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대상 BYOD 활용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전시물로서 지역문화유산 연계 사례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dult Targeted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 utilizing BYOD(Bring Your Own Device) : A case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al Heritage as exhibi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oday, the most, vigorously discussed issue in cultural space, including museum and art gallery, is so called problem of ‘visitors’ participation'. On a wave of social media, particip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 visitors is necessary for its role of creating culture with public's curiosity and their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eum education program which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based on social features of the 21st century. The target subject is adult who has not been seen important in museum education field. This study follows a process of setting up a program design principle based on case studies, developing the program, applying it in practice and finally analyzing the outcome of it. In the 21st century society, which comes with various keywords such as knowledge based society,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digital society, global society or life long education society, museum education also needs to adapt to its change. One of features of the future society that the researcher focused on is 'global society with the arrival of digital era'. Particularly in the flow of global connectivity, the researcher focused on 'local' and 'local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product of the local and can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it. Also, As smart learning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museum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researcher applied BYOD(Bring Your Own Device) as a tool of self directed learning based on a project learning.The researcher accordingly developed an adult targeted museum education program utilizing BYOD interlaced with local cultural heritage as exhibits, and applied it in practice after revision based on validation procedure of experts. After the application, various kinds of data including before-after mind map, reflection journal and inter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outcome of analysis suggests that adult learn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on the project learning activity interlaced with local cultural heritage, showed higher interest and participatory attitude toward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It is also shown that learners experienced self 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use of BYOD during the project.This study contributes on related study by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education museum and local cultural heritage as exhibits can be interlaced,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self directed learning with increase of participation utilizing BYOD and adult targeted project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give practical help to museum educators and related researchers.
오늘날 박물관‧미술관을 비롯한 문화 공간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는 공통 관심사는 바로 방문자 ‘참여’의 문제이다. 소셜 네트워크의 범람 속에서 문화 기관이 다시 일반인의 호기심과 관심을 받으며, 문화 창조의 역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방문자들의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사회적 특징에 기반을 두어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그동안 박물관 교육 분야에서 주요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던 성인이며, 연구 절차는 문헌과 이론, 사례 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 설계원칙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개발, 실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지식기반 사회, 4차 산업 혁명 사회, 디지털 사회, 글로벌 사회, 평생학습 사회 등 다양한 수식어가 붙는 21세기 사회에서 박물관 교육 또한 그 변화에 발맞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자가 주목한 미래사회의 특징은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한 글로벌 사회로 프로그램의 소재와 방법에 있어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는 현상 속에서 ‘지역’과 그 지역의 총체적 산물이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문화유산’에 주목하였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박물관 교육에서도 스마트러닝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는 바,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자기주도학습의 도구로서 BYOD를 활용한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다.이에 전시물로서 지역문화유산을 연계한 성인 대상 BYOD 활용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전문가들에게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한 뒤 실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사전·사후 마인드맵, 성찰일지,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인 학습자들은 지역문화유산을 연계한 프로젝트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적 태도를 나타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BYOD활용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을 경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유산이 전시물로서 박물관 교육과 충분히 연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박물관 교육에서 성인 대상 프로젝트 학습과 BYOD 활용으로 자기주도학습 구현 및 참여 증진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추후 박물관 에듀케이터(교육 담당자) 및 관련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