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말 일제하 김마리아의 접경 체험과 다중 정체성 / Experience in Contact Zones and Multiple Identities of Kim Maria in the Late Korean Empire under the Rule Japanese Imperialis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wanted to look directly at Kim Maria, a woman who lived in an era. Kim Maria is traditional and modern beyond the turn and live in a position with a figure. She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from the upper class of the local aristocracy, as well as a woman, colonized, and non-Western. Kim Maria, who was on the contact zones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 area, was a contact zoner who experienced contact areas by encount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Christianity, public domain, and American life. As a result, I tried to reconstruct his life wandering in the contact zones and identify his mixed identity. Kim Maria accepted Christianity faithfully and culturally still maintained a Confucian lifestyle. As a result, Kim Maria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that played her role in the family, but was unable to approach the modern Western female image that advocated complete liberation. She had Hyeonmoyangcheo-ism. And Christianity led to the escapement of sinocentrism and national education, which emphasized loyalty, had a national consciousness. Kim Maria who grew up under the Confucian culture is not by vacancy while a suit to the west, China and was able to easily switch to national consciousness. Kim Maria, who was able to interact with independence activists such as Ahn Chang-ho during his school days, and faced direct Japanese public power, including dispersion of army, developed a sense of national consciousness. The formation of Kim Maria's women's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family environment on contact zones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Kim Maria cracked the education of Hyeonmoyangcheo-ism, see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Japan and the West and their practical social participation, but failed to escape completely. Starting with the February 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Kim Maria encountered and clashed in the public domain with a man who could not escape patriarchy. In the early days, the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sought cooperation with them, and after being elected to the Shanghai Provisional Assembly, they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voting rights on an equal footing with men. Kim Maria, who later studied in the U.S., established the Geunhwahoe Association, which w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of women without men's instructions and help, and pioneered her career as a woman after returning to Korea. Kim Maria was not simply absorbed into the activities of the men in public sector. This background played a role in the lives of American women who had seen and learned while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In Kim Maria's eyes, American women proved their existence by behavior and learning rather than verbally calling for women's liberation. Kim Maria wanted to emulate the modern life of Americans who were both working and learning. But at the same time, she experienced racism behind American civilization in the off-school labor market. While adapting to life in the United States, he was a stranger, an Asian, and a contact zoner in the United States. Kim Maria, who had experienced the border in Christianity, the public domain, and the inner and outer space of the United States, showed various layers. Kim Maria, who first found her own territory as a woman, had multiple identities regarding patriarchy. Rather than overcoming patriarchy, Kim Maria accepted some of it and was able to take her place as a woman. Ironically, Kim Maria did not break head-on through patriarchy, so she was able to defend her territory as a female independence activist in the public domain and claim celibacy. The reason why Kim Maria was able to remain single as an individual choice while denying women's liberation was because there was a gap between ideology, reality and practice. Kim Maria, an independence activist, was a figure who sought her identity in the realm of the nation. Nationalism did not simply deprive women of the opportunity to become independent by converging on the great discourse of ethnicity. Kim Maria's idea that women should fulfill their national responsibilities as a member of nation like men was an attempt to expand new areas of activity in a society where most women were trapped in the old family practices. In addition, Kim Maria saw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raising children and making money in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in the public sphere of politics and diplomacy. Kim Maria's national consciousness was firm, but the process of overcoming Western centralism and dualism behind Christianity and Western civilization was necessary. Kim Maria, supported by missionarie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hile facing the double image of Japan. And while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I experienced their modern and racist bare faces. Kim Maria was determined to solidify her Korean identity by comparing herself with other hitters in the U.S. and the West, while also trying to further strengthen her unstable Korean identity, which was not supported by the U.S. but also by her own country as an exile.
본 연구는 한 시대를 살아갔던 여성 한 개인 김마리아를 온전히 조망하고자 하였다. 김마리아는 전통과 근대를 넘어서는 전환기에 살며 다양한 지위를 지닌 인물이었다. 그는 지방 양반 상류계층 출신의 독립운동가인 동시에 여성, 식민지 민, 비 서구인인 이었다. 중심과 주변의 경계에 있던 김마리아는 기독교, 공적 영역, 미국 생활 등 다양한 요인과 접하며 접촉지대를 경험한 접경인 이었다. 이에 접경 공간에 배회하던 그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그 속에서 다양한 혼종적인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마리아는 신앙적으로는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유교 생활방식을 유지했다. 그 영향으로 김마리아는 가정에서 제 역할을 다 했던 전통적인 여성상에서는 벗어났지만 완전한 해방을 주장하던 서구의 근대적인 여성상에는 다가서지 못했던 현모양처 론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기독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중화주의를 벗어나게 해주었으며 충을 강조한 유교적 도덕 관념 내포한 민족 교육은 민족의식을 지니게 해주었다. 유교적 문화 아래에 자랐던 김마리아는 중국을 사대하던 빈자리를 서구로 대치시키지 않고 민족의식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었다. 여기에 학창시절에 안창호와 같은 독립운동가와 교류할 수 있었던 집안 환경, 군대해산을 비롯한 직접적인 일제의 공권력을 맞이한 김마리아는 민족의식을 더욱 키워나갔다. 김마리아의 여성의식과 민족의식의 형성은 기독교와 유교의 경계에 있던 가정환경의 영향이 컸다. 김마리아는 일본과 서구의 교육환경과 그들의 실천적인 사회참여를 보며 현모양처 교육에 균열을 내기도 하였지만,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였다. 일본의 유학생 사회, 2‧8독립선언을 시작으로 김마리아는 가부장적인 모습을 탈피하지 못한 남성과 공적 영역에서 조우‧충돌하였다. 초기에는 남성을 단순히 보조하는 데 그쳤지만 대한민국애국부인회에서는 그들과 협력을 도모하였으며 상해 임시의정원에 선출된 이후로는 그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의결권을 가지고 독립운동에 임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 간 김마리아는 남성들의 지시와 도움 없이 여성들의 독자적인 단체였던 근화회를 만들었으며 환국 후에도 교육자, 전국 여전도회 회장에 임하며 여성으로서 자신의 영역을 개척해나갔다. 공적 영역에서 김마리아는 남성의 활동에 단순히 흡수되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에는 미국 유학을 하며 보고 배운 미국 여성들의 삶이 작용하였다. 김마리아의 눈에는 미국 여성들은 말로써 여성해방을 외치기보다는 행동과 학식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했다. 김마리아는 노동과 학식을 병행하던 미국인들의 근대적인 삶을 본받고자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학교 밖 노동 시장에서는 미국의 문명 이면에 가려진 인종주의를 동시에 경험했다. 미국의 삶에 적응하는 한편 미국이라는 타국에서 자신은 이방인, 동양인으로 접경 인이었다. 기독교, 공적 영역, 미국의 내적‧외적 공간에서 접경 체험했던 김마리아의 내면은 다양한 층위를 보였다. 먼저 여성으로서 제 영역을 찾았던 김마리아는 가부장제에 관한 여러 다중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다. 김마리아는 가부장제를 극복하기보다는 일부 수용하며 여성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김마리아는 가부장제를 정면으로 돌파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적 영역에서 여성 독립운동가로서 자신의 영역을 지키며 독신을 주장할 수 있었다. 김마리아가 여자해방을 부정하면서도 독신을 개인의 선택으로 남길 수 있었던 이유는 이념과 현실‧실천의 간극이 있었기 때문이다. 독립운동가로 활약한 김마리아는 민족의 영역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았던 인물이었다. 민족주의는 단순히 여성을 민족이라는 거대 담론에 수렴하여 주체성을 펼칠 기회를 박탈시킨 것이 아니었다. 여성도 남성과 같이 국가의 일원으로 민족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김마리아의 생각은 가정의 구습에 갇혀있던 여성들이 대다수였던 사회에서 새로운 활동 영역을 넓혀준 시도였다. 또한 김마리아는 정치‧외교의 공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에서 자식을 기르고 돈을 버는 것 또한 독립운동의 목적으로 보았다. 이러한 김마리아의 민족의식은 확고했지만, 기독교와 서구 문명의 이면에 가려진 서구중심주의와 이중적인 모습을 극복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김마리아는 선교사들에게 지원을 받으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그들의 일제의 이중적인 모습을 똑바로 직시했다. 그리고 미국 유학 생활 중 근대적이면서 인종주의를 지녔던 그들의 민낯을 경험하였다. 김마리아는 미국, 서구의 타자와 비교를 통해 조선인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한편으로 미국은 물론이고 망명객 신분으로 본국에서도 지원을 못 받으며 불안했던 자신의 조선인 정체성을 더욱 다져나가고자 했던 의지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