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e self-harm in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대인관계 스트레스
비자살적 자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청소년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거주하는 남녀 청소년 중 상담 기관에서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3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립된 310명의 자료를 가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비자살적 자해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가족관계 및 동성친구관계 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부분매개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가족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며, 동성친구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즉,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는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용의 문제 때문이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 하였으며,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whether it serves as a mediator of a strategy for controlling cognitive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e self-harm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youth's understanding of non-suicide self-harm. To this end, with 310 data establish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311 men and women of youth living in Busan, desc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on-suicide self-harm,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addition, interpersonal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on-suicide self-harm,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eco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in a family relationship, friend's relationship and non-suicide self-harm. In addi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in a family relationship and non-suicide self-harm,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in a friend's relationship and non-suicide self-harm. In other word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e self-harm. It was possible to draw this conclusion that the non-suicide self-harm of youth through the above results was due to the problem of the use of strategies for controlling cognitive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interpersonal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