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종단 관계 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및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RCL and LG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인지조절능력
학업 성취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잠재성장모형
종단 분석
다집단 분석
Language
Korean
Abstract
ABSTRACT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RCL and LGM Kim, Dong Joon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us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ARCL) and the Latent Growth Model(LGM).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pplied to the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Nowadays Computer Technology is used to treat longitudinal data enables us to study accurate longitudinal analysis by correcting the error of measurement of panel data. To achieve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wer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was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How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itial value and the slope of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 what were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al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ubjects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For this study, a total of 6,908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nationally represented sample(KELS) responded to three consecutive years' panel survey. First, The ARCL were run to fi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multi-group ARCLs were run to find the difference of gender. Next, two univariate latent growth models were run to find the growth pattern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Lastly,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because it is not fit for the ARCL and the LGM to run the whole of the motivational strategies, it was only performed on the subjects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Major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strategy, the ARCL results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d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but strategies did no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Multi-group comparisons show that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The LGM results show that the initi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and initial level of strategies. Also, the LGM results show that the slope of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d the slope of change of strategies. In motivational strategy, results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ubjects influenced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but strategies did no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Multi-group comparisons show that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LGM is not fit to run for motivational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longitudinal study in education is indispensible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a measurement error and investigating the causality among various variables and phenomenon relevant to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con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mentioned: It provided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is raised by exercise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to investigating the causality between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e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Key words: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Latent Growth Model,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longitudinal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논문요약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종단 관계 연구-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및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조절과정 등 일련의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학습’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들과 학업성취 두 변인 간의 종단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교육개발원의 종단자료 등 대규모 종단자료와 정보화 기술의 발달 덕분에 횡단적 연구들에 그쳤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연구가 종단연구에까지 확대되면서 반복측정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의 측정오차를 교정하면서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들과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들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다른가? 셋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하위변인들과 학업성취의 초기치와 변화율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 중 동기조절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는 국어, 영어, 수학 동기조절변인에 따라 다른가? 이를 위해 중학생 6,908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반복측정된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모형에 자료가 부합하는지 검토하였고,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들과 학업성취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두 변인들을 결합한 다변량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초기치와 변화율에 있어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업성취가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경로에서 유의미하였으나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두 변인 간의 관계성에 남녀 성별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의 초기치와 변화율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 초기치는 변화모형에 부적합한 동기조절을 제외하고 인지조절 및 행동조절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고 학업성취 변화율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조절능력들의 변화율도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에만 의지하는 자기조절학습 측정방식의 획일성 및 다양한 내․외적 환경에 의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의 성장에 있어 상호관련성이 다르게 제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고,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다변량잠재성장모형 등의 종단분석 방법의 도입으로 진정한 발달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오히려 낮아지는 원인으로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언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다른 변인들과 학업성취와의 종단적 관계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중학생이 아닌 보다 다양한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하여야 하며, 학업성취에 있어 국어, 영어, 수학 뿐 아니라 다른 여타 과목들과의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주제어 : 인지조절능력, 학업 성취,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잠재성장모형, 종단 분석, 다집단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