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한 중국 유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M. A. ThesisPerceptions and attitud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DACHENG JINDepartment of EducationGraduate SchoolYeungnam University(Supervised by Professor Eun Cheong, Ph. D.)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disability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how they have changed. As of 2021, the total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is 152,281, of which 67,348 are Chinese students, accounting for 44.2 percent. Their experiences in Korea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na's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area of disabilit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Chinese students'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hanged before studying abroad and how their perceptions changed during their study in Korea.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based on acculturation and acceptance, represent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media, an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First, the philosophies of Immanuel Levinas and Martin Buber emphasise the importance of ethics and relationships. Levinas distinguishes between ontology and ethics, values otherness and dialogue, and pursues ethical reasoning.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ll human relationships. Buber also distinguishes between human nature and relationships as I-Thou and I-It, and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authentic encounters and relationships. Next, in the media,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mostly been portrayed as problematic from the perspective of non-disabled people, but with the advent of various media, the media has been trying to create a new im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cent years. In this context, many celebrities with disabilities are breaking the stereotypes of disability through their performances. In addition, several programmes showcase the daily lives and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emphasising that they should be respected as human beings. Finally,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hows that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China are influenced by an individual's contact experience, gender, age, and major.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change negative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to positive on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rrect perceptions and establish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sed a narrative research method and selected fou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various universities (duration of stay: 2 years, 4 years, 7 years, 8 years) as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to collect data, and the interview period was from May to November 2023. After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catalogued and categoris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ree main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change in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se include the influence of education about disability, lack of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ersonal values and efforts. Education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ack of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improving awareness. In addition, personal values and efforts can influence daily life and behaviour, leading to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limited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hina, which led to prejudic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hows that lack of contact or negative contact is necessary for accurate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disability and raise awareness of the rights and abil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education related to disability. Next, through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direct contact or indirect experience, they showed a deeper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duced prejudice. Finally,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uggests that the Korean educa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Improving awareness of disabilit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diversity in society. It helps to create a society wher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respected as members of society and their rights and abilities are recognised. This can be the first step towards a society where all people, not just those with disabilities, are equally valued and can showcase their individuality and abilities.keywords: Perception of Disability, Awareness of Disabilities, Chinese Students in Korea, Disability Education, Change in Perception, Contact with Disabled People
1. 요약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유학 중인 중국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1년 기준으로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총 152,281명으로, 이 중 67,348명인 중국 유학생이 가장 큰 비율인 44.2%를 차지하고 있다(교육부, 2022). 이들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경험은 앞으로 중국의 사회, 문화, 교육 발전, 특히 장애인 교육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들이 유학 전에 장애인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그리고 한국에서의 유학 생활을 통해 그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낮섦과 수용, 미디어 속의 장애인, 선행연구 고찰을 살펴보았다. 먼저 Emmanuel Levinas와 Martin Buber의 철학은 윤리와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Levinas는 존재론과 윤리학을 구별하고, 타자성과 대화를 중요시하며, 윤리적인 사유를 추구한다. 이는 모든 인간관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 Buber는 인간의 본질과 관계를 나-너 관계와 나-그것 관계로 구분하고, 참된 만남과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미디어 속에서 장애인들은 대부분 비장애인의 관점에서 문제적 존재로 그려져 왔지만 동시에 다양한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최근 들어 미디어는 장애인에 대해 새로운 이미지를 시도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장애인 연예인들의 활약을 통해 장애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깨는 움직임도 보여지고 있다. 또한 여러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일상적인 삶과 경험을 보여주며, 장애인들이 동일한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한국과 중국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개인의 접촉 경험, 성별, 나이, 전공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정립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정립해 나가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절차에 따라 다양한 대학교에 유학 중인 중국 유학생 4명(체류기간: 2년, 4년, 7년, 8년)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개별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고 면담 기간은 2023년 5월에서 11월까지이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후 목록화 하고 유형화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장애인에 관한 교육의 영향, 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의 부족, 그리고 개인적 가치관과 노력이 포함된다. 교육은 장애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의 부족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개인적 가치관과 노력은 일상생활과 행동에 영향을 미쳐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이끌게 한다. 연구참여자 대부분은 중국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접촉이 부족하였고, 이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는 접촉경험이 부족하거나 부정적인 경우 장애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존중을 위해서 장애인과 접촉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교육의 부재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원인 중 하나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장애인과 관련된 교육을 통해 장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장애인의 권리와 능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에서의 유학 경험을 통해 참여자들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직접적인 접촉이나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편견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교육 환경과 문화는 연구참여자들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한국의 교육과 문화 환경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은 사회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존중받고, 그들의 권리와 능력이 인정 받는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이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존중받고, 그들의 개성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