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ion Stage of the Creation Process of Dance Work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무용"
"무용작품"
"창작"
"창작과정"
"안무"
"구상"
"구상단계"
"안무과정"
Language
Korean
Abstract
What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is the conception stage of creating dance work. To systematically structure the conception stage of creating the dance work, I have collected and extract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ion stage by referring to literature research data on choreography process and creative process stage. I have established six conception stages of creating dance work by integrating the collected and extracted materials once and for all.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five choreographers, one of the methods of narrative inquiry, structural interview and data on the stage of actual dance work creation a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through Labov’s continuous event analysis method, and the basis for research is colle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how the six conception stages are used in creating the actual dance work to show the need for the work. Until now, in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choreography and the creating process in the dance field mainly deals with the stages of improvisation and movement composition in which physical movement occurs, and it is hard to find attempts to systematically study the stage of designing work in the dance field. Therefore, I’m conducting this study because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stage of planning a creation of the dance work is imperfect. In this study, the conception stage of creating the dance work is divided into six stages, each of which is physical needs, motivation, subject, object, observation, and imagination. Every human being has five instinctive needs from birth. All creative acts begin by the desire for self-realization that appears when all needs are satisfied among them. Especially, in the case of dance creators, this desire is of the mind to express through dance, and it is not clear, but once a psychological desire has occurred, the creator begins to look around with all his senses to get motivation, ideas or inspiration from everything around him. At that time, the creator can be inspired by anything around him, such as objects, phenomena, art works, poems, movies, and music, etc.In this study, I present eight ways that creators can do to motivate. When you are motivated to create, you now explore the topic you want to express. The creator can think almost any material. But, complex and ambiguous materials are basically inappropriate for dance topics. When the subject of the work is decided, you pick content to be expressed or suitable subject. Objects in dance art include tangible objects/intangible objects or personal objects/impersonal objects. Now, the creator must observe the object that he picked and collect the materials for creation. In this study, six observation skills for creating the dance work are suggested. If you observed the object, you would now use your imagination to embody and abstract. However, the imagination, embodiment, abstraction process has already occurred inevitably at all previous thinking stages. As a result, structur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study subjects using intentional sampling strategy for the six stages of creating dance work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of creating dance works, psychological needs refer to the desire for creation. For research participants, the desire to create is to reveal the existence of ‘I’, to express ‘me’ through movement, to express what ‘I’ want to say through art works. Also,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motivated by their current situation, feelings at the time, and their experiences, and the subjects they picked were mainly about the current era, social problems(irrationalities), human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they were in. The observation target was decided from books, paintings, movies, images, or subjects that the choreographer was motivated from. When observing an object, in terms of personal object, they intensively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form, internal psychology, and relationship, and when the object is themselves, they recorded the findings by observing their thoughts, actions, and experiences. The reasons why they chose to create dance works were because they were selected as choreographers for dance groups and dance festivals,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s at the time of creating the work were when they decided to do choreography, new environments, ordinary situations, social problems, or already thinking about the work in their head. At that time, they were mainly feeling anxious, pressure, and hopelessness,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were also feeling empty or rather excited and happy to create something. A was motivated by in his situation, books, paintings, and movies, and the topic is about current human beings living in the age of materialism. A selected characters in books and movies and imaginary characters that do not exist in paintings as objects and observed the character’s personality, behavior, lines, relationships between other characters, and situations. A imagined the actions or lines of the imaginary characters and embodied them with dancers’ costumes and objets. B was motivated by while living his daily life and the topic is about modern people who are subordinated to scientific technology. B selected and observed smartphones and people using smartphone as the object. B embodied pigeons and wireless phones in images in videos and imagined the birth of electricity and the invention of wireless phone in motion. C was motivated by from interpersonal and social problems and the topic is about human dignity and ethics issues arising from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 selected images and installation art, and his experience as the object and observ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ituations, behaviors, and psychology. C embodied the increasingly mechanized, silent, empty-shelled human figure, and the mechanized passive human figure in costumes, objets and movements. D was motivated by in garbage that humans throw away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topic is about dying life by garb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 selected and observed various images, garbage mountain, animals, and garbage, and discovered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actual garbage mountains, and the movement of marine animals. D embodied garbage mountains through installation art, embodied, and abstracted contaminated oceans, dying animals caught in nets and vinyl through movements and costumes. E was motivated by from a sliding board and used a metaphor of the action and reaction movements using the sliding board to human life. E identified the shape and size that can be staged, possibility of movement, and limitations that can be selected for sliding boards, experimented it with his own body. E imagined and embodied the sliding board as a device to give a heavy burden, a dangerous path to success, and to give a surprise. Diverse materials collected by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the conception stage(motivation, subject, object, observation, and imagination) were embodied in the movement of the dancer, costumes, objets, and videos in the actual performance. Currently, research participants are planning various works. And if the creators have any motivations or topics they want to express, I encourage them to try in a decisive manner without being afraid. Finally, when dealing with objects, certain phenomena, or situations in their daily lives, I suggest them to think and watch with the mind of a choreographer and try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senses. I also say that they should make a habit of recording all their thoughts, and not just passing trivial thoughts. As a result, through the creative cases of the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 found out when, where, how and why the dance work creation process(psychological desire, motivation, topic search, object, observation, imagination) occurred, and specifically how the process was carried out. All six stages of creating the dance work suggested in this study play an important role separately but are always closely related to the previous stage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part that creators should focus on in creating the dance work is the experience itself in the conception stage. Creators who create dance works should not go by each stage of conception stages but should be able to explore and try with an active behavior and an open mind with curiosity. Lastly, since dance is an art that continues to change and evolve over the times, so the conception stage among creating the dance work needs to be frequently reviewed, and as you have seen from the exampl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actual case of abstraction during the imagination stage is not easily made in the dance work, and this part also needs to be researched.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은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이다.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해 안무 과정, 창작 과정 단계에 대한 문헌연구 자료를 참고해 구상단계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수집 및 발췌하였다. 수집 및 발췌한 자료들을 최종적으로 통합하여 무용작품 창작과정 6가지 구상단계를 정립하였다. 그리고 5명의 안무자들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 중 하나인 심층면담을 통해 실제 무용작품 창작의 구상단계에 대한 구조적 면담을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한다. 수집된 자료들은 라보프(Labov)의 연속적 사건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6가지 구상단계가 실제 무용작품 창작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경험을 토대로 연구의 근거를 수집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무용 분야에서 안무의 구성요소, 창작 과정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신체 움직임이 발생되는 즉흥표현과 움직임 구성의 단계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으며, 작품을 구상하는 단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시도는 무용 분야에서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고 사료되기에 본 연구를 진행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를 6가지로 구분하는데 각 단계는 심리적 욕구, 동기, 주제, 대상, 관찰, 상상력이다. 인간은 누구나 태어 날 때부터 5가지 본능적 욕구를 가진다. 그중 모든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나타나는 자아실현의 욕구에 의해 모든 창조적 행위가 시작된다. 특히 무용 창작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욕구를 무용을 통해 표현하고 싶다는 마음의 욕구이며, 그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일단 심리적 욕구가 발생한 창작자는 주변의 모든 것에서 동기 혹은 발상, 영감을 받기 위해 모든 감각을 총 동원하여 주변을 살피기 시작한다. 이때 창작자는 주변의 사물, 현상, 예술 작품, 시, 영화, 음악 등 무엇에서든 영감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창작자가 할 수 있는 8가지 방법들을 제시한다. 창작하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되면 이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탐색하게 된다. 창작자는 거의 무엇이든지 소재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복잡하고 애매모호한 소재는 무용 주제로 부적합하다. 작품의 주제가 결정되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 혹은 내용에 맞는 대상을 선택한다. 무용 예술에 있어서의 대상은 유형적 대상/무형의 대상 또는 인격적 대상/비인격적 대상 등이 있다. 이제 창작자는 자신이 선택한 대상을 관찰하며 창작의 재료들은 수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용작품 창작을 위한 관찰의 기술을 6가지 제시한다. 대상을 관찰했다면 이제 상상력을 발휘해 형상화, 추상화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상상, 형상화, 추상화 과정은 앞선 모든 사고단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했었다. 이로써 6가지로 정립된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를 의도적 표본추출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에게 구조적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용작품 창작에 있어서 심리적 욕구는 곧 창작의 욕구를 말한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창작의 욕구란 ‘나’ 의 존재를 드러내는 것, ‘나’ 의 생각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하고자하는 마음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주로 본인이 처한 상황이나 당시 느끼는 감정, 자신의 경험을 통해 동기를 얻었고, 주제로 삼는 것들은 주로 현시대, 사회적 문제(부조리함), 인간관계, 내가 처한 상황이다. 관찰 대상은 안무자가 동기를 얻었던 책이나 그림, 영화, 이미지 또는 주제가 됐던 대상으로 결정했다. 대상을 관찰할 때는 인격적 대상의 경우 외적 형태와 내적 심리, 대상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대상이 자신인 경우에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 경험들을 관찰해 발견한 사실을 기록했다. 무용작품을 창작하게 된 이유는 무용단 및 무용 페스티벌에 안무자로 선정되어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작품을 창작하게 될 당시 주변 환경은 안무를 해야겠다고 다짐하는 상황, 새로운 환경, 평범한 상황, 사회적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거나 이미 작품을 머릿속으로 생각해온 상황들이었다. 그때의 심경은 걱정과 압박감, 막막함을 주로 느꼈고 상황에 따라 공허함을 느끼거나 오히려 무언가를 창작하고 싶은 설렘과 기쁨을 느끼기도 했다. A는 자신의 상황, 책과 그림, 영화에서 의 동기를 얻었고 물질만능주의 시대에 살아가는 현재 인간을 주제로 한다. A는 책,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과 그림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인물을 대상으로 선택했고 인물의 성격과 행동, 대사, 인물들 의 관계, 상황을 관찰했다. A는 가상인물의 행동이나 대사를 상상해 무용수의 의상과 오브제들로 형상화시켰다. B는 일상생활을 하다가 의 동기를 얻었고 과학기술에 종속되어버린 현대인을 주제로 한다. B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택해 관찰했다. B는 비둘기와 무선전화기를 영상 속 이미지로 형상화했고 전기탄생, 무선 전화기 발명을 상상해 움직임으로 형상화했다. C는 대인관계와 사회적 문제에서 의 동기를 얻었고 과학기술이 발전하며 발생하는 인간의 존엄성과 윤리 문제를 주제로 한다. C는 이미지와 설치미술, 자신의 경험을 대상으로 선택해 인물들의 관계, 상황, 행동, 심리를 관찰했다. C는 점점 기계화되어 침묵하는, 빈껍데기만 존재하는 인간의 모습, 기계화되는 인간의 수동적인 모습을 의상과 오브제, 움직임으로 형상화했다. D는 인간이 버리는 쓰레기와 환경문제에서 의 동기를 얻었고 쓰레기와 환경오염으로 죽어가는 생명을 주제로 한다. D는 각종 이미지와 쓰레기 산, 동물, 쓰레기를 대상으로 선택해 관찰했고 실제 쓰레기 산의 형태와 특성, 해양 동물들의 움직임을 발견했다. D는 쓰레기 산을 설치미술을 통해 형상화했고 오염된 바다의 모습, 그물과 비닐에 걸려 죽어가는 동물들의 모습을 움직임, 의상을 통해 형상화, 추상화했다. E는 슬라이딩보드에서 의 동기를 얻었고 슬라이딩 보드를 이용한 작용과 반작용 움직임을 인간의 삶에 비유했다. E는 슬라이딩보드를 대상으로 선택해 직접 몸으로 실험하며 무대화시킬 수 있는 형태와 크기, 움직임의 가능성과 제한점을 파악했다. E는 슬라이딩 보드를 무거운 짐, 성공으로 가는 위험한 길, 놀라움을 주기위한 장치로 상상했고 형상화했다. 연구 참여자들이 구상단계(동기, 주제, 대상, 관찰, 상상력)를 거쳐 수집한 다양한 자료들은 실제 공연에서 무용수의 움직임, 의상, 오브제, 영상 등으로 형상화되었다. 현재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작품들을 구상중이다. 그리고 창작자들에게는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동기나 주제가 떠올랐다면 겁먹지 말고 과감하게 시도하기를 권한다. 마지막으로 일상 속에서 사물이나 어떠한 현상, 상황을 대할 때 안무자의 마음으로 생각하고 주시하여, 창의적 사고와 감각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또한 사소한 생각도 그냥 지나치지 말고 모두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이로써 5명의 연구 참여자의 창작사례를 통해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구상단계(심리적 욕구, 동기, 주제탐색, 대상, 관찰, 상상력)가 언제(When), 어디서(Where), 어떻게(How), 왜(Why) 발생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진행 되었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무용작품 창작과정의 6가지 구상단계는 모두 따로따로 각기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도 항상 이전의 단계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무용작품을 창작하는 과정 구상단계에서 창작자가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은 바로, 구상단계에서의 경험 그 자체이다. 무용작품을 창작하는 창작자들은 각각의 구상단계들을 지나치지 말고 호기심을 갖고 적극적인 태도와 열린 마음으로 탐구하고 시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용은 시대에 따라 계속해서 개념이 변화하고 진화되는 예술이기 때문에 무용작품의 창작과정 중 구상단계에 대해서는 종종 재검토 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듯이 상상력단계 중 추상화에 대한 실제 사례는 무용작품에서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 또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