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10~1920년대 한국과 중국에서의 『인형의 집』 수용 양상 비교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인형의 집
입센
세계문학
카자노바
모레티
두리쉰
양배화
염상섭
김일엽
나혜석
후스
루쉰
평위안쥔
계몽담론
개인주의
여성해방
수용 연구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ceptance and reconstitution of Ibsen’s “A Doll's House” in the modern historical context of Chinese and Korean during the 1910s to 1920s. The study selected the reception texts of the Korean writers, Yang Baek-wha, Yom Sang-seop, Kim Il-yeo and the Chinese writers, Shih Hu, Xun Lu, Yuanjun Feng as the research targets, to explore their motivations, strategies and the effects of acceptance. In the reception history of western literature in modern East Asia, “A Doll's House” has a unique status and significance. Since the late 19th century, most of the western classics that were introduced to East Asia presented an extremely unbalanced reception. However, after “A Doll's House” was introduced continually into Japan, China and Korea in the 1890s, the response was overwhelming in the three countries. The Nora, who refused to stay at home like a doll but ran away from home, aroused the great resonance of East Asian intellectuals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East Asian intellectuals were beginning to face the contradiction between new and old, east and west, tradition and modern. They need to reflect on 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explore the path of modernization at mean time. Therefore, the run away Nara provided an excellent “Signifier” for modern intellectuals, and they endow “Nara” different “Signified” according to their own realistic understandings and modern imaginations to establish the ideal modern subjective. So, it is the multiple choic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modern times for the question of whether Nara ran away or not.By the actively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the Chi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A Doll's House” has beyond the realm of literature, combined with multiple discourses, such as the women's liberation, social transformation and personal liberation, etc. It ha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d Korean history of literary thought.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acceptance and transmutation of “A Doll's House” mainly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enlightenment discourse, personal discourse and female discourseIn the chapterⅡ, the spread of “A Doll's House” in Europe and East Asia will be firstly investigated. After Ibsen died in 1906, Japanese intellectuals set off a boom of translations and introduction of Ibsen. Among them, literary association(文藝協會), Ibsen Association(イプセン會) and Seito(靑鞜會) explained the meaning of “A Doll's House” from the three aspects of drama improvement, naturalism literature and women's liberation, respectively. Nara became a synonym for the Japanese new women. Different from the various points of embrace of Japanese, the absorbance of “A Doll's House” in China and Korea was mainly focused on the ideological level: in the June of 1918, the New Youth launched the special issue of Ibsen under the leaderShip of Shih Hu. Three works, including “A Doll's House”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What’s more, Shih Hu himself wrote "Ibsenism" to introduce Ibsen's works and thoughts. The "Perfect Individualism" proposed by Shih Hu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labels of Ibsen in China. In 1921, to promote women’s liberation, the chief-editor of Sinyeoja(新女子) Kim Il-yeo invited the translator, Yang Baek-wha, to translate “A Doll's House” as the “Bible of women’s liberation”. It was serialized in the MaeilShihhnbo(每日申報, 1921) issued by the Governor-General of Japan, opened the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A Doll's House” in KoreaIn the Chapter Ⅲ, taking Yang Baek-wha and Shih Hu as the examples, investigated the translation, 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ion of “A Doll's House” by Chinese and Korean enlightenment intellectuals, which can be used to see the dominant tendency of the enlightenment discourse in both countries. Firstly, there had been subtly change happened during the translation of “A Doll's House”. The Korean translator Yang Baek-wha transformed the original western-style appellation, customs into the familiar expression with the Korean readers by adopting the strategy of "Assimilation". And Nora was built into the image of an understanding wife and loving mother. However, the Chinese intellectual, Shihh Hu, kept the defamiliarization expression in the original text and reinforced the radical character of Nora by using the strategy of “Dissimilation”. Secondly, there was also a sharp contrast among th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in the two countries on the way of interpreting Nora. The Korean intellectuals, such as Yang Baek-wha, Yi Gwang-su and Hyun Chul agreed with the awakening of Nora but against the ran away of Nora. So Nora was reframed as the "Good Wife and Mother" in their works. However, the intellectuals of New Youth, led by Shih Hu, treated Nora as the "Revolutionary Angel" who had the courage to oppose the old system and they encouraged the young men and women flee from their old families by praising Nora. The different opinions of Yang Baek-wha and Shih Hu about Nora were also reflected in their dramas, “The Awakening of Love”(사랑의 각성) and “The Greatest Event in Life”(終身大事), respectively. In the “The Awakening of Love”, the housewife who wanted to divorce returned to her family under the persuasion of her husband and mother-in-law. But in “The Greatest Event in Life”, Ya-Mei Tian Tian successfully walked out of his parents' family under the guidance of Mr. Chen. The different endings of Nora in the two countries reflected th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different expectations for the women: Yang Baek-wha pulled the women back into the family and created a male-centered modern scenery. Shih Hu tried to create the “League of Run Away” composed of “Dutiful Sons” and “Dutiful Daughters” to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 to the modern. However, in this de-gendered league, Chinese women's appeals were covered by the grand narrative of the enlightenment.In the Chapter Ⅳ, taking Yom Sang-seop and Xun Lu as the examples, discussing their reflections and reinterpretations of the “A Doll's House” in the aspect of the personal liberation. Firstly, both of Yom Sang-seop and Xun Lu had shown great interest in individualism during their studies in Japan, they chose to reinterpret the ran away of Nora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Liberation". In the paper of For Supreme Good(지상선을 위하여), Yom Sang-seop took Nora as a rebel against the old time and encourage the readers to realize self-fulfillment and run away bravely. And Xun Lu proposed the question that how the women to get a foothold in the society in the presentation named what will happen after nora’s leaving(娜拉走後怎樣). As the intellectuals with strong critical consciousness, Yom Sang-seo and Xun Lu made deep reflections on the "Nora Myth" which was created by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This kind of introspection was reflected in their novels, New Year’s Eve(祭夜) and Regret for the Past(傷逝). Both novels took the view of first-person as the narrative perspectives. In the New Year’s Eve, through the women's perspective of Jeong-In, the process from free love to forced marriage was reviewed in terms of anger and confession. And in the Regret for the Past, it was described in the male aspect of Juan Sheng in sorrow and penance to recall the happy time one year ago with Zi Jun. Yom Sang-seo and Xun Lu made tragic endings for the runaway Nora: Jeong-In finally suicided, and Zi Jun died in the cold sight of the people around him. Yom Sang-seo wanted to show how the extreme individualism ends up in bankruptcy by the suicide of Jeong-In, and by describing the separate ways of Juan Sheng and Zi Jun, Xun Lu broke the "Nora Myth" of "leaving = liberation" and "love = freedom" created by Shih Hu.In the Chapter Ⅴ, taking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women writers in Korea, Kim Il-yeo, and a Chinese female writer in the period of May Fourth, Yuan-Jun Feng, as the discussion targets, to study the acceptance and appropriation of the female subject in “A Doll's House”. In contrast to the black-and-white acceptance of the male intellectuals, the rewriting of the Nora of Kim Il-yeo and Yuan-Jun Feng showed the femaleness with ambiguous and complex. Both of Kim Il-yeo and Yuan-Jun Feng were the realistic Nora that ran away home by the modern education. They created stories that were different from male writers base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First of all, in the works of male writers, the heros were often the enlightenments or redeemers of female characters, but in the novels of Kim Il-yeo and Yuan-Jun Feng, the male image of the enlightenments was absent but replaced by the self-awakening women. Secondly, most of the male writers negated the parents as the spokespeople for the old age, but in the works of Kim Il-yeo and Yuan-Jun Feng, there were dual images of the mothers. The mothers were not only the victimizers who interfered with their daughter's marriage as an acting patriarch, but also a victim of patriarchy. Additionally, in the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ivity,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Kim Il-yeo and Yuan-Jun Feng. Feng tried to summon the heroines into the "Runaway Union" dominated by men through the free-love. This was the unconsciousness compliance for the male enlightenment discourse, the "Runaway Union" would be collapsed once man betrayed. However, Kim Il-yeo had already seen through the hypocrisy of free love, and she tried to create a female community composed of “New Female” and “Old Female”. But, in the Korean society with male as the center, such a vision could only exist in the utopia of literature.To summary, all of the Chi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tried to tell their own perception of reality and modern ideas through discussing Nora. This study not only investigates the research history of Nora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but also introduces the West as an important comparison object. This study may contribute a lot to the study of East Asian studies.
본 논문은 191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인형의 집』이 한국과 중국에서 수용되고 재구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양국 지식인의 사상적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형의 집』의 수용 양상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한국 작가 양백화 · 염상섭 · 김일엽 및 중국 작가 후스(胡適) · 루쉰(魯迅) · 펑위안쥔(馮沅君)을 중심으로 이들이 『인형의 집』을 어떻게 수용하고 변용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근대 동아시아의 서구문학 수용사에서 입센의 『인형의 집』은 독특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기타 서양 정전의 불균형적인 수용 양상과 달리, 1900년대부터 한 · 중 · 일로 수용된 『인형의 집』(Et dukkehjem, 1879)은 삼국에서 모두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인형’의 삶을 거부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출한 노라는 근대 전환기에 처한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 깊은 공감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동-서, 신-구, 전통-근대 등 다중의 대립 관계에 놓인 동아시아 지식인들은 본국의 현실에 근거하여 전통을 반성하면서 근대를 지향하는 길을 탐색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전의 나와 단절하고 또 다른 정체성을 탐색하는 노라는 지식인들에게 현실 인식과 근대 기획을 표상하는 ‘기표’가 되었다. 그들은 각각의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노라에게 다양한 ‘기의’를 부여함으로써 근대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지양하는 것과 지향하는 것을 규명하고 바람직한 근대적 주체를 내세우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인형의 집』은 단지 문학의 영역에만 국한하지 않고 여성해방 · 사회개조 · 개인각성 등 당대 담론과도 결합하여 동아시아의 문학적 지형도 및 사상적 지형도를 형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논문의 각 장에서는 ‘노라’라는 기표가 양국의 다양한 담론들과 결합하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각 수용주체의 근대기획과 현실인식을 살펴보고 있다. 제II장에서는 유럽 주요 국가에서의 『인형의 집』 전파 과정과 동아시아에서의 수용 경위를 고찰하였다. 일본에서 신극개량운동을 주도한 문예협회, 자유주의 문학을 제창한 입센회, 그리고 여성해방운동을 선도한 세이토샤(靑鞜社), 이 세 개의 문학 단체는 입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주체이다. 일본 지식인의 다양한 접근 방식과 달리 한중 양국의 수용 주체들은 주로 사상적 측면에 치중하여 『인형의 집』을 수용했다. 그러나 사회적 배경이 서로 달랐던 만큼 양국의 수용 주체가 주목했던 부분도 당연히 서로 다를 수밖에 없었다. 한국에서 신여자사(新女子社)의 주도 아래 이루어진 『인형의 집』은 여성 자각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사례로 활용되었고, 중국의 경우 ‘입센주의’라는 틀에서 번역된 『인형의 집』은 여성 문제에서 확장된 인간 문제, 즉 ‘개인의 발견’이라는 계몽 담론과 결부되어 신문화운동의 사상적 변혁의 일환으로 수용되었다.제III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계몽담론의 맥락에서 번역되고 정전화된 『인형의 집』을 살펴봤다. 한국의 번역가 양백화는 자국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인공의 파격적인 대사를 조심스럽게 번역함으로써 노라의 급격한 이미지를 완화시켰다. 이와 대조적으로, 후스는 인물 간의 호칭과 감정 표현을 그대로 번역하여 서양 문화와 중국 문화의 차이점을 의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노라에게 더 강한 여성상을 부여하였다. 번역 방식과 마찬가지로 양국 계몽 지식인들이 노라를 재해석하는 방식도 차이를 보인다. 양백화를 비롯한 한국 남성 수용 주체들은 자각한 노라는 긍정하였지만 가출한 노라는 부정함으로써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에서 노라를 ‘자각한 현모양처’라 명명하였다. 한편 후스를 비롯한 『신청년』 지식인들은 노라를 부조리한 가정 제도와 사회 현실에 저항하는 ‘건전한 개인주의자’로 명명하며 그녀의 가출을 극찬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청년남녀를 불문하고 노라를 우상으로 삼았고 이로 인해 집단 가출 열풍이 일어나기까지 했다. 양백화와 후스의 노라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희곡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終身大事)」에도 반영되었다. 『인형의 집』에서 그려진 노라의 자율적인 각성과 달리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의 여주인공은 모두 남성에 의하여 각성하게 된다. 중국 여학생 톈야메이(田亞梅)는 애인 천 선생이 전해 준 쪽지를 보고 가출하는 반면 조선의 주부 혜원과 동숙은 남편의 훈육을 받고 이혼 요구를 포기하며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 이처럼 양백화와 후스는 서로 다른 방식을 통하여 여성을 훈육하고 계도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하여 양백화와 후스가 지향하고자 하는 근대상을 엿볼 수 있다. 양백화는 여성을 사적 영역에 가두고 공적 영역에서 남성만의 근대를 지향한 반면에 후스는 여성을 가출 공동체에 포섭시켜서 근대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양백화와 후스만의 인식이 아니라 양국 남성 지식인들이 공유한 의식이기도 하다. 제Ⅳ장에서는 염상섭과 루쉰을 중심으로 개인담론의 맥락에서 수용된 『인형의 집』을 조명하였다. 동시대의 다른 지식인들이 여성해방의 측면에서 『인형의 집』을 수용한 것과 달리, 일본 개인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은 염상섭과 후스는 자아의 각성과 개인의 발견이라는 측면에서 노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두 작가는 당대에 성행했던 노라담론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노라가 가출한 후에 어디로 갈 것인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그들의 소설 「제야」와 「상서(傷逝)」에 반영된다. 「제야」는 남편에게서 버림받은 신여성 최정인이 죽음을 앞두고 자유연애와 중매결혼을 회상하는 유서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상서」는 청년 쥐안성(涓生)이 죽은 애인 쯔쥔(子君)과의 과거 이야기를 회상하는 수기(手記)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두 소설은 각각 ‘한국판 노라’ 최정인과 ‘중국판 노라’ 쯔쥔(子君)의 우여곡절을 거듭한 가출 이야기를 구축함으로써 구식 가족제도에서 벗어난 개인이 겪은 현실적 딜레마와 실존적 불안을 형상화하였다. 최정인과 쯔쥔이 겪은 정체성의 위기에는 근대로의 전환기에 고유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아직까지 새로운 정체성을 세우지 못한 염상섭과 루쉰의 불안이 투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안을 극복하는 방식에 있어서 두 작가는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제야」에서는 최정인이 일체를 부정하려는 자살을 통하여 복중태아와 자아를 구하고자 하는 반면, 「상서」에서는 쯔쥔의 죽음이 남성 주인공 쥐안성의 참회와 각성을 일으키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으며, 쥐안성은 쯔쥔의 죽음을 ‘망각’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길’로 향하기로 한다. 제V장에서는 한국의 1세대 신여성 작가 김일엽과 중국의 5 · 4시기 대표적 여성 작가 펑위안쥔(馮沅君)을 중심으로 한중 여성주체들의 『인형의 집』 수용 양상을 살펴봤다. 김일엽과 펑위안쥔은 신식 교육이라는 계기를 통하여 집에서 탈출하고 멀리 타국 혹은 타향으로 떠난 ‘노라’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 ‘입센열풍’을 체험한 김일엽은 귀국 이후 『인형의 집』의 번역과 공연을 적극적으로 주도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 가출서사도 많이 창작하였다. 두 여성 작가의 가출서사는 남성작가와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우선, 한중 남성 지식인의 가출 서사에는 남성이 여성을 계몽하고 구원하는 모티프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와 대조적으로 김일엽과 펑위안쥔의 소설에는 계몽자로서의 남성 인물이 부재한다. 또한 남성 지식인들이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세력의 대표로 삼아 무분별하게 비판하는 것과 달리, 김일엽과 펑위안쥔의 소설에서는 여주인공이 어머니에게 이중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한편으로 어머니는 가부장의 대리인으로서 딸의 혼인자유를 간섭하는 가해자로 등장하고 다른 한편으로 어머니는 가부장제도의 희생자로 나타난다. 즉 가부장의 ‘인형’이라는 점에서 딸과 어머니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펑위안쥔은 중국 남성 지식인의 가출서사에 나타난 ‘반항-탈출-연애’라는 패턴을 모방하여 자유연애를 감행하는 신여성을 형상화한다. 반면에 김일엽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인공은 자유연애와 절연(絶緣)하거나 자유연애의 희생물로 나타난 경우가 많다. 이런 차이점을 통하여 한중 양국 여성작가가 정체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조명할 수 있다. 펑위안쥔은 자유연애를 통하여 남성 주체가 주도한 탈출 공동체에 편입하고자 한다면, 김일엽은 남성이 제창한 자유연애 신화의 허위성을 타파하고 신여성과 구여성으로 구성된 운명공동체를 만들고자 한다. 요컨대 한중 양국 지식인들은 ‘노라에 대해’ 말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노라를 통해’ 그들의 근대 기획과 현실 인식을 말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한 · 중 · 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통적 타자인 ‘서구’라는 대상을 또 하나의 비교항목으로 도입하여 한국과 중국에서의 『인형의 집』 수용 양상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 연구가 동아시아학 연구의 기초 작업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