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유의어 동사 Say, Tell과 Speak, Talk 구분 사용 능력 연구 / A Study on Korean English Learners‘ Ability of Separation Usages of Synonym Verbs Say, Tell, Speak, and Talk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synonym verbs say, tell and speak, talk by Korean English learners can be used separately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This study aimed to whether Korean English learners can use the synonym verbs say, tell and speak, talk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distinctions, and whether learners' English ability is related to the use of synonym verbs separately. Also,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in the future by analyzing patterns of use errors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classification of the four verb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better the use of the syntax of tell and talk.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better the use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say, tell and speak.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igher the learner's English ability, the better the semantic structure can be distinguished than the syntactic structure.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analysis of error patterns by question, learners were able to confirm that even questions with the same semantic structure differed in answer rate and incorrect answer rate, as a result of learners being affected not only by semantic structure but also by syntactic structure. This can be predicted because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affected by the syntactic structur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ynonym learning is necessary through syntactic and semantic distinctions between say, tell and speak, talk.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4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y in Busan, so it may be a little too much to show the actual condition of all Korean English learners. Experiments with questions with various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s will have to be conducted on more learners than in later studies to increase the feasibility of this study.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유의어 동사 say, tell과 speak, talk를 통사적, 의미적 구조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이 유의어 동사를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네 동사의 통사적, 의미적 구분에 따른 사용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영어학습 활동 개발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 능력이 높을수록 say의 의미 구조, tell의 통사, 의미 구조, speak의 의미 구조, talk의 통사 구조를 더 잘 구분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say의 통사 구조, speak의 통사 구조, talk의 의미 구조에서는 영어 능력과 통사적, 의미적 구분은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영어 능력이 높을수록 통사구조 보다는 의미구조를 더 잘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항별 오류 양상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학습자들은 똑같은 의미적 구조를 가진 문항이라도 정답률과 오답률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의미 구조 뿐만 아니라 통사구조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 할 수 있으며, 보충어 형식과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이 통사적인 구조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say, tell과 speak, talk의 통사적, 의미적 구분을 통한 유의어 학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한 대학교의 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전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실태를 나타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는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통사적, 의미적 구조를 가진 문항을 통해 실험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