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탄소, 수소, 산소 안정 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국내 유통 참기름의 원산지 판별 / Discrimination of Origins of Sesame Oils by C, H, and O Stable Isotope Analys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English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arbon, hydrogen, and oxygen stable isotope ratios of Korean, Chinese, and Indian sesame oils that are distributed in Korea, and to determine the geological origins of sesame oil on the basis of isotopic data. The δ13C, δD, and δ18O values of the 84 samples of sesame oil (51 Korean, 19 Chinese, and 14 Indian sesame oil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eological (latitude, distance from the sea, and altitude) and climatic (precipitation, mean relative humidity, and mean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sesame producing sites of Korea on the stable isotope ratios of Korean sesame oil. Distinction possibility of a total the 84 samples of sesame oil was examined using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The δ13C, δD, and δ18O values of Korean sesame oil were significantly (p < 0.01) negatively correlated with latitude, distance from the sea, and precipitation (May–September), respectively. A good discrimination among sesame oils from Korea, China, and India was achieved, with 89.3% of the samples correctly classified into the producing site, by combining three isotope ratios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hen the origins of six commercial oil samples were predicted through Fisher’s discriminant functions, the Korean sesame oil was accurate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Thus, the values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isotope ratios of sesame oil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to possibility to differentiation the geographic origins of the sesame oil through the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s.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중국산, 인도산 참기름의 탄소, 수소, 산소 동위원소비율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참기름의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참기름 시료 84점(국내산 51점, 중국산 19점, 인도산 14점)의 δ13C, δD 및 δ18O 값을 측정하였으며 국내산 참기름 원산지의 지리적 특성(위도, 해안과의 거리, 고도)과 기후적 특성(누적 강수량, 평균습도, 평균온도)이 참기름의 동위원소비율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들을 활용해 통계기법 중 정준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참기름의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의 δ13C, δD 및 δ18O 값은 각각 원산지의 위도, 해안과의 거리, 5 ~ 9월의 누적 강수량과 유의적인(p < 0.01)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준 판별 분석법을 실시한 결과, 참기름 시료 84점 중 75점이 정확하게 원산지(국내산, 중국산, 인도산)가 분류되어 89.3%의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국내 시판 참기름 6점의 동위원소비율 측정값을 Fisher의 분류함수에 대입하여 이들의 원산지를 예측하였을 때, 국내산 참기름은 국내산으로 정확히 판별되었다. 따라서 참기름의 탄소, 수소와 산소 동위원소비율 값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준 판별분석을 수행하면 참기름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