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와 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Leader Trust as a Mediator and Collectivism as a Moderato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조직유효성
신뢰
집단주의
Language
Korean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조직의 성장과 발전은 유능한 리더를 떠나 생각할 수 없으며, 이런 리더의 리더십은 상사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 및 조직유효성의 증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리더십 연구의 주요과제로 인식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상사에 대한 신뢰를 매개변수로, 조직유효성(조직몰입,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조직구성원이 소속집단에 대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집단주의 성향을 조절변수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리더십이 상사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4개 하위요인은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5개 요인과 상사에 대한 신뢰와의 가설검증에서도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조직의 청지기 정신 외에 나머지 4개 하위요인은 모두 상사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는데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유효성, 즉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구성원의 상사에 대한 신뢰가 증대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참여하고 조직과 일치하려는 조직몰입의 경향이 높아지고 자기 업무에 대한 만족도는 증가한다는 것이다. 셋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즉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 검증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4개 하위요인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간에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개별적 배려는 조직몰입에,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는 직무만족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5개 요인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간에도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이타적 소명과 조직의 청지기 정신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모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개별적 배려와 조직몰입 간, 카리스마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상사에 대한 신뢰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에 대한 신뢰는 서번트 리더십의 5개 하위요인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역할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한다 .다섯째, 조직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카리스마를 제외한 영감적 동기,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와 상사에 대한 신뢰와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성향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의 5개 하위요인 중, 이타적 소명과 조직의 청지기 정신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요인과 상사에 대한 신뢰와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성향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growth of organization would never be imagined without an excellent leader in the modern society. It can be learned that leadership plays a big role in trust of members on lead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tudy, I designed a modeling consider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which had been the main research project of leadership in the recent years, as independent variables, leader trust as a mediator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s a dependant variable, and the members’ general collectivism as a moderator variable. First,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ll of 4 lower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by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ffects of trust on leader. The results showed that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would especially influence the promotion of trust on leader much more than other factors do. In addition, all of 5 lower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and the hypothesis testing of trust on leader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except for organizational stewardship, 4 other lower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showed that they had a more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promotion of trust on leader. Secon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trust on leade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o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which meant that the members’ participation, tendency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increased toward the promotion of trust on leader.Thir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test between the effects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4 lower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mong those factors, individual consideration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played a more significant role in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all of 5 lower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mong the 4 lower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especially the altruistic calling and organizational stewardship had a more critical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urth, in the testing of mediator effects of trust on leader, each lower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mediator effect. Among the factors, trust on leader especially took a partial mediator effect betwee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s well as charisma and job satisfaction. Also, trust on leader showed perfect mediator effect between 5 lower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is meant that not only di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have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ut also mediator effects of trust on leader influenced them. Fifth, collectiveness showed moderator effect on the correlations between, except for charisma, other lower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ch as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trust on leader according to the testing results of moderator effects of the members’ collectiveness. Furthermore, collectiveness showed moderator effect on the correlations between, except for altruistic calling and organizational stewardship, 3 of 5 other lower factors of the servant leadership and trust on leader. At la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