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성 리더십, 개인-직무 적합성, 직무몰입, 역할 내 성과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uthentic leadership, person-jop fit, work engagement, in role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과 개인-직무 적합성, 직무몰입, 조직시민행동, 역할 내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통신회사 매장에서 근무하는 영업사원이며 304개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버전과 AMOS 23.0 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연구모델 검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립변인으로 진성 리더십과 개인-직무 적합성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인은 직무몰입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은 역할 내 성과와 조직시민행동으로 구성하였다. 각 변인에 따른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진성 리더십의 경우 Avolio, Gardner, Walumbwa(2008)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직무 적합성은 Saks, Ashforth(2002)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몰입은 Schaufeli 등(2006)의 UWES-9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은 Williams, Anderson(1991)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역할 내 성과는 Williams, Anderson(1991)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첫째, 진성 리더십은 역할 내 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성 리더십은 직무몰입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역할 내 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직무몰입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몰입은 역할 내 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몰입은 진성 리더십, 개인-직무 적합성과 역할 내 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의 경우 역할 내 성과에 한정해서 연구가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조직시민행동까지 확장하여 연구를 시도했다는 차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직무몰입의 선행변인으로 리더십 유형 중 기존의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카리스마 리더십 등 스킬 중심 리더십 연구에서 진성 리더십이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리더십으로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authentic leadership, person-job fit on in-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a mechanism of the mediation effects of work engagemen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store sales persons working in telecommunication company and final 304 samples were used in our analysis. SPSS 21.0, AMOS 23.0 statistical program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earch model verification,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s, we set authentic leadership, person-job fit as a independent variable and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variable and in role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n dependent variable. As for the measurement tool, followings were used on each topic; on authentic leadership, Aolio, Gardner, Walumbwa(2008)’s measurement tool was used and on person-job fit, Saks, Ashforth(2002)’s measurement tool was used and on work engagement, we used UWES-9(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developed by Schaufeli et al.(2006)’s measurement tool was used and on in-role performance, Williams, Anderson(1991)’s measurement tool was used and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iams, Anderson(1991)’s measurement tool was applied.Here are the illustr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authentic leadership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person-job f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person-job f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Fifth, work engagemen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ixth, work engage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person-job fit and in role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in-role performance variables in the case of person-job fit. However,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we tried to exp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ariable. Second, as a antecedent variable of work engagement, in the skill-oriented leadership research such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charismatic leadership among the types of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extended research as leadership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enterp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