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n look into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Study subjects were 293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For this, this study used following tools of questionnaire survey:First, in order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a 8-item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Second,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subjects’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In order to process data statistically, such analytic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trends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was above the average.Second, all the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 was significant.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the sub-variables of p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In conclusion, this study worked out data o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and found out factors that increasing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The author hopes study's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teacher-training programs with which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s and the quality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improves.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부모-교사 협력행동은 어떠하며,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93명이다.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첫째, 어린이집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8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 측정도구는 Davis(1994)가 개발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s: IRI)를 이상순(2007)이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재구성한 설문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셋째, 대인관계유능성은 Buhrmester, Furman, Wittenberg와 Reis(1988)가 개발한 대인관계유능성 척도(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를 김창대와 김수임(1999)이 번안한 것으로 그대로 사용하였다. 넷째, 부모-교사 협력행동은 Ware, Barfoot, Rusher와 Owen(1995)이 제작하고 Owen, Ware와 Barfood(2000)이 수정한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교사용)의 척도를 안선희와 임우영(2011)이 번안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연구방법으로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유능성,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부모-교사 협력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첫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부모-교사 협력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어린이집교사들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부모-교사 협력행동은 평균이상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둘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부모-교사 협력행동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은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부모-교사 협력행동을 높여 줄 요인을 밝혔다. 이에 향후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을 통해 부모-교사 협력행동을 향상시키는데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