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악의 영역별 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 for Gugak Education Domain in Middle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국악"
"수행평가"
"평가 도구"
Language
Korean
Abstract
교육은 근본적으로 인간 행동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며 의도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평가는 인간 행동의 변화된 정도를 밝히고 학습의 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부는 교육의 목표 실현을 위한 평가 방법으로 수행평가를 확대하여 실시할 것을 강조하여, 교과학습발달상황을 수행평가만으로도 평가할 수 있도록 조문을 정비하였다. 국악의 수행평가는 음악과가 추구하는 교육의 근본적 목표를 뒷받침하고 실현하는 과정으로 교육 현장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음악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국악을 바르게 수행평가 할 수 있는 평가 도구 마련에 어려움을 표하고 있으며, 국악의 요소를 채점하고 성취도를 확인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안내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따라서 국악을 바른 방법으로 수행평가 하여 국악 수업의 질을 계속적으로 개선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을 잘 이해하고 표현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수행평가 본래의 취지와 의의를 살린 평가의 도구를 구안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악을 제재곡으로 수행평가를 할 때 평가 도구는 교육과정으로부터 무엇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한 후, 현장에서 제대로 구현되기 위한 실제로서 평가 문항의 예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Ⅱ장에서는 음악과 수행평가 도구 개발의 사례와 국악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의 사례, 음악과 수행평가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음악과는 전통적으로 실기 평가로 평가해 왔으며 교육부는 그간 연구 보고서를 통해 현장에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의 예시를 배포하여 왔기 때문에, 음악과의 수행평가가 전통적인 실기 평가와 비교하여 수행평가 본질에 적합한 평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한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수행평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도구 개발을 위해 기존의 평가 방법과 비교하여 고찰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의 지침이 이러한 수행평가의 목적을 얼마나 반영하여 제시하고 있는지를 논의해 보았다. 이를 통해, 수행평가가 최근에 도입된 새로운 평가의 방법이라기보다는 학생 개인의 성취와 학습의 과정을 강조하며 학생의 수행자체에 관심을 가지는 평가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으며, 수행평가의 도구는 교수․학습의 목표를 구현하고 학습의 내용을 점검하여 궁극적으로 교육과정이 정하고 있는 목표에 이르도록 하는 도구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교수․학습과 함께 계획하고 실현할 수 있는 수행평가의 도구는 학습활동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Ⅲ장에서는 수행평가 본래 목적과 취지에 따라 음악과의 교육목표를 구현할 수 있으며 국악의 본질을 살려 국악의 원리와 어법에 맞게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악과의 영역별 기능에 따라 학습활동과 함께 평가의 도구를 제시하였다. 평가의 목표는 학습의 목표와 같고 평가의 내용은 학습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습활동의 학습 요소로부터 평가의 요소를 정하는 과정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각 문항의 준거는 학습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성취기준을 근거로 하였으며, 성취기준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평가요소를 채점할 수 있는 채점의 기준표를 함께 제시하였다.국악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이 담고 있는 내용이 포괄적이기 때문에 성취도에 도달할 수 있는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학습활동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채점하는 기준도 유용한 수준으로 제시하기에 한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 영역별 기능의 학습활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 보다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의 효과가 나타나고 의미 있는 평가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평가의 도구가 현장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게 하려면 학교의 상황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활용하는 적절한 예시와 함께 제시되어야 하고, 평가의 도구는 반드시 한 기능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능에 따른 영역, 다른 교과와 융합한 교수․학습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Ⅳ장에서는 평가 도구를 활용한 예시로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국악의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은 국악 지식의 성취와 축적보다는 국악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에 초점을 두며, 실천적 수행과정을 강조하여야하기 때문에 학습의 과정 자체를 평가할 수 있고 문제해결과정을 돕는 문항으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평가 문항은 영역별 기능에 의한 평가 문항과 통합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학습활동의 단계를 구체화 시켜 교수․학습과 평가의 과정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악의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 도구의 활용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 도구는 현장에서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학습내용에 따라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다만 국악의 다양한 장르의 모든 제재곡을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지 않은 제재곡에 대한 평가 도구 마련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 국악이 국악답게 가르치고 평가되는데 이러한 평가 도구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적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