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용이론에 기초한 사용자 중심의 신규 기능 최적화에 관한 연구 - 커넥티드 카 서비스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User-centered New Features Based on Utility Theor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e connected car market will growsignificantly as cars are anticipated to go beyond mere means oftransportation and transform into new spaces for acquiring informationand consuming content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focused on the service trends and technology related to connected cars,and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from an actual user’sperspective on feature selection to minimize feature fatigue due to thefeature creep of functions and services of connected cars. Thus, this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utility due to variations inpsychological distance based on the construal-level theory, during theprocess of the user’s experience (before/during/after experience) ofnew functions and services they have not previously experienced. The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based on the MFKQ(Modified Fuzzy Kano Questionnaire) in the process of the user’s experience of anew service related to connected cars to quantify the anticipatedutility before the experience, experienced utility during usage, andlastly, remembered utilit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usage,by surveying the satisfaction when the service was applied,dissatisfaction when it was not applied, and the importance of thecorresponding function. Among the three stages of evaluation, virtualreality contents with high user engagement were used in the evaluationfor an effective measurement of the experienced utility. As a result,it was confirmed that services with high utility in all three types arehigh utility services, and can be classified as borderline neutralutility services, which are the cause of feature creep, or minimumutility services.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ful in the futureduring the planning stage for connected car services, as well as newfunctions and servic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 makingpatterns of consumers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userutility, and by support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functionapplication and ordering of priority from a manufacturer’sperspective.
향후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정보를 습득하고 콘텐츠를 소비하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가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커넥티드 카 관련된 서비스 동향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정작 사용자 관점에서의 커넥티드 카와 관련한 기능 및 서비스의 과사양(feature creep)으로 인한 기능 피로(feature fatigue)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기능 선택(feature selection)에 대한 최적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가 경험해 보지 못한 신규 기능 및 서비스를 경험하는 과정(경험 전/중/후)에서 해석수준이론(Construal-Level Theory)을 기반으로 하여 심리적 거리감이 달라질 때 그 효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커넥티드 카 관련된 신규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경험하는 과정 속에서 경험하기 전의 기대효용과 사용 중의 경험효용, 마지막으로 사용 후 일정 시일이 지난 후의 기억효용을 MFKQ(Modified Fuzzy Kano Questionnaire) 기반의 설문조사를 통해 해당 서비스가 적용되었을 경우의 만족 정도와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의 불만족 정도, 끝으로 해당 기능의 중요도를 설문 조사하여 이를 정량화하였다. 세 가지 단계의 평가 중, 경험효용의 효과적인 측정을 위하여 사용자 몰입도가 높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피험자 평가 결과를 정량화 비교하여 기능 선택 관점에서 적용이 필요한 고효용 서비스와, 과사양의 원인이 되는 경계선상의 중립 효용 서비스, 그리고 제거가 필요한 최저 효용 서비스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향후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비롯한 신규 기능 및 서비스 기획 단계에서 사용자의 효용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의사결정 패턴을 이해하고 이를 제조사 관점에서 기능 적용 여부 및 적용 우선순위 결정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