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학습자의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Viewi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매체 교수·학습 방안
매체 교육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 갈래 지식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생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개인 방송’의 지도 필요성은 높으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전무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초등 학습자에게 단순히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을 금지시키거나 비속어, 은어 사용 금지만을 지도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지도의 효과도 적다. 초등학생들이 뉴미디어의 한 종류로서 인터넷 개인 방송을 인식하고, 그 특성을 잘 알고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다음의 흐름으로 연구를 전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개인 방송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에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에 참고할 만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인터넷 개인 방송의 매체 특성과 초등학생들이 특히 많이 접하는 ‘게임 중계’ 텍스트 갈래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앞선 분석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초등 국어과 교육 대상으로써 인터넷 개인 방송의 구체적 수용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사용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응답자 전원이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초등학교 3∼4학년 때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을 시작하였다고 답하여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의 중요성을 뒷받침하였다. 이 외에 시청 빈도, 선호하는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 갈래(장르), 인터넷 개인 방송 생산 경험 여부와 능동적 수용자로서 실시간 채팅 또는 댓글에 참여한 경험, 인터넷 개인 방송의 매체 특성과 텍스트 갈래 특성의 인지 여부 등에 대한 질문으로 초등학생들의 사용 실태를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관련 교육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인터넷 개인 방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내용을 다룬 교육과정은 없었다. 또한 모든 교육과정이 ‘매체’, ‘매체언어’, ‘미디어’ 등 다양한 용어를 섞어 사용하거나 하나의 성취기준 안에서 ‘매체’의 뜻을 여러 가지로 혼동하는 등의 오류를 행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매체 교육 내용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갈수록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아직 선택 교육과정 수준에서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므로 초등학생들도 다양한 매체를 접하고 활용하는 현실을 고려했을 때 초등 수준에서의 지도도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앞선 연구들을 통해 인터넷 개인 방송을 지칭하는 혼재된 용어들과 그 의미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인터넷 개인 방송’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정하였다. 또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연구의 국어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넷째, 인터넷 개인 방송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병규(2013)에서의 ‘제 2차 매체의 특성’을 기준으로 ‘매체 측면’, ‘정보(메시지) 측면’, ‘수신자·발신자 측면’으로 나누어 인터넷 개인 방송의 매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다양한 갈래 중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시청하는 ‘게임 중계’ 텍스트 갈래를 중심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맥락’,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내용’,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구조’,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앞 장에서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의 목적을 크게 ‘비판적 수용 능력’ 과 ‘능동적 참여 능력’ 향상에 두었다. 또한 교육 내용 선정의 원리로 ‘실제성의 원리’, ‘위계성의 원리’, ‘효용성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교육 내용을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형태로 서술하였다. 여섯째, 앞에서의 교육 내용 요소를 실제 초등학교 40분 단위의 1∼2차시 수업에 구현하기 위해 ‘초등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개인 방송 지도 원리’로 ‘온·오프라인 통합의 원리’, ‘반복성의 원리’, ‘집단적 성찰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에 기반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이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도의 필요성이 절실하나 아직 논의가 부족한 ‘인터넷 개인 방송’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육 내용으로 추출하여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국어과에서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생활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교육내용에 대한 논의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started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need to guid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viewing,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there is no specific lesson plan yet. It is meaningless and less-effective to 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view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or to teach them not to use coarse language or slang. This study is aimed at hel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s a type of new media,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and actively view it.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use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as a reference for making teaching method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he media properti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game broadcasting” text type,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specially familiar with, were analyzed.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the preceding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propose the actual teaching method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The specific argu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f 102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usage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order to derive the content of the teaching method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hat would benefi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l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with watch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 viewing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by saying that they started watch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when they were in third or fourth grade. The survey also questioned about the frequency of viewing, preferred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ypes(genre), the experience of whether or not they had ever produced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live chat or comment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media properti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its text types. Second, we wanted to analyze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contents that are related to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and none of these courses had any contents directly related to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addition, all the curriculums had errors such as mixing various terms, such as “media” and “media language”, or confusing the meaning of “media” within one achievement standard. Although the content of media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ess and utilize various media a lot, it also has to be taught in the elementary schools, not only for high schools. Third, we confirme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d been using mixed terms referring to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ir meanings, and decided to use the nam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mong them. It also revealed implications of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bout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we divided the properti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media into “media aspects”, “information (message) aspects” and “sender/receiver aspects” which were proposed by Lee Byoung-Gyu(2013). 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branch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we focused on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game broadcasting” text,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tched the most. “the context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he content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he structur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he feature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and thus defined “the meaning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Fifth, We wanted to select the content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flecting the implications in the previous chapters. For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largely aimed at improving students’ “critical capacity" and “active participation capacity". In addition, we set three principles for selecting the content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aching: principles of actuality, hierarchy, and utility. Based on these principles we proposed the contents of teaching Internet personal brocasting view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orm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objectives. Sixth, to describe the previous contents of teaching Internet personal brocasting view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one or two periods of 40-minute elementary school class lesson plans, we proposed three principles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Internet personal broadsasting: the principles of on·off-line integration, repeatability, group-introspection.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which is still lacking in discussion. We expect this study to help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o facilitate discussion on educational contents that actively reflect the l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edia u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