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미디어 숏폼(Short-form) 동영상 의존도 요인 연구 : 20대에서 30대 틱톡 이용자를 중심으로 / Study of the Dependence on New Media Short-form Videos- Focused on the TikTok users in their 20s and 30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미디어 의존
숏폼 동영상
SNS중독
Language
Korean
Abstract
Since the introduction of short-form videos into people's lives, their dependence has gradually increased due to addiction to short-form videos. Dependence on short-form videos varies by age group, and most young people are dependent on the short-form video platform and over-immersed in it, so they are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research hypotheses to categorize the literature to study motivation and addictive use as the factors affecting dependence on short-form videos. Combined with related studies, this study designed a questionnair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oth five motives to use, including self-expression motive, interaction motive, information acquisition motive, entertainment motive, and stress relief motive, and the factors of addictive use, including over-immersion, withdrawal symptoms, and time consumption, have a moderate (+) impact on dependence. In addition, self-expression, of the motives to use, and time consumption, of thefactors of addictive use, are the main factors of dependence.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people are increasingly using short-form video platforms to show and express their interests and get positive responses from others, rather than just watching short-form videos for entertainment. They watch the most popular content in real-time through ranking charts, and the content becomes a common topic for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riends.In addition, young people use their limited leisure time and travel time to watch short-form videos, which creates strong dependence on short-form videos for free time.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or media and user research.
숏폼 동영상이 사람들의 삶에 도입된 이후 숏폼 동영상에 대한 중독으 로 인해 의존도가 점차 증가했다. 숏폼 동영상에 대한 의존도는 연령대 에 따라 다르며 젊은 층 대부분이 숏폼 동영상 플랫폼에 의존하여 과몰 입하고 있기 때문에 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용 동기 및 중독적인 사용을 숏폼 동영상 의존도의 영향 요인으로 연 구하기 위해 문헌의 분류를 위한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관련 연구와 결합하여 설문지를 설계하고 설문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SPSS 26.0을 사 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기표현 동기, 상호작 용 동기, 정보 획득 동기, 오락 동기, 스트레스 완화 동기 등 5가지 이용 동기와 과몰입, 금단 증상, 시간 소비 등 중독적인 사용 요인이 모두 의 존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 동기의 자기 표현과 중독적인 사용 요인의 시간 소비가 주요 의존 요인이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숏폼 동영상만으로 오락을 얻는 것이 아니라, 숏폼 동영 상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관심을 보여주고 표현하며 타인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자 하는 젊은이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 하여 알 수 있다. 또한 랭킹차트를 통하여 동시간대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를 보고 친구들과 소통하는 공통 주제가 되기도 한다. 젊은이들이 제한된 여가 시간과 이동시간 중 숏폼 동영상을 시청하고 숏폼 동영상을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