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the Chinese Students going to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