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설 『꽃신』의 인간번역과 기계번역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Human Translation and Machine Translation of The Wedding Sho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문학번역
인간번역
신경망 기계번역
번역비교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to analyze error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but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machine translation in literary translation field, by comparing human translation with machine translations to check the repeated and prominent features of machine trans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Korean translation of Kim Yong-ik's English short story The Wedding Shoes, and the machine translations of Naver Papago and Google Translate to identify the major features. Papago and Google Translate are both NMT engines with neural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and have the largest number of users. To compare human translation and machine translations at various language levels,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vocabulary, idioms, sentence-closing ending and honorification, punctuation marks, and other patter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ile human translation is well aware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original text with consistency, machine translations, which have been based on modern language data since the 1980s, do not properly translate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original text written from the 1950s. In addition, errors such as omission and mistranslation are found, and the honorification is not properly handled. Although machine translations have less consistency than human translation and have inappropriately translated the period and cultural background, Papago has more possibility of the machine translation for literary translation by showing the Korean culture-specific translation regarding idioms and honorification compared to Google Translate.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machine translations compared to the human translation based on the entire text from the work, and provides a foothold for enhancing the machine translatio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quality improvement.
본 논문은 기계번역의 오역 분석을 통해 번역 품질의 높고 낮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번역과 기계번역을 비교해 기계번역에서 반복되거나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하여 기존에 낮았던 기계번역의 문학번역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설가 김용익의 영문 단편소설 The Wedding Shoes의 국문 자가번역본 『꽃신』과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 네이버 파파고(Naver Papago)의 기계번역을 비교 분석하여 각 번역의 주요한 특징을 확인한다. 국내, 국외 통번역앱 이용자 수가 가장 많고, 국내 인터넷 포털 점유율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파파고와 구글 번역은 모두 인공신경망 기계번역 기술이 적용된 NMT 엔진이다.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언어 층위에서의 인간번역과 기계번역 비교를 위해 문화고유어휘, 문화고유 관용구, 종결어미 및 대우법, 문장부호, 기타 패턴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간번역은 원작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잘 파악하고 일관성 있는 어휘를 사용하여 번역한 반면, 1980년대 이후 현대의 언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되어 원작의 배경인 1950년대와는 시대적으로 거리가 먼 기계번역의 경우 원작의 고유한 문화적 배경을 적절하게 번역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일부 어휘에서는 누락, 오역 등의 오류가 발생하고 등장 인물의 관계가 고려된 대우법의 사용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기계번역이 아직은 인간번역에 비해 일관성이 떨어지고 시대적, 문화적 배경에 대해 적절치 못하거나 어색하게 번역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구글 번역에 비해 파파고가 한국어 문화권에 특화된 대우법, 관용구 번역을 보여주며 기계번역 간의 차별성을 입증하였고, 또한 문학번역에 대한 기계번역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작품의 일부가 아닌 전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인간번역과 비교하여 기계번역만의 특징을 파악하여 문학번역 영역에서 각 기계번역이 갖는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번역 품질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계번역의 문학번역에 대한 인식 재고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