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료평가와 자기평가가 고등학생의 영어글쓰기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 A Study on High-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nd Interest through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as a role of students' reflecting their writings. The purpose is to compare evaluation systems from the modern perspective in which students evaluate their own products and their peers', differing from the traditional one where only teachers evaluate their students on their own standard. A lot of researches have proven that both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are effective in many ways. However, it's necessary to compare the two evaluations and analyze them in order to apply them to Korean schools in the near future. The subjects were 66 second graders of a high school. They belonged to two experiment groups. The first group has 34 students, while the second 32. They were supposed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centered writing class. The procedure follows like this: First, they got a grammar lesson related with their writing. Second, they were asked to write a draft. Third, the first group was asked to evaluate their peers' writings and the second group their own ones. The order was switched in the next writings. Last, they were asked to write a revision. They experienced these cycles of writing four time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in the following questions;First, which type of evalua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writing ability, peer evaluation or self evaluation?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cess-centered writing on students' interest in their English writing? Two-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treatment means. Paired t-test was also employed to analyz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rafts and the revisions. In addition, mean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in the two evalu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er-evalu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elf-evaluation, in both groups. Second, the results were mixed in the factors of writing ability. The most remarkable change was in the 'accuracy' factor. The factor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the evaluation groups. However, 'cont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peer-evaluation of experiment groupⅠ. 'Organ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evaluations except for self-evaluation in experiment groupⅡ. In the 'fluency' factor, only the experiment groupⅠ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students' English writing interest was improved with the help of the process writing procedure: a grammar lesson → a draft → peer/self evaluation → a revision. The followings ar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was a small-sized and short-period experiment group of 66 subjects, which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Also, this experiment was done without enough evaluation training, which led students not to focus on their evaluation much. More elaborate experiment design was needed to encourage students to use materials for self-evaluation. The data will be more valuable, with long-term and big-sized experiment groups, enough assessment training, better inducement for self-evaluation and consistent writing efforts,
교사가 평가하고 학생은 그 절대적인 평가 기준에 맞춰 학습하는 교육에서 벗어나서 스스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입장이 되어보는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미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에 대한 효과성은 입증된 바 있지만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중 어떤 평가활동이 더 효과적인지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영어작문을 하는 데에 있어서 초안을 작성하고 자신의 초안을 성찰하는 기회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도입하여 수정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방법 중 어떤 평가방법이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인지 밝혀 보려는 데 첫 번째 목적이 있었다. 또한 ‘영어문법 학습 → 초안 작성 → 동료/자기평가 → 수정안 작성’의 과정중심 글쓰기가 학생들의 흥미도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모 고등학교 2학년 두 학급, 전체 6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평가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글쓰기 능력 구성요인을 내용, 구성, 정확성, 유창성으로 구분지어 각 항목별로 초안과 수정안의 대응표본 t 검정 결과를 비교하여 구성요인별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수정안에 반영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글쓰기 이후에 흥미도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여 백분율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유형과 집단유형별 영어작문 향상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이원변량분석 결과에서는 집단유형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집단유형과는 상관은 없지만 평가유형에는 유의미하여 향상도가 높았던 동료평가가 자기평가보다 더 효과적이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글쓰기 능력 구성요소별로 비교해 보면, 내용면에서는 실험집단Ⅰ의 동료평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구성면에서는 실험집단Ⅱ의 자기평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정확성면에서는 평가유형이나 집단별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창성 항목에서는, 실험집단Ⅰ에서는 평가유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지만, 실험집단Ⅱ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이것은 집단에 따라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비교에서 두드러진 결과는 정확성면에서 평가유형이나 실험집단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는 초안을 작성하기 전에 영어문법 항목을 먼저 학습하였고, 학생들이 동료의 글에서 문법 항목을 ‘주목’한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셋째, 실험 후 영어 글쓰기 흥미도는 사전검사에서보다 사후검사에서 훨씬 평균점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과정중심 글쓰기가 학생들에게 영어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높였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문제점과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실험 전에 평가활동에 대한 훈련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활동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효과적으로 동료/자기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영어 글쓰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예시를 들어 평가활동 훈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4주라는 짧은 기간에 실험이 이루어졌고 실험대상도 소수이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려움이 있다고 하겠다. 좀 더 장기적으로 실험이 이루어지고,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자기평가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자신이 모르는 부분을 인터넷을 통해서 검색하도록 유도하였지만, 학생들이 검색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동료평가는 동료에게 물어보면서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습해 나갈 수 있었지만, 자기평가에서는 스스로 검색하는 것이 힘든 활동이었다. 자기평가를 유도할 수 있는 좀 더 정교한 실험설계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