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과 이미지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황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and image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 for Mt. Huangshan in Chin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관광경영학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관광목적지 이미지
재방문의도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destination image
revisiting intention
Language
Korean
Abstract
최근 들어 많은 국가들이 관광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관광목적지 관리주체들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에 따라 관광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고조되어 현대인의 중요한 라이프 스타일의 요소 중 하나로 관광이 대중화 되어가고 있다. 그동안 국내외 여러 학자들은 관광객이 어떤 요인에 의해 관광목적지를 선택하며, 관광목적지를 선택항 때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 연구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에서는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관광목적지 이미지, 만족도와 재방문의도를 이론적으로 재정립하기 위하여 서적, 논문 및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증조사에 필요한 개념들을 정립하고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한 후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3월 1일부터 2015년 9월 1일 까지(6개월간) 중국의 대표적인 관광지 황산(黃山)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통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관광목적지 이미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각 가설들을 검정하였으며, 가설검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중에서 접근·체류성, 자원보존성, 안내·안전성은 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에 접근·체류성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문화, 향토성, 쇼핑은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목적지 이미지 중에서 엔터테인먼트, 환경·생태, 휴양은 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에 엔터테인먼트차원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레포츠, 문화·예술은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지선택속성과 관광지 이미지가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관광지 선택속성의 접근·체류성 요인, 자원보존성 요인과 안내·안전성 요인,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엔터테인먼트 이미지, 환경·생태 이미지와 휴양 이미지는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황산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들을 활성화하려는 취지에 부합하여 앞서 언급된 선행 변수를 세분화하고 개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More countries ar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ourism, resulting in a heated competition among the tourism destinations. As a result, tourism is more popular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modern lifestyle. Many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have been studying on tourists’ selection process - what are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selection of tourism destination and through which processes those are selected. In this study,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parallel. Books, publications, and relevant references were utilized in order to theoretically establish the concepts of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destination imag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for the literature studies. Based on that, the necessary concepts for the empirical studies were established,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scale was investigated, an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as constructed to perform the empirical studies. This work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Mt. Huangshan, one of the representative tourist sites in China, during the six month from March 1st through September 1st, 2015. frequency analysis for demographic variabl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validit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via the statistics package software S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destination imag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based on these empirical testing and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staying, resource conservation, and guide stability, which are among the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visitor’s satisfaction. While staying was most influential, regional culture, localism, and shopping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entertainment, environmental ecology, and resort, which are among the destination image, also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visitor’s satisfaction. While the entertainment dimension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leisure- sports and cultural art did not. Third,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ing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and destination image affect th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Moreover,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 staying, resource conservation and guide stability, entertainment image, environmental eco and resort image were important preceding variable of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Therefore, segmentation and development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preceding variable should be accomplished continuously in order to invigorate/vitalize the Chinese tourists who visit Mt. Huangs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