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무직 종사자의 소명의식이 소명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과 경력적응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Perceiving a Calling on Living a Calling of Office Workers: The Mediation Effects of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소명의식
소명수행
자율성
경력적응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in office workers in South Korea. To obtain the research goal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has been explored via the mediation effects of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with the addition of verifying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the two mediators. Also, every subfactor of each research variable was injected into the research model to prove whether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coefficients are valid in the same way as the basic model. To complete this research, 248 cases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e workers in South Korea and analyz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statistical programs jamovi 1.2 and R were us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correlational analysis, and PROCESS macro analysis Model No. 6 to apply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subsequent lines are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perceiving a call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living a call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although the effect from autonomy to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it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living a calling. Several models from which the subfactors were injected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career adaptabilit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iving a calling, though one of the subfactor models was not. Fourth, a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proved, each indirect effect of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esults, whil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at all. However, some subfactor models demonstrated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perceiving and living a calling are distinct concepts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significant.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re can be various mediators between the two calling concepts, which could be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hat the serial mediation of the model is significant. The subsequent lines ar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nd living a calling has been further clarified. Secondly, the research possibility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career-related variables has been identified. Thirdly, the foundation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 calling and career development has been provid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o-classical perspective of calling and personal career development has been suggested. The following lines are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organizations need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and system to perform tasks more autonomously, so that the workers can demonstrate their perceived calling. Secondly, individuals need to use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career adaptability, so that they can attend to one’s perceived calling. Thirdly, as the transcendent summons plays a major role in perceiving a calling,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is subfactor in a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additional improved research subjects, such as longitudinal studies and various mediators, were suggested to other researchers.
본 연구는 국내의 사무직 종사자가 지니는 소명의식이 소명수행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소명의식과 소명수행의 영향관계와 더불어 자율성과 경력적응이 각각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소명의식과 소명수행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과 경력적응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연구변인에 속한 하위요인들을 연구모형에 투입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직·간접적 효과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자 국내의 사무직 종사자 248명의 자료를 수집한 다음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에는 jamovi 1.2와 R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PROCESS macro를 수행하였으며 직렬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6번 모형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소명의식이 소명수행, 자율성, 경력적응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율성은 경력적응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소명수행에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각 하위요인을 분석변인으로 투입한 세부모형을 살펴보면 자율성과 경력적응의 관계에서는 일부 모형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두 번째 매개변수로 설정된 경력적응은 소명수행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만, 하위요인을 투입한 세부모형 중 한 모형에서 이 관계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율성과 경력적응을 각각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율성과 경력적응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일부 세부모형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명의식과 소명수행은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두 개념 간의 영향관계가 유의미하다는 점, 두 변인 간의 매개변인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의해 자율성과 경력적응이 매개하고 있다는 점, 경력적응의 통제와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이 네 변인의 직렬이중매개관계에서 유의미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소명의식과 소명수행 간의 관계를 이전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둘째, 소명의식과 경력 관련 변인 간의 연구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셋째, 소명수행의 영향관계와 경력개발의 연관성을 규명할 토대를 마련하였다. 넷째, 신고전주의적 소명의식이 개인의 경력개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무직 종사자의 소명의식이 발휘될 수 있도록 조직 내에서 자율적인 업무수행에 관한 환경과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명의식을 수행하기 위해 경력적응력을 향상할 수 있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이 변인 간의 관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개인에게 주어지는 초월적 부름을 인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지적된 선행 연구의 부족, 횡단연구의 한계, 다양한 매개변인 미검토, 제한적 연구대상 등은 후속 연구로 개선하도록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