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학의 과학화 경향에 대한 비판이론적 고찰 : 도구적 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교육학
과학화
도구적 이성
호르크하이머
비판이론
실증주의 논쟁
교육학 논쟁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학의 과학화 경향에 대하여 비판이론의 도구적 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19세기 헤르바르트에 의해서 정립된 교육학은 목적과 방법의 근거를 달리하였다. 이렇게 이원적으로 정립된 교육학은 규범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을 동시에 고려하며 교육 현상을 다루는 독특한 학문이다. 교육학에서 규범적 접근은 교육의 목적에 비추어 교육 현상을 성찰하는 것이며, 실제적 차원의 접근은 교육 현상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과학적 절차를 통하여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에 주력한다. 교육학 연구에서 두 차원에 대한 고려는 공존해야 하며,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현대 과학의 발달과 함께 학문의 명증성과 객관성을 강조하게 되면서 교육학 연구도 과학적 이론에 바탕을 둔 연구절차를 더욱 중요한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 결과 교육학 연구에서는 교육의 가치와 목적에 대한 고민보다는 연구의 과학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연구 방식을 강조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의 과학화를 교육학이 학문의 명증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의 목적보다는 연구의 방법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규정하였다. 교육학의 과학화는 관찰과 측정을 통해 교육 현상에 대한 법칙을 도출할 수 있다는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교육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해석학적 입장의 학자들은 과학적 관점에 대하여 비판을 제기하면서 논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1960년대 한국의 교육학에서는 교육의 과학화를 주장하는 정범모의 입장에 해석학적 교육학을 주장하는 이규호가 비판적 견해를 밝히면서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논쟁은 1960년대 독일의 사회학자들 사이에 있었던 실증주의 논쟁을 떠올리게 한다. 그동안 역사와 철학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온 사회학에서 과학적 연구가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독일의 사회학자들은 어떠한 연구방법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정립되기를 희망하였다. 독일의 사회학계에서 비판적 합리주의자인 포퍼(Popper, K.)와 비판이론가인 아도르노(Adorno, Th.)의 논쟁적 글을 통해 사회과학의 논리에 대한 논의의 장(場)이 열렸다. 포퍼는 사회과학의 출발점이 관찰과 측정으로 시작하지 않고, 실천적인 문제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과학에서는 관찰에서부터 시작되는 자연과학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잘못된 과학주의라고 비판한다. 사회과학에서 추구하는 과학의 객관성은 문제 해결의 시도가 비판을 견디어 낼 때 보장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도르노는 포퍼가 관찰보다 문제를 우위에 두고, 잘못된 과학주의를 비판하는 것에 동의하지만 더 나아가서 사회학의 대상인 사회 그 자체를 문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포퍼의 입장에서 사회학의 문제는 원래 알고 있던 지식에서 모순을 발견할 때 생기는 것인데, 아도르노는 사회는 필연적으로 모순을 담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문제를 명료하게 처리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비판은 과학성을 보장하는 차원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실질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사회학에서의 비판은 사회 사태에서 관찰을 통해 발견할 수 없는 억압된 것을 발견하고 해방시키는 실질적 활동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사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에 대하여 처음으로 사회학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던 호르크하이머(Horkheimer, M.)의 논의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호르크하이머는 나치즘과 파시즘을 경험하면서 이성의 합리성을 강화한 계몽주의의 한계가 드러났다고 주장하면서 계몽 이성에 대한 비판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계몽주의 이후 합리성이 강화되면서 이성은 이념을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었고, 자기 보존을 위하여 수단을 강구하는 도구적인 것이 되었다. 이러한 계몽 이성에 대한 비판은 18세기 칸트(Kant, I.)의 작업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칸트는 계몽주의의 부작용을 인식하고 계몽 이성에 대하여 변증론적인 비판 작업을 이미 수행한 것이다. 이를 통해 칸트는 인간 이성의 이율배반적 성격을 드러내었고, 모순적인 이성이 병립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칸트의 이성비판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 비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호르크하이머의 이성 비판은 인간의 내적 모순을 비판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회의 모순성을 비판하는 데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였다. 호르크하이머는 이성의 합리성의 강화로 인하여 나타난 실증주의적 학파로 인하여 학문 연구에서 목적보다는 수단이 중요해지고, 내용보다는 형식이 중요해지며, 과학적 절차가 철학적 사유를 대신하게 되었다고 본다. 이로 인하여 학문은 수학화되었고, 학문에서 수단의 합리성, 즉 효율성이 중요해지며, 학문의 성격은 연구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이러한 호르크하이머의 관점을 교육학에 적용해 보았을 때, 수학화한 교육학은 인간 이해와 관련된 교육 현상에 대한 해석을 빈곤하게 하였다. 교육 현상을 수학적 데이터로 치환하여 분석하는 것은 여러 요소의 질적인 차이를 외면하도록 만들었다. 그뿐만 아니라 비통계적 연구인 질적 연구도 질적 자료를 양화시키고 코드화하는 작업을 통하여 과학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는 교육 현상을 수로 치환하는 통계적 연구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물려받게 만든다. 교육 현상에 대한 풍부한 이해는 인간 전체 삶의 맥락을 고려하는 해석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 연구가 교육 현상에 대하여 학습자가 부여하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기 보존을 위한 수단을 판단하는 도구적 이성의 강화로 인하여 수단의 합리성, 즉 최소한의 사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산출해 내는 효율성이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가 되었다. 교육학 연구에서도 교육적 수단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임무가 되었는데 이는 교육 실제에서 경제적 가치의 실천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교육은 경제적 가치인 효율성에 부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역동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교육적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서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롤즈(Rawls, J.)의 정의론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육학은 규범적 접근과 아울러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사회과학의 방법을 적용하게 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교육학은 학문 분류 상 사회과학에 속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은 논의되지 않게 되었다. 교육학은 교육 현상에 규범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이 공존하는 독특한 학문임을 인정하고 서로 다른 차원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지속적인 논쟁이 필요하다.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은 계몽주의 이후 합리성이 강화되는 흐름에서 명증성과 객관성을 추구함으로 인하여 과학이 발달하게 되었음을 설명해 준다. 하지만 학문에서 과학화 경향이 강화되면서 학문은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객관적 이성의 몰락으로 인한 불균형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불균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학문의 규범적 차원을 담당하는 객관적 이성과 실제적 차원을 담당하는 도구적 이성에 대하여 상호 이해하고 인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교육학에서도 규범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이 있다는 것을 서로 인정하고, 각 차원의 연구에서 할 수 있는 것의 범위와 할 수 없는 것의 한계를 규명하며, 상호 보완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 논의를 계속해서 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nstrumental reason' concept of critical theory on the tendency of Scientification of Education. The education system established by Herbart in the 19th century differed on the basis of purpose and method. Such a dualistic education system is a unique study that deals with educational phenomena, taking into account both norma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In education, the normative approach is to reflect on the educational phenomena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practical approach focuses on finding solutions through scientific procedures to problems arising from educational phenomena. Consideration of the two dimensions in the study of education should coexist and play a complementary rol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emphasis on academic evidence and objectivity, the study of education has also come to regard research procedures based on scientific theory as more important. As a result, the study of education emphasized the scientific method of research, rather than the thought of the value and purpose of education. In this paper, education defined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method of research rather than the purpose of research as the scientificiza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evidence and objectivity. The scientificization of education reflects the view that by observation and measurement, the law on educational phenomena can be derived.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phenomenon, scholars of the hermeneutics have raised criticism of the scientific point of view, resulting in a discussions. The discussions began in the 1960s when Rhee Kyu-Ho, who argued for hermeneutics education, expressed a critical view on Chung Bom-Mo’s stance toward the scientification of education in Korea. These discussions are reminiscent of the empirical discussions among German sociologists in the 1960s. The discussions on the logic of social science was opened through controversial writings by Popper. K, an critical rationalist, and Adorno, T., a critical theorist, in Germany's sociological world. Popper argued that the objectivity of science pursued in social science is something that can be guaranteed when an attempt to solve a problem can withstand criticism. Adorno saw that society could not deal with the problem clearly because it inevitably contained contradictions. Therefore, he argued that criticism should not remain at the level of ensuring scientificity, but should be a practical matter.This view was influenced by the 'Horkheimer's' first sociological critique of the scientific study of society. Horkheimer saw that the rationality strengthened after Enlightenment, losing the ability to objectify ideology, and becoming an instrument to seek means for self-preservation. Criticism of this enlightening reason can be found from the work of Kant in the 18th century. Kant recognizes the side effects of Enlightenment and has already carried out dialectical criticism of Enlightenment Reason. Through this, Kant revealed the antinomies nature of human reason, and he saw that contradictory reason is compatible. This rationality of Kant also influenced the criticism of Horkheimer's enlightenment, which extended its scope from criticizing human internal contradictions to criticizing social contradictions. Horkheimer believes that the positivism school of rationality has made means more important than purpose, form more important than content, and scientific procedures replace philosophical reasons. As a result, disciplines becomes mathematical, and efficiency, economic logic, becomes important in disciplines, and the nature of disciplines is determined by research methods. When we applied this view of Horkheimer to education, it made us poor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phenomena related to human understanding. Replacing educational phenomena with mathematical data and analysing them made us ignore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various factors. And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a non-statistical study, also seeks to ensure scientificity through the work of quantifying and coding qualitative data. This inherited the problem of statistical research, which replaced educational phenomena with numbers. Understanding educational phenomena in abundance require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ontext of human life as a whole. It should also try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on educational phenomena. The rationality of means, the efficiency to yield maximum effect with minimal use has become an important value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strengthening of instrumental reason to determine means for self-preservation. In the study of education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to judg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means. This leads to the practice of economic value in the educational reality. However, while the purpose of edu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conform to the economic value of efficiency, it should reflect educational considerations that recognize the various dynamics and differences that are generated in educational situations. Finally, education applied the method of study of social science to study the phenomenon of education scientifically. The application of research methods in social sciences made it possible to classify education as social sciences. This prevented discussion of the disciplinary characterization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education is a unique discipline in which norma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coexist in educational phenomena and to understand different dimensions. Horkheimer's instrumental reason explains that science developed because of his pursuit of fame and objectivity in the stream of rationality enhanced after enlightenment. However, as the enhancement the scientification tendency of Education, the academic world faces a crisis, a disproportionate phenomenon of reason resulting from the fall of ‘objective reason'. To correct this imbalance, it is necessary to mutually understand and recognize objective reason in charge of normative dimension of learning and instrumental reason in charge of practical dimension. In education, there are also norma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It should also identify the scope of what can and limits of what cannot be done in studies at each level. At the same time, the two sides should continue to engage in discussions that can coexist in a complementary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