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 적응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고려인센터의 교육복지사업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 Focusing on Education Welfare Project of the Community Center for Koryeoi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
다문화
문화적응
교육복지
질적 사례연구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of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in terms of their adjustment to Korean society and to determine directions for education welfare project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pursuit of these objectives. First, what difficulties do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face while adjusting to Korea? Second, what effects do education welfare projects have on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Third, what educational needs faced by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can be met to help them adjust to Korea?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by interviewing four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and two teachers who participate in an educational welfare project in a Koryeoin community center in Gyeonggi Province and analyzing their responses.This study revealed that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Korea. First, they had minimal exposure to Korean culture and language before immigrating to Korea, which made the early stages of their immigration difficult. Some of them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because they had educational difficulties due to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barriers. Many had difficulty planning for their futures because they were uncertain of their visa status. Many also suffered from identity crises by not being able to stably settle in either their home countries or in Korea. Many were also intimidated by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Next,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welfare activities at the Koryeoin community center on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adjustment to Korea was examined. Participation was shown to help them develop friendships and engage in competition with other Koryeoin adolescents. Moreover, contributing to the Koryeoin community helped them to assure themselves of their identity and to gain confidence. This process helped them grow to become democratic citizens and adjust to Korean society. By experiencing small and large achievements and developing their abilities, they explored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nd. They developed an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with their local community by communicating with it.Last,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needs that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needed to have met to adjust to Korea.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have a limited range of experiences and face difficulties in gathering information due to language barriers so they need career-oriented education paths that correspond with their situation. They need high-quality bilingual education to develop their bilingual abilities to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to help build a future career. Helping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to cultivate relationships will help them adjust to their lives in Korea. Providing opportunities and spaces for Koryeoin immigrant adolescents to create their own educational materials will help inspire their leadership skills. It is important that they have access to an integrated support network in their local communities to help them form a sense of solidarity that will help them to overcome the obstacles that they face.
본 연구는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이 한국 적응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교육복지사업 참여를 통한 한국 적응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의 한국 적응을 위한 교육적 필요와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이 겪고 있는 한국 적응에서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교육복지사업의 영향과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한국 적응과 지원을 위한 교육적 필요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A시 A고려인센터의 교육복지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4명의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과 2명의 교사를 만났고 이들의 이야기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한국 적응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우선 한국 이주 전, 한국 문화와 언어에 대해 제대로 접하지 못하여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언어와 사회문화적 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학습부진을 겪어 끝내 본국으로 돌아간 경우도 있었다. 비자 등의 문제로 지위가 불안정하여 진로를 설계하기 어려워하였으며, 본국과 한국 어느 곳에도 안정적으로 뿌리 내리지 못한 채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직간접적인 차별을 겪으며 위축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A고려인센터의 교육복지 활동 참여가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 적응 경험에 어떠한 영향과 의미를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낯선 한국에서 고려인 친구들과 함께 우정과 경쟁을 경험하며 청소년기를 겪어내고 있었다. 그리고 고려인 공동체에 기여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자기존재감을 확인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점차 민주시민으로 점차 성장해가며 한국 사회에 적응해갔다. 크고 작은 성취를 경험하고 여러 능력을 향상시켜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탐색하기도 하였으며,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지역공동체 내에서 소속감이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 적응을 위한 교육적 필요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제시하였다.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은 경험의 폭이 제한적이고 언어 문제로 인해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맞춤형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의 적응과 미래의 진로설계를 위하여 이중언어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질 높은 이중언어 교육 지원도 필요하다. 다양한 관계들을 발굴하여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 관계를 확장 시켜 나가는 것도 한국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주도성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스스로 교육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기회와 물리적인 공간 지원도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 내에 중도입국 청소년 통합지원 네트워크를 결성하여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가진 불리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연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