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현대기 교과서류 출판물의 장정(裝訂) 연구 / A Study on the Bind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Textbook Publication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장정(裝訂)
장황(粧䌙)
제본(製本)
교과서(敎科書)
근현대(近現代)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근·현대기로 설정되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후반에 걸친 시기 동안 교과서류 출판물의 장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장정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19세기 말 조선에는 외세의 침입이 본격화되고 서양의 문물이 유입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변화는 서적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으로 요약되는 ‘장정(裝訂)’에서도 나타나게 되어 이전의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정 양식이 다양하게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부분에 주목해 근·현대기 동안의 교과서를 정리하고 그 특징과 양상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과서란 기본적으로 국가적 차원의 교육 분야에서 제도 수단으로 기능하는 서적류이다. 이러한 존재의 의의 상 여러 역사적·사회적 상황 속에서도 끊기지 않고 꾸준히 출간되어온 출판물이며 보편적 다수가 접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 인해 장정 양식에 동시대의 여러 상황이 반영되는 모습이 쉽게 관찰되기에 장정의 의미를 고찰하기 유용한 대상으로 판단하게 되었다. 전통 시대부터 선장(線裝)의 양식으로 오래 정착되었던 우리나라의 장정은 19세기 후반 서양 재료와 서양식 장정인 양장(洋裝)의 유입으로 이전과는 전혀 다르게 전개되었다. 근대적 개념의 교과서는 19세기 말 처음 등장해 기존의 전통 장정부터 현대의 장정까지를 아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여러 조사를 바탕으로 근·현대기 교과서 장정 양식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특징 등을 정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서적류 유물에서 장정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며 장정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유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새로운 시야를 제공하고 관련한 연구를 장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changes in the binding of textbook public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late 20th century, which was set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e social situation affecting this is examined, an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binding are examined through thi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oreign invasions of Joseon began in earnest and Western culture flowed in, resulting in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This change also appeared in “binding,” which is summarized as a series of processes for making books, and new binding styles began to appear in various forms. By paying attention to these parts, I tried to organize textbook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and grasp thei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Textbooks are basically books that function as institutional means in the field of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Due to the significance of this existence, it is a publication that has been published continuously despite various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and is characterized by a universal majority. As a result, it was easy to observe the reflection of various contemporary situations in the binding form, so it was judged as a useful object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binding. Korea’s binding, which had long been settled in the style of stitched binding since the traditional era, developed completely differently from before due to the influx of Western materials and Western-style bindings in the late 19th century. Textbooks of modern concepts first appear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are characterized by ranging from existing traditional bindings to modern binding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investigations, the binding styl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textbooks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process,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binding in books and relics, an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binding.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judging the value of artifacts and encourage relate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