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판적 읽기 기반 초등 6학년 방과후 영어 교재 개발 / A Study on Development for English Teaching Materials based on Critical Literacy for six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비판적 읽기
교재 개발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읽기에 기반한 초등 6학년 방과후 영어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영어 교육은 의사소통 기능(Function)을 수행하기 위한 표현들을 먼저 설정하고 이러한 기능(Function)이 나올 것 같은 인위적인 맥락을 구성하는 방식을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국제 공용어인 영어를 통한 문자 언어의 생산과 정보 전달이 활발해짐에 따라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능 중심의 교육뿐만 아니라 사고력 교육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비판적 사고는 주어진 정보들에 대해 숙고하고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하며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길러 진정한 의미의 학습을 가능케 하므로 영어 읽기 학습에서 학생들의 인지 능력을 자극하고 생각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텍스트가 단순히 기능(Function)을 익히기 위한 도구로서 제시되며 관련된 읽기 활동 역시 단편적인 질문과 내용 파악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영어 텍스트를 읽고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는 비판적 읽기 기반 영어 교재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영어 능력과 사고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교수학습 자료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읽기 기반 초등 6학년 방과후 영어 교재를 개발하고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비판적 읽기, 비판적 사고력, 영어 교재 이론, 독자 반응 이론 등에 관한 문헌 연구를 하였고, 교사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7차시 분의 비판적 읽기 방과후 교재를 개발하였고, 그에 대한 전문가 교재 타당도 검사를 받아 피드백을 교재에 반영하였다. 또한 교재의 현장 적합성 검토를 위하여 현장 파일럿팅 수업을 위한 비판적 읽기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시험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 반응 설문지를 받아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재는 텍스트를 읽고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여 새롭게 쓰는 활동을 위주로 구성함으로써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지 능력을 활용하는 영어 교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읽으며 어휘와 표현들을 반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텍스트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자신의 생각과 반응을 정리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내용을 추론하고 등장인물들을 재조명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고학년 학생들의 인지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교재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비판적 읽기 교재를 초등 영어 수업에 활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읽기 교재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교재는 텍스트의 문장을 해석하고 지식을 확인하는 데서 나아가, 학생들이 텍스트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생각을 반영한 대안적 텍스트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텍스트를 통한 영어의 입력과 산출을 통해 영어 능력과 사고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이러한 비판적 읽기 기반 영어 교재가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영어 읽기 학습에서 학생들이 능동적 독자로서의 참여기회를 실현하는 읽기 교재 개발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인물의 관점에 따라 텍스트의 내용이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악역 및 조연, 새로운 인물의 다양한 관점에서 대안적 텍스트를 작성하는 활동은 학생들이 가장 흥미로워 하는 부분이었으며 이는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향상에도 효과적이었다. 교재의 질문과 활동을 통해 텍스트에 내재된 관점을 인지하고 자신의 생각을 적용하여 새로운 텍스트로 표현하는 능동적 역할을 경험하였고 초등학교 현장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이러한 교재가 활용될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