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북한 전략에 관한 연구 : 비대칭동맹 이론과 국가 정체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ina's strategy toward North Korea during the Xi jin-ping era : focusing on asymmetric alliance theory and national ident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중-북 동맹
미-중 관계
국가 정체성
동맹안보딜레마
중국의 대북 전략
국가 안보와 자율성
갈등과 협력
Language
Korean
Abstract
As socialist nations, China and North Korea have maintained a long-standing security alliance. However, this partnership has experienced periods of tension and conflict, particularly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Notably, North Korea faced a significant dispute with China over its nuclear development after the Soviet Union's demise. Nonetheless, the alliance was ultimately restored, and socialist solidarity was bolstered with North Korea's announcement suspending nuclear test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mechanisms by which China, as the dominant ally, has managed to sustain its alliance with North Korea, a weaker nation. This investigation focuses on how both nations achieved this alliance, and also analyzes the tangible benefits of maintaining it despite historical tensions and conflicts.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effectiveness of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Treaty' signed by both nations is evaluated. The reasons behind the recurrent cycle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within the alliance relationship are explored, as well as the practical advantages for China in preserving this alliance amid conflicts with North Korea. Additionally, the behavioral aspect is considered, including shifts in national identity and how these affect the perceptions and ideologies of China's top leadership regarding North Korea. China's national identity has evolved over time in response to historical changes and policy shifts since its inception. These changes in identity manifest in different foreign strategies, which are analyzed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is framework,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wo periods (2012-17 and 2018-22) during Xi Jin-ping's administration, examining China's strategic approach to North Korea. The focus is on the structural cohesion of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US-China dynamic.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serv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ffecting on the adjustment process and dynamic changes in China's strategy towards North Korea. In essence,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is strategically adjusted based on whether the Chinese leadership under Xi Jin-ping emphasizes the 'perception of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or 'the strategic value of the US-China relationship and North Korea' in their interactions with North Korea. This creates a management paradigm. During Xi Jin-ping's initial term in office, he advocated for a 'new type of major power relationship' in foreign policy and sought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Simultaneously, China emphasized its role as a 'responsible power,' aligning with its heightened international status. As Kim Jung-un assumed power, North Korea aim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hina based on their alliance but also pursued its own security through its third nuclear test. China, concerned about becoming entangled in US-China cooperation, attempted to pressure North Korea, which North Korea resisted due to alliance security concerns. This ultimately deepened the conflict between the socialist allies. Between 2014 and 2017, both nations grappled with a significant 'alliance security dilemma.' China aimed to bolster its international standing by fostering a new great power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driven by its 'developing great power identity,' while North Korea sought to mitigate the 'threat of abandonment' through accelerated nuclear development. Consequently, China supported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leading to extreme conflict that endangered the alliance. At this juncture, resolving the alliance security dilemma and establishing a 'guardian-warded relationship' amid intensified US-China competition became imperative for China. During Xi Jin-ping's second term, China espoused 'great power diplom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promoting 'new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community of human destiny' as foreign policy principles. This confluence of socialist hegemony and powerful-country identity, combined with North Korea's suspension of nuclear tests, expedited Kim Jung-un's visit to China. This revitalized the Sino-North Korean alliance, dispelled North Korea's ‘concerns of abandonment’ and strengthened China's role as North Korea's guardian during US-North Korea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s the second round of US-North Korea negotiations faltered, the alliance between both socialist nations appeared to grow stronger. Joint military exercis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umed, creating a shared external threat and enhancing the alliance. China and North Korea have now successfully resolved the 'risk of involvement' and 'threat of abandonment,' demonstrating solidarity through socialist ideological alignment. Both China and North Korea exhibited a strong level of tactical solidarity, leveraging socialist ideology to advance their core interests despite sharp conflicts. This tactical solidarity became especially prominent amid heightened US-China tensions, culminating in a new form of mutual support against the alliance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yields policy implications for North Korea's strategy during the Xi Jin-ping era. First, China's core interest in upholding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Treaty lies in North Korea's 'geopolitical and strategic value.' China is expected to continue leveraging North Korea's strategic significance, even in a loosely structured alliance, as part of its broader 'cooperation and conflict relationships.' Second, North Korea perceives its nuclear development as essential for regime survival and autonomy. Consequently, North Korea is likely to intensify its nuclear security capabilities while bolstering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and resisting Chinese demands for restrictions on autonomy. Third, the approach to North Korea during the Xi Jin-ping era will hinge on the state of the US-China relationship. In times of friendly US-China ties, China could again increase restrictions on North Korea's autonomy. Conversely, if the US-China relationship deteriorates, North Korea's autonomy could be maximized as China strengthens the alliance while providing assurances. Fourth, the continuation of mutual solidarity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grounded in socialism, depends on North Korea's decision regarding a seventh nuclear test. China views North Korea's nuclear possession as a grave security threat to its core interests, while North Korea considers additional nuclear tests crucial for its security and autonomy. If alliance solidarity is essential, North Korea may abstain from further nuclear tests, but if China exerts strong identity and autonomy restrictions, it may provoke North Korea into conducting a seventh test thereby causing conflict.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anticipated that China-North Korea relations will continuously aim to reinforce solidarity through their alliance, with minimal changes and without the ‘threat of abandonment’ or ‘concern of involvement.’ However, during Xi Jin-ping's third term, China is likely to prioritize strategic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over North-Korean issues. Despite the increased importance of its strategic value to North Korea, China is expected to maintain a supportive stance toward its socialist ally while strengthening the trilateral solidarity system with Russia in countering the hostile alliance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중국과 북한은 같은 사회주의 국가로서 일찍이 안보동맹을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의 긴장과 갈등관계를 지속해 왔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총서기가 집권한 2012년 이래 북한 핵 개발이 강화되면서 양국은 극도의 갈등 시기를 거쳤다. 다만 2018년 북한이 핵실험 중단을 발표하면서 양국은 다시 동맹관계를 회복하며 사회주의 연대를 강화해 오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과 북한이 안보 동맹 체제를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운용하며, 특히 동맹 강대국인 중국이 북한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동맹을 유지하는 실익은 무엇인지, 그리고 시진핑 집권 시기에 들어 중국이 동맹국인 북한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조정, 관리해 오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우선 구조적 측면에서 양국이 체결한 ‘중-북 동맹 조약’의 내용과 그 실효성 여부를 살펴봤다. 중-북 양국이 동맹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상호 갈등과 협력을 상시적으로 반복해 온 이유와 중국이 북한과의 갈등에도 불구 현 동맹 체제를 이어가는 실익을 분석했다. 다른 하나의 행태적 측면에서는 중국 최고지도부의 대북 인식과 관념에 따른 ‘국가 정체성’의 변화를 고려했다. 중국의 국가 정체성은 건국 이래 시대적 변화 상황과 정책 기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고 규정되어 왔다. 즉, 국가 정체성 변화에 따라 중국의 대외 전략과 책략도 상이하게 나타난다고 보고, 이를 분석에 반영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시진핑 집권 제1시기(2012-17)와 집권 제2시기(2018-22)의 10년으로 한정했다. 각 시기별 중국의 국가 정체성 변화에 따라 ‘중-북 동맹에 대한 인식’과 ‘미-중 관계 상황’을 고찰하되, 특히 이에 대한 북한의 전략적 행동의 변화를 ‘조절 변수’로 삼아 중국의 대북전략에 있어서의 변화와 조정 과정을 분석했다. 먼저 시진핑 집권 제1시기에는 대외정책 기조로서 ‘신형대국관계’를 제시하며 협력적인 대미 관계를 지향했다. 그리고 자국의 높아진 국제적 위상에 맞게 ‘책임대국(责任大国)’으로서의 역할도 강조했다. 이에 북한도 김정은이 집권하며 중-북 동맹에 의한 협력적 관계 구축을 원하면서도 또한 제3차 핵실험을 통한 자력 안보를 추구했다. 중국으로서는 미-중간 협력이 긴요한 상황에서 ‘연루의 위험’을 느끼며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고, 북한은 이를 ‘자율성 제한’으로 인식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는 결국 양국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관건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2014년부터 2017년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양국은 모두 심각한 동맹안보딜레마를 겪었다. 중국은 당시 개발도상국에 더해 강대국 정체성을 가미한 ‘이중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신형대국관계’ 정립을 통해 국제적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북한 핵개발 저지를 통해 ‘연루의 우려’에서 탈피코자 했다. 중국은 대북압박 수단으로 유엔의 대북제재에 동참했고, 양국은 결국 동맹 파기 수준에 이를 정도의 극심한 갈등 상황을 겪었다. 하지만 중국은 이후 미국과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미국에 공동 대항하기 위해 북한과의 동맹관계 회복이 긴요함을 느꼈다. 2018년 시진핑 제2기 집권기에 들어 중국은 ‘중국 특색의 대국 외교’를 표방하며 대외정책 기조로서 ‘신형국제관계’와 ‘인류운명공동체‘를 제시했다. 중국이 이제 사실상의 강대국임을 인정하고 과감한 대외정책을 펼치는 이른바 ’글로벌 강대국 정체성‘을 확립한 것이었다.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 중단’선포를 계기로 김정은의 중국 방문을 성사시키면서 ‘중-북 동맹 관계’를 급격히 회복시켰다. 이로써 북한은 중국의 ‘방기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중국도 또한 ‘연루의 우려’를 해소하는 한편, 북한에 대한 ‘후견-피후견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었다. 2019년 2월 제2차 미-북 협상이 결렬되면서 중-북 양국은 더욱 밀착하는 형세를 취했다. 동년 8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재개됨에 따라 양국은 다시 미국을 공동의 적으로 하는 공동 위협 인식을 갖게 되었고, 양국 간의 동맹 관계도 한층 강화되었다. 양국 지도부는 상호 축전 교환을 통해 ‘후견-피후견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사회주의 이념을 공동의 가치로 하는 이념적 연대 강화를 추구했다. 특히 최근 격화된 미-중 경쟁 상황에서 한-미-일 적대 동맹에 대항하는 새로운 형태의 ‘중-북 사회주의 연대’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북 전략에 있어서의 주요 함의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중국이 중-북 동맹조약을 계속 유지하는 핵심적 이유는 바로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중시한 전술적 이유 때문이었다. 중국으로서는 비록 느슨한 동맹 형태를 유지하더라도 이를 통해 북한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중국은 동맹을 그대로 유지한 채 동맹 체제의 임계점 내에서 ‘협력 및 갈등’을 반복하며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최대한 활용하며 동맹국 북한을 조정, 관리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북한은 ‘핵개발을 통한 자력 안보’만이 김정은 정권 유지와 자율성을 확보하는 관건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그간의 핵문제 갈등 경험을 토대로 중-북 안보 동맹에도 불구하고 자체 안보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긴요함을 절실히 느꼈다. 따라서 북한은 앞으로도 중국의 어떠한 자율성 제한 조치에 대해서도 이를 허용치 않고 강하고 의연하게 대응해 나갈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북 전략 조정 행태를 보면, 우선 미-중 관계가 우호적일 경우, 중국은 북한에 대해 자율성 제한 조치를 더욱 강화한 데 반해, 미-중 관계가 갈등 상황에 처할 경우, 북한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며 자국 편으로 끌어들이려는 유화책을 펴는 등 이른바 ‘줄다리기’관리 전략을 적극 활용해 왔다. 넷째, 현재의 ‘중-북 사회주의 연대’가 향후 언제까지 지속될 지 여부는 결국 북한의 제7차 추가 핵실험과 중국의 위협인식 정도에 달려 있다. 중국은 북한의 핵 개발이 중국의 핵심이익을 저해하는 중대한 안보위협으로 인식한 데 반해, 북한은 추가 핵실험이 자력안보 강화와 자율성을 확보하는 관건적 요소로 보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경우 중국과의 연대가 필요하는 한 결코 추가 핵실험을 실시하지 않겠지만, 만일 중국이 북한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행동을 취할 경우 북한은 언제든 제7차 핵실험을 강행하며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로선 중국이 북한에 대한 어떤 자율성 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양국은 당분간 전략적 결속을 유지하며 ‘방기의 위협’이나 ‘연루의 우려’ 없이 상호 연대를 지속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시진핑 제3기의 중국은 ‘글로벌 강대국 정체성’ 확립에 따라 북한 문제보다는 미국과의 전략적 경쟁에 더욱 치중해 나갈 것으로 예측된다. 비록 북한에 대한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이 크게 상승한 면은 있으나, 사회주의 동맹국으로서 사안별로 소극적인 대북 지지 입장을 견지하되, 대신 한-미-일 적대 동맹에 대항하여 북한 안보를 책임질 수 있는 형태의 ‘중-북 동맹 강화’ 혹은 ‘중-북-러 + 연대’ 체제를 강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