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후기 바둑 취미의 확산과 그 문학적 형상화 / The Spread of Hobby of Playing Baduk during Latter Part of Joseon and Its Literary Embodiment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조선 후기
바둑
국수(國手)
이운영(李運永) 「기장(棋場)
홍현보(洪顯普) 『기보서(棋譜序)』.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game of Baduk had its Renaissa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when Baduk was not just simple entertainment. There are many specific materials including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to show that people from many different classes developed the hobby of playing Baduk and enjoyed the game during the period. Keeping these in mind,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research as follows: The study first examined how Baduk was perceived and enjoyed during the former part of Joseon and middle Joseon by reviewing both public record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private ones in collection of works by literary figures. The study then introduced the social atmosphere during the years when Baduk was prevalent based on paintings that were in vogue during Joseon. That is, the focus of analysis was on the Baduk parts in "Buddhist scroll paintings" and those in "paintings of stationery or writing materials and books" that were in vogu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Baduk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Joseon is well depicted in literary works by literary figures. The literary topics of such works are mainly divided into the hobby of playing Baduk, Baduk controversies, and life of Baduk.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a large number of Baduk players that were commoners appeared, and their lives were written in many biographies.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patrons during the years. Before reviewing the Baduk literature in full scale, the study arranged the genealogy of Baduk players clearly and analyzed the viewpoints of Baduk players in the eyes of people around them. 󰡔YeongMipyeon (𤃡尾編)󰡕 by Lee Woon-yeong(1722∼1794) with the seven principles of Gijang and 「Giboseo (棋譜序)」 by Hong Hyeon-bo(1815~?) provide valuable materials about episodes of Baduk players and profound thoughts of Baduk. Both the original texts and their translations were included in the appendix. The scope of discussions encompassed verse literature as well as prose literature. The viewpoint of Baduk those days was sorted out through Chinese poems telling a Baduk story. These literary works reflect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ewpoints of Baduk. Many of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e stud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aduk culture and its aspects. In other words, the Baduk cultur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is depicted vividly in Chinese poems, prose works, and paintings. There is a saying, "Baduk is a microcosm of life." An understanding of the Baduk cultur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will build a foothol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ose times.
조선 후기는 바둑의 르네상스 시대였다. 이 시기에 바둑은 단순한 오락이 아니었다. 조선 후기에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바둑을 취미로 삼고 향유 한 현상이 당시 문학 작품과 회화 등 다양한 영역에 구체적으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조선 전기와 중기에 바둑을 어떻게 인식하고 향유 하였는지를 살폈다. 이를 위해『조선왕조실록』이라는 공적 기록과 문인의 문집이라는 사적 기록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시대에 유행한 회화를 통해 바둑이 성행한 당시 사회 분위기를 소개하였다. 즉, ‘탱화’에 그려진 바둑 장면과 조선 후기에 유행한 ‘책가도’에 그려진 바둑 장면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선 후기의 바둑 문화는 특히 문인들의 문학 작품에 잘 드러난다. 문학 주제는 크게 바둑 취미, 바둑 논쟁, 그리고 바둑 인생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평민 출신의 바둑 기사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그들의 삶을 담은 傳記가 다수 창작되었다. 이 시기 패트런의 존재도 눈여겨보아야 한다. 본격적으로 바둑 문학을 검토하기에 앞서, 바둑 기사들의 계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주변에서 기사들을 바라본 시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李運永(1722∼1794)의 󰡔𤃡尾編󰡕의 실려 있는 「棋場」 7칙과 洪顯普(1815∼?)의 「棋譜序」는 바둑 기사에 관한 에피소드 및 바둑에 대한 심오한 생각을 담은 귀중한 자료로 새로운 자료이므로 그 원문과 번역을 모두 부록으로 실었다. 논의의 범주에는 산문 문학뿐만 아니라 운문 문학도 포함하였다. 곧 바둑 이야기가 담긴 한시 작품을 통해 당시 바둑을 바라본 시각을 정리하였다. 이상의 문학 작품에는 바둑에 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함께 보인다. 본 논문에서 소개한 자료에는 바둑 문화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바둑 문화가 한시, 산문, 그림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될 것이다. “바둑은 인생의 축소판이다”라는 말이 있다. 조선 후기 바둑 문화의 이해는 조선 후기 시대상 이해로 나아가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