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어를 활용한 말붙임새 창작 활동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for Malbutchimsae Creation using the Jeju Language: Focused on 5th and 6th grade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말붙임새
말붙임새 창작
제주어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붙임새 및 제주어 지도와 관련된 연구물과 교과서를 통해 제주어를 활용한 말붙임새 창작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고찰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군 음악 검정교과서에 8종을 살펴보고, 말붙임새 및 제주와 관련된 지도 요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붙임새를 창작할 때는 장단에 따른 말붙임새 이해 학습을 선행해야 한다. 그리고 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다양한 시수를 확보하여 제주어 이해 학습을 전개한 후 말붙임새 창작 활동을 하도록 지도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말붙임새 창작 단계는 탐색, 모방, 변형, 창작(기보)의 단계로 전개한다. 변형과 창작의 단계에서는 단어와 어구 또는 문장을 바꾸는 수준의 ‘변형 창작’과 제재곡에 드러난 말붙임새의 유형을 활용하는 ‘제한 창작’의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말붙임새 창작 수업 활동은 학습 의지 다지기, 학습 내용 확인하기, 제재곡 익히기, 제주어에 관심 두기, 창작 요소 이해하기, 말붙임새 만들기, 정간보에 기보하기, 창작물 공유하기, 학습 정리하기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제주어를 활용한 말붙임새 창작은 〈너영 나영〉, 〈고사리 꺾자〉, 〈둥당기 타령〉, 〈쾌지나 칭칭 나네〉, 총 4개의 제재곡을 활용하여 11차시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4개의 악곡은 세마치장단, 자진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장단으로 각각 다른 장단의 곡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말붙임새를 창작하여 제주어 가사를 붙일 때 ‘제주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산물 또는 동식물’, ‘가족’을 나타내는 단어, ‘자신의 꿈, 희망 또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덕목’ 이라는 주제와 어휘를 제시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직접 제주어 어휘를 탐색한 후 가사를 만들어 말붙임새를 창작하는 활동을 전개하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의 내용을 제언하였다. 첫째, 제주 민요 또는 제주어를 활용한 음악 수업에 대한 활발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말붙임새와 더불어 선율을 활용한 창작 단계까지 나아간 지도 방안을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별로 지역 방언을 활용한 말붙임새 창작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민요에 관심을 두고 가창, 기악, 감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국악 학습에서 더 나아가 ‘창작’이라는 능동적인 활동 기회가 늘어나길 기대한다. 말붙임새를 창작함으로써 장단에 관한 창의성이 신장할 것이며, 국악 및 제주 관련 요소를 활용한 창작 활동을 통해 우리 지역적인 것을 보전하고 전승하는 효과가 나타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