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otential candidates of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 based on predictors and patterns of recurrence after curative liver resec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Recurrence
Hepatectomy
Adjuvant radiotherapy
Language
English
Abstract
Purpose: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HCC) who undergo complete tumor resection subsequently develop tumor recurre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IHCC after curative (R0) liver resection and potential candidates for adjuvant radiation therapy (RT).Methods: Between April 1995 and December 2012 who underwent liver resection with the diagnosis of IHCC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t Samsung Medical Center. Cox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recurrence factors. Potential RT candidates are defined patients who recurred in remnant liver within 5cm from resection margin with or without regional LN metastasis. Center-of-mass (COM) distances between the recurrent cancers and the cut surface were measured with Matlab.Results: Total 198 patients who underwent partial liver resection for IHCC, 153 patients were included. At a median follow up of 21 months, recurrence had developed in 66.7%. The median recurrence free survival (RFS) was 14 months,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35 months. Tumor size ≥ 4.0 cm, LN metastasis, and multiple tum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HCC recurrence on multivariate analysis. LN metastasis wa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recurrence beyond RT field in all recurred patients. And among locally recurred patients tumor size ≥6cm was the only factor.Conclusion: Surgical resection alone is not sufficient for IHCC despite curative resection. For control recurrence after R0 resection, we suggest patients who had no LN metastasis and tumor size was between 4cm to 6cm should be considered as adjuvant RT candidates.
목적: 간내담관암의 치료를 위해 근치적 절제를 시행한 환자의 대부분에서 결국은 암종의 재발이 발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간내담관암으로 근치적 절제를 시행한 환자에서의 재발 양식 및 재발 예측인자를 확인하고, 향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 가능군에대해 알아내기 위함이다.방법: 1995년 4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삼성성울병원에서 간내담관암으로 간 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연구이다. 재발 예측인자를 알아내기 위해 Cox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잠재적인 보조적 방사선 치료 가능 군은 부위림프절 전이의 유무와 상관 없이 잔류간의 절제연에서부터 재발 종괴의 중심부 거리가 5cm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잔류간의 절제연과 재발종괴의 중심부 거리는 Matlab progra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결과: 간내담관암으로 간 절제를 시행한 총 198명 중 15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중앙 추적관찰기간 21개월 중 66.7%의 환자에서 간내담관암의 재발이 발견되었다. 무병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4개월 이었으며, 전체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5개월 이었다. 다변량분석에서 암종의 크기가 4cm 이상이거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경우, 그리고 다발성 암종의 경우 간내담관암의 재발에 유의한 예측인자로 측정되었다. 재발한 환자군에서 림프절 전이여부가 방사선 조사범위를 벗어나 재발할 수 있는 유일한 예측인자이고, 국소재발 환자군에서 암종의 크기가 6cm 이상인 경우 방사선 조사범위를 벗어나 재발할 수 있는 예측인자이다. 결론: 근치적 절제에도 불구하고 간내담관암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 단독만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이지 못한다. 이에 저자들은 R0 절제 후 재발 조절을 위해 림프절 전이가 없을 때 암종의 크기가 4cm 이상이고, 6cm 미만인 경우 보조적 방사선 치료에대해 고려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