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현대미술에서의 텍스트적 특성 연구 / A Study to Analyze the Textual Characteristics in the works of Modern Art by Semiologic Approach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현대미술
기호학
텍스트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미술 작품들 중 문자를 소재로 사용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텍스트적 특성과 의미를 기호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는 발생 초기에 고대의 동굴 벽화와 같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 종교적, 주술적, 조형적 성격을 공유하거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문자가 소리를 기록하는데 기능의 중점을 두며 점차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것처럼 분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언어와 문자가 미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며 언어를 작품에 사용하는 것이 시각 예술의 중요한 경향으로 나타나 다시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렇게 20세기 초 현대미술에서 문자나 단어들이 화면에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은 기술 혁신이나 자연 과학의 발전 등 급격한 문화적 변동 상황을 내재한 사회문화적 현상들이 미술에 접목된 것으로 이때 기호학 이론에 등장하는 기표와 기의를 토대로 보다 심도 있고 명료하게 작품 속 텍스트적 특성과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 문자를 사용한 작품 속 텍스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현대미술 작품에 많은 영향을 준 언어 철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나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 비트겐슈타인(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1889-1951)과 같은 철학자들의 주요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전통적으로 이미지와 문자가 맺어온 관계를 크게 유사성과 차별(변별)성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현대미술작품이 갖고 있는 텍스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호학의 기본 이론이나 개념을 소쉬르와 퍼스(Charles S. Peirce, 1839-1914),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 를 통해 살펴보고 기호학과 언어의 관계와 기호학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현대미술 작품을 살펴보기 전에 현대미술과 기호학의 관계를 기호학과 예술 작품 그리고 기호학과 현대미술로 나누어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현대미술과 기호학과의 관계를 토대로 20세기 현대미술에서의 문자나 언어 사용의 이유와 텍스트의 활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Ⅴ장에서는 현대미술 작가들 중 Ⅲ장에서 살펴본 기호학의 여러 이론이나 개념을 바탕으로 작품에 텍스트를 적극 사용한 개념주의 작가인 나우만(Bruce Nauman, 1941-)이나 코수스(Joseph Kosuth, 1945-), 루셰(Edward Joseph Ruscha, 1937-), 홀저(Jenny Holzer, 1950-)등의 작품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 작품에서 사용된 언어의 기표나 기의와 같은 기호성이나 작가의 의도, 작품에서 나타나는 텍스트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은 언어를 사용하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각기 다른 다양한 매체와 의도를 가지고 언어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기호학적 접근을 통하여 언어를 사용한 현대미술 작품 속의 텍스트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면서 코수스나 나우만 같은 작가들은 언어, 문자의 서술적 기능이나 혹은 언어유희를 적극 활용한 시각적 유희를 의도하여 언어를 작품에 사용하였고, 홀저의 경우에는 언어와 문자를 통해 사회적 부조리나 모순 등을 상기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대중매체와 결합시켰음을, 그리고 루셰의 경우에는 텍스트나 언어가 가진 의미 즉, 기의보다는 그것이 가진 시각성, 기표를 더 강조하며 언어를 작품에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라는 같은 소재를 가지고도 작가들 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작품에 텍스트를 사용하여 의미의 확장과 기호성을 작품에 부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대미술에서 언어는 이미 하나의 시각 기호체계로서 작품에서 중요하게 역할 해왔음을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문자를 사용한 현대미술 작가들의 작품을 기호학적으로 접근하여 작품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텍스트적 특성과 의미들을 비교․분석하였다는 것에 이 논문의 의의를 두고, 본 논문에서 미처 다 다룰 수 없었던 많은 작품들의 기호성과 텍스트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