무관하게 영어, 수학에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우리 사회의 교과, 평가를 전적으로 재생산의 관점에서 논의해서는 안 된다고 제언한다. 가정배경에 따른 성취도 격차를 줄이는 것은 중요하지만, 동시에 각 교과를 교과답게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논의가 불평등의 관점에 전적으로 매몰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se effects vary among subjects and school levels. In spite of the apparent inconsistence of the family background effects over different subjects and school levels, previous studies of academic achievement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findings. The variation has been treated as incidental and not been investigated further in detail. A more thorough analysis will therefore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how family background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empirically addressed two questions: (1) Do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achievement vary by subject and school level?, (2) Do family experiences during elementary school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Do family experiences during middle school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t high school? Utilizing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se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ree stag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eparate analyses were conducted for Korean, math, and English score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parent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e.,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English scores, while this was not true for Korean or math. This means that narrowing the English achievement gap between advantaged and disadvantaged families is likely to be more difficult than for other subjects. Second, the effects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 varied by subject. For Korean, the amount of reading and the number of books in the household were influential.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nd parent-child conversations were important for English, and parental support for children’s learning and study hours were crucial for math. These findings may be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ubje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Korean and English are often considered subjects that require talent to succeed because of the imprecise nature of the tasks and the uncertainty surrounding what constitutes success or failure(‘talent subjects’). For these subjects, inherited cultural capita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because the criteria used to judge performance are the most diffuse. On the other hand, math is considered to be a subject that primarily requires work and study to succeed because the goals are more precise and the criteria for success are simpler and easier to measure(‘work subjects’). Third, cultural and social capital also had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ll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only for English, while at high school, they were significant for all three subjects.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reading work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ormer had a positive effect on Korean and English at elementary school but a negative effect on all three subjects at middle and high school, while the latter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ny of the three subjects at elementary school but a positive effect at middle and high school. Although most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disappeared by high school, parent-child conversations were significant for English and parental support for children’s learning were significant for math at this level. Fourth,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had a lagged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 had a positive effect on middle and high school grades when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t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ntrolled for.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t middle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middle school grades but a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grade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ime when tracking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outcomes. To further this line of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variation in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by subject and school level be investigated in detail based on the educational and social context of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