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국내 친환경건축의 인식적 차이와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Green Building in Domestic through Text Mini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친환경건축
친환경건축인증
텍스트 마이닝
인식
차이
특성
Green Building
Green Building certificate
text mining
percept
difference
characteristic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인간의 공간 인식체계와 친환경건축 개념의 고찰을 통해 인식적 특성의 기준을 정립하고 친환경건축 인식 연구를 위한 틀로 활용하여 국내 친환경건축 인식적 차이와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친환경건축 인식적 차이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대중의 온라인상에서 수집된 친환경건축 관련 텍스트를 연구의 대상으로하며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건축이 국내에 첫 등장한 1996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로 설정하고 분석의 방법은 빅데이터 인식연구 방법 중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고 분석의 내용은 두 인식그룹의 시간에 따른 핵심 어휘(키워드) 변화의 패턴을 통해 친환경건축에 대한 중요 이슈의 변화와 그 경향을 파악하고, 친환경건축에 대한 시기별 담론의 차이와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며 설문조사 방법과 텍스트 마이닝 빅데이터 분석 방법이 일반대중의 친환경건축 인식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친환경건축 인식적 특성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 우수인승사례를 연구의 대상으로하며 연구의 범위는 2016년 9월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제도인 G-SEED 인증기준이 개정된 이후 현재까지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친환경건축 인식관점과 가치를 기준으로 인증평가항목을 분석 평가하여 국내 친환경건축의 인식적 특성을 분석한다. 연구의 내용은 용도별로 ‘업무용건축물’, ‘공동주택’, ‘숙박시설’, ‘그 밖의 건축물’로 분류된 80개 건축물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자연 생태, 인간적 공간, 에너지 개념의 인식관점에 따른 지역생태성과 사회맥락성, 정서문화성과 건강쾌적성, 자원경제성과 재생대체성 의 인식가치 항목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인증부문별, 인식가치별로 분석 종합하여 국내 친환경건축의 인식적 특성을 규명한다. 국내 친환경건축 인식적 차이 분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기별 단어 출현빈도와 TF-IDF 분석결과 전문가 인식은 초기 인간적 공간 관점에서 친환경건축을 인식했으나 점차 인간적 공간과 에너지적 관점이 균형을 이루는 인식의 변화가 있었고, 일반대중의 인식은 초기 자연생태개념과 인간적 공간 관점으로 인식했으나 점차 인간적 공간에만 더 집중하여 인식이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친환경건축 문서 내 핵심 단어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가의 인식은 초기부터 현재까지 ‘디자인’이라는 단어가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중의 인식은 친환경이나 건축, 공간을 지칭하는 단어에서 건축과 공간과 관련된 단어는 중요도가 하락하고, ‘친환경’, ‘환경’의 문서 내 중요도가 꾸준히 상승하여 인간 중심의 환경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었다. 3. 두 인식그룹의 문서 내 공통 출현하는 핵심 단어는 ‘개발’, ‘건축’, ‘건축물’, ‘공간’, ‘도시’, ‘에너지’, ‘주택’, ‘친환경’, ‘환경’으로 나타났고, 전문가 인식에 있어서는 핵심 단어의 중요도가 점차 하락했고, 일반 대중의 인식에서는 인테리어’, ‘제품’, ‘사용’, ‘시공’, ‘디자인’, ‘활용’과 같은 새로운 단어들이 중요하게 등장하면서 친환경건축에 대해 좀 더 구체화 된 대상과 실천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두 인식 그룹 간 공간 인식관점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문가 인식은 에너지 개념과 인간적 공간 개념의 관점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일반대중의 인식은 인간에게 쾌적하고 건강한 삶을 제공하는 인간적 공간 개념의 관점을 중요하게 인식했다. 5. 의미 내트워크를 통한 담론분석 결과 전문가 인식은 초기 ‘조경’이나 ‘녹지’, ‘생태’에서 점차 친환경건축 인증관련 단어로 변화하였고, 최근에는 ‘지속’, ‘공동’, ‘평가’, ‘확대’, ‘지원’ 등으로 담론의 중심이 변화하였다. 일반대중의 담론은 주택’, ‘실내’, ‘자재’에서 최근에는 ‘인증’과 ‘시스템’, ‘인식’, ‘정보’ 등의 단어로 변화하였고, 점차 두 인식그룹의 인식적 관점이 친환경건축인증에 관련해서 모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6. 선행 연구의 차이 검증의 결과는 설문조사 방법과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인식연구에 자연 생태 인식관점과 에너지 개념의 인식관점에서 현저한 결과의 차이가 있었다. 국내 친환경건축 인식적 특성 분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인증 부문별 건축물의 친환경적 인식 특성은 업무용건축물의 경우 에너지 관점의 인식은 높게, 지역 환경과의 맥락성은 낮게 나타났다. 공동주택은 지역생태성이 낮게, 건강쾌적성과 사회맥락성은 높게 나타났다. 숙박 시설은 사회맥락성 부분에서 인식적 특성이 낮게 나타났고, 자원경제성과 재생대체성은 높게 나타났다. 그 밖의 건축물은 건강쾌적성이 높게 정서문화성은 낮게 나타났다. 2. 친환경건축 개념의 인식관점별 특성은 자연생태 개념의 지역생태성이 모든 부문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고, 사회맥락성은 공동주택과 그 밖의 건축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인간적 공간 개념의 정서문화성과 건강쾌적성에서는 공동 주택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에너지적 관점의 인식가치인 자원경제성 재생대체성은 업무용건축물과 숙박시설, 그 밖의 건축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3. 국내 친환경건축의 인식적 특성 결과의 종합하면 현재 국내 친환경건축의 에너지적 관점의 다양한 계획과 설비에 대한 기술성이 높고, 그에 대한 적용 수준도 우수하고 인간의 건강과 쾌적성에 관한 인식의 수준이 높아졌으나 자연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간적 공간으로 인식의 발전과 확대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생태성과 사회맥락성은 낮게 나타나 국내 친환경건축의 인식 특성 중 자연생태개념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섯 가지 항목 중 기술적 적용을 통해 가시적으로 친환경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인식 특성들은 상위 수준의 결과를 나타냈고, 상징적, 개념적 요소의 정신적, 추상적 인식의 특성을 갖는 가치들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국내 친환경건축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은 인간적 공간과 에너지적 관점에 있고, 일반대중의 인식은 인간적 공간에 대한 인식이 가장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건축에 대한 온라인상의 담론에서는 두 그룹의 공통담론은 친환경건축 인증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친환경건축의 특성은 두 그룹의 인식에서 에너지 관점의 자원경제성과 재생대체성과 인간적 공간 관점의 건강쾌적성은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자연 생태적 관점의 지역환경성, 사회맥락성, 인간적 공간 관점의 정서문화성은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러한 생태개념의 건축적 표현에 대한 기술적, 디자인적 표현요소의 부족을 향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연 생태개념과 정서문화성의 실제적 적용이 가능한 방법과 요소들을 학계 차원에서 고민하고 해외의 적용 사례들의 연구를 통한 국내 적용에 대한 노력과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erceptu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 of domestic Green Building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perceptual characteristic and using as a frame for perceptual study of Green Build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human space percept system and the concept of Green Building. The target of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s is the text relevant to Green Building collected from internet both by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 and the range of the study is set from 1996 which the Green Building is first appeared to 2020 present. Text mining method among big data percept study method i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is to understand the change and the trend of main issues for Green Building through the changing pattern of keyword according to the time of two percept group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discussion on each time and the progress of change for Green Building and positively investigate which difference is shown for survey method and text mining big data analysis method in the percept of general public for Green Building. The target of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study in Green Building is domestic Green Building outstanding certified cases and the range of the study is from Sep. 2016 which, domestic Green Building certificate system, G-SEED certificate standard was revised to present. The method of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of domestic Green Building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the certificate items based on the perceptual point of view and value of Green Building drawn by preceding studies. The contents of study is to evaluate 80 buildings classified as ‘office building’, ‘multi-unit dwelling’, ‘accommodation’ and ‘other buildings’ by each usage with the perceptual value items such as regional ecology, social context, emotional culture, health comfort, resource economics and regenerative substitution according to the perceptual point of view in natural ecology, human space and energy concept drawn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analyze and synthesize the result as each certificate part and perceptual value and investigate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of domestic Green Building.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s of domestic Green Building is as follows. 1. Based on the word appearance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result, the experts percept the Green Building in the human space point of view at the initial stage but the percept gradually changed as balance of haman space and energy point of view and the general public percept natural ecology and human space point of view at the initial stage but changed to concentrate on human space gradually. 2. Based on the result to analyze the progress of keyword in the documents for Green Building, the word, ‘design’ shows highest importance from the initial stage to present in the expert’s percept, and in the percept of the general public, the importance of the words related with Building and space and the importance of ‘Green’ and ‘environment’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mong the words refer to Green, Building or space, so the importance of percept for the environment centering the huma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3. The keyword appeared in two percept groups text in common are ‘development’, ‘Building’, ‘building’, ‘space’, ‘city’, ‘energy’, ‘house’, ‘Green’ and ‘environment’ and the importance of keyword gradually decreased in experts percept and new words such as ‘interior’, ‘product’, ‘use’, ‘construction’, ‘design’, ‘application’ appeared importantly in general public percept and requests more realized target and practice for Green Building. 4.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in space percept point of view between two percept groups, the experts percept the energy and human space point of view as important and general public percept human space point of view providing pleasure and healthy life to the human as important. 5.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discussion through the meaning network, the experts percept changed from ‘ecology’ together with ‘landscaping’ or ‘green area’ at the initial stage to the words related with Green certificate gradually, and the center of discussion changed as ‘continue’, ‘union’, ‘evaluation’, ‘expansion’, ‘support’ and so on currently. The discussion of general public changed from ‘house’, ‘interior’ and ‘material’ to the words such as ‘certificate’, ‘system’, ‘percept’, ‘information’ currently and the perceptual point of view in two percept groups gradually getting together to Green Building certificate. 6. Based on the verification for the differences in preceding studies, there was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result in terms of natural ecology point of view and energy point if view in the survey method and percept study through the text mining. The result of perceptual characteristic analysis study of domestic Green Building is as follows 1. Regarding Green perceptual characteristic for each certificate part building, the percept in energy point of view is high and the context with regional environment is low in case of office building. Regional ecology is low and health comfort and social context is high in case of multi-unit dwelling.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is low in social context is low and resource economics and regenerative substitution is high in case of accommodations. Health comfort is high and emotional culture is low in case of other buildings. 2. Perceptual point of view characteristic of Green Building concept is remarkably low in all the section of regional ecology in natural ecology concept and social context is high in multi-unit dwelling and other buildings and human space concept emotional culture and health comfort are high in multi-unit dwelling and resource economics and regenerative substitution which are perceptual value in energy point of view are high in office building, accommodation and other buildings. 3. Synthesize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result of domestic Green Building, The technology for various plans and facilities in the energy point of view in domestic Green Building is high and the application level for it is also superior and the percept level for human health and comfort becomes high now, howeve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ercept to human space considering natural ecology environment is insufficient. Especially, regional ecology and social context is low, so natural ecology concept among perceptual characteristic of domestic Green Building is insufficient and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which can strengthen Green visually through technical application show high rank result, and the values have mental and abstract percept of symbolic and conceptual element show low rank among six items. Synthesize the results, the experts percept for domestic Green Building is at human space and energy point of view and the human space percept covers widest range in general public percept, and the discussion on the internet for both group in common is Green Building certificate. Also,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Green Building reflects the percept of both two groups remarkably, showed excellent resource economy and renewable substitution in the two groups' perception and health and comfort in the human space perspective, but lacked the regional environment, social context, and emotional culture in the natural ecology point of view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methods and elements practically possible to apply natural ecology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cademic level and the effort and attempt to apply in domestic by the study of overseas application cases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echnical and design expressive elements insufficiency for ecological concept architectural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