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 디지털 성폭력 진단과 교육적 해결을 위한 연구 / Analysis of Digital Sexual Violence of Elementary Students and Educational Alternativ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디지털 성폭력
디지털 네이티브
초등학생
성폭력 예방교육
Language
Korean
Abstract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디지털 성폭력의 가해와 피해는 저연령화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 이용률이나 디지털 성폭력 가·피해율이 중·고등학생에 비해 낮다는 이유로 초등학생들이 처한 위험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제는 디지털 네이티브인 초등학생들도 디지털 성폭력의 가해 및 피해 당사자가 될 수 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가해 예방과 피해 학생 보호를 위한 방안을 더욱 면밀하게 고안해내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 디지털 성폭력을 진단하고 초등학교의 디지털 성폭력 예방 및 대응을 분석하여 교육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심층 면접이다. 문헌연구는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실태자료와 교육부 및 17개의 시‧도 교육청의 디지털 성폭력 정책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현직 관리자 1명,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에서 수집된 자료로부터 의미 단위 코드를 추출하여 주제어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디지털 성폭력의 위험요인은 개인·심리적 요인, 문화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다중적으로 작용하여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디지털 성폭력은 ‘놀이와 폭력의 중첩성’, ‘친밀함과 위계성의 모순’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둘째, 디지털 성폭력 예방교육은 ‘알아차림과 주저함’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성(性)이 오랫동안 학교 교육에서 ‘금기적 주제’로 여겨져 왔음에 따라 교사들은 그들의 ‘전문성’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었다.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하고자 교사들은 ‘통섭과 이야기 나누기’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학생에게 일어나는 디지털 성폭력에 대응할 때 노동자로서의 교사와 교육자로서의 교사 역할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역할 갈등 속에서 그들의 행동 유형은 ‘절차대로 진행하기’, ‘기록하기와 관리하기’, ‘믿을 만한 어른 되기’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디지털 성폭력 예방과 교육적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accelerates, the perpetration and damage of digital sexual violence is becoming younger. However, the risk fa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relatively unnoticed because the rate of digital device use or the rate of digital sexual violence is lower than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ow is the time to clearly recogniz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digital natives, can also become perpetrators and victims of digital sexual violence, and devise measures to prevent perpetrators and protect victims more closel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digital sexual violence of elementary students, analyze the prevention and response to digital sexua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seek educational solutions.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The literatur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digital sexual viole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data on digital sexual violence polic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7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e current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 and nine teachers. The semantic unit code was extracted from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classified as a topic wor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individual/psychological factors, cultur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digital sexual viol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igital sexual violenc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e to the multiple effects of these factors is characterized by “the overlap of play and violence” and “the contradiction between intimacy and hierarchy”. Second, while digital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ims at "recognition and hesitation", teachers were worried about their "professionalism" as sex has long been regarded as a "taboo subject" in school education. To overcome practical constraints, teachers has adopted a strategy of "integration and talking" Third, teachers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the roles of teachers as workers and teachers as educators when responding to digital sexua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id the role conflict, their behavior types appeared to be "proceed according to procedures," "record and manage," and "become reliable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asures for preventing digital sexual violence and educational resolu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