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환경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통합적 접근 분석 및 방안 모색 / An Analysis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환경교육과정
교과 통합적 접근
초등 환경교육
통합 환경교육과정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환경교육을 위해 교과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교과 통합적 접근 방식과 통합 환경교육과정의 요소를 분석하고, 환경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교과 통합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환경’을 주제로 한 교과 통합적 접근의 유형과 통합 환경교육과정에 반영된 요소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초등 환경교육과정 구성의 교과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환경교육에서 교과 통합적 접근 유형으로는 학문병렬, 다학문, 간학문, 탈학문 접근이 고루 시도되었고 그 중에서도 다학문 유형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통합의 유형에 상관없이 수업 구성의 밑바탕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으며 수업 내용과 활동의 선정은 교사의 의도와 계획에 의한 교사 중심으로 대부분 이루어졌다. 통합의 정도에 따라 교과의 활용 방법 및 수업 전체의 연계성과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는 출발점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역할 및 평가의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였다.통합 환경교육과정의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환경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분명하게 제시할수록 환경교육을 통한 교육적 의도를 분명하게 알 수 있으며 활동 및 평가와의 일관성도 보였다. 환경교육을 위한 학습 경험의 선정에서는 학습자의 실생활 맥락과 연결짓기 위하여 지역 자원을 활용하기도 하고 환경에 관한 다양한 소재와 자료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학습내용 조직은 환경 관련 주제에 대한 전체 수업 간의 연계성의 정도나 차시 구성, 학습 활동 유형의 선정에서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환경 소양과 관련한 내용 요소로는 자기 주도적 탐구, 환경 체계의 이해, 환경 쟁점과 역량, 환경 책임의식을 길러주는 내용보다는 단순한 표현 활동이나 인지적 활동에 대부분이 머물러 있었다. 마지막으로 통합 주제에 대한 평가는 거의 대부분의 연구에서 자세하게 다루어지지 않거나 추후 평가의 반영 및 기록과 환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었다. 이들 분석을 바탕으로 초등 환경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교과 통합적 접근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통합적 접근은 각 교과 중심 및 차시 분절적 형태에서 벗어나 핵심 성취기준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실생활 맥락에서 주변 지역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환경 내용과 경험을 구성하고 충분한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통합 환경교육과정의 목표와 평가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전체 수업을 아우르는 최종 통합 활동을 포함하도록 하여 목표-활동-평가의 일관성 및 전체 수업간의 연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넷째, 환경 소양을 길러주는 내용과 활동들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환경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활동이 되도록 한다. 다섯째, 통합 주제의 배움에 대한 기록과 평가 체제를 개선하여 학교교육과정 전체에서의 환경교육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교과 통합적 접근의 환경교육과정 개발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이 연구는 초등 환경교육과정 구성에 필요한 교과 통합적 접근의 방식과 환경교육과정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