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남 농촌지역 다목적센터 운영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ulti-purpose Center in Chonnam Rural Area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다목적센터
농촌정책
다목적센터 기능
전라남도
Language
Korean
Abstract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추진과 함께 공동체 확립을 위한 활동 중심공간으로서 다목적센터가 권역단위로 조성되고 있다. 다목적센터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기초생활기반확충과 지역소득증대 및 지역역량강화 기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목적시설의 도입은 이웃 간의 교류를 확산시키고 농산어촌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이러한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도록 시설을 복합화 한 사례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개념 및 유형, 건립방식 등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해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조성된 다목적센터에 대한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활용방안에 대한 현실적인 제언과 개선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이에 본 연구는 다목적센터가 조성되어진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설문과 심층면접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다목적센터는 한 가지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권역회의공간과 행사 및 체험장 등 다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권역의 자립적인 다목적센터 운영·유지를 위해서는 소득사업을 기반으로 주민복지가 제공되는 형태가 필요하였다. 둘째, 다목적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주요 인원은 2∼5명인 경우가 많았으며, 권역의 사무장 또는 위원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다목적센터가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의 경우에는, 권역의 단합이 이루어져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기반이 되고 있었다. 또한, 사무장과 위원장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책으로 지속적인 자기개발과 정부차원의 지원을 통하여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셋째, 다목적센터의 유지관리 기금은 해당 시설에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충당하고 있었으며, 유지관리 기금에 대한 지원에 있어 지역민은 ‘건물관리 인건비’와 ‘전기료’에 대한 지원이 요구되며 추진주체 또한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넷째, 다목적센터의 운영관리 평가에 있어 IPA를 활용한 결과, 지역민은 사무장 등 인건비 지원 제도, 시설의 홍보·마케팅, 시설관리·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재원확보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추진주체 집단은 투명한 회계관리와 기금조성, 시설관리·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재원확보에 집중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는 바이었다. 두 그룹 모두 시설관리·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재원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본 연구 결과에 의한 다목적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의회를 구성함에 있어 체계는 지자체, 담당 공사, 지역민 및 전문컨설턴트의 자문위원으로 구성하고 “운영관리에 대한 세부 협약안”을 마련하여 운영하도록 하며, 통합적 관리를 통하여 다목적시설의 복합화 모델을 정립하여, 체계에 있어 정형화를 계획하는 바이다. 둘째, 원활한 운영과 다목적센터 운영에 있어 최소한의 운영비를 위한 수익창출이 요구된다. 이에 다목적센터를 활용한 마을 내 수익창출에 대한 범위의 제한을 완화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인적자원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수적으로 관련 전문인력을 배치사업과 지역인재풀을 구축하여 매칭을 수행함으로 농촌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업비의 배분에 있어 사후운영비를 책정하여 권역사업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운영부분의 부담을 감소시켜 주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마지막으로, 농촌체험 및 교육참가에 따른 국비지원 방향의 고려도 필요하다. 우리의 자원을 보존하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농촌체험 신청 시 국가적 차원의 체험비 지원정책을 통해 농촌방문객의 지속적 증가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본 연구는 권역사업이 진행된 다목적센터의 운영관리에 있어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자립적 운영을 도모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향후 다목적센터의 운영에 대한 평가지표의 개발과 다양한 측면에서의 정책제안을 통해 다목적센터의 정립을 기대한다.
A multi-purpose center (MPC) has been established as regional units to build a community as an activity-oriented place with the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t is designed to 1) establish an infrastructure 2) increase a local income 3) strengthen a local capacity as a cultural complex, which can expand an interaction with neighbors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people. Although the complexity of these facilities to meet these functions and objectives has been increasing, it is essential to review this part due to their vague definitions, types.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and discuss for management/improvement to utilize MPC efficiently.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current issues using survey and interview in depth and recommend to improve the facilities in Chonnam rural areas where the center was already established.At first, MPC is not for a single purpose, but for a conference, event, and experienc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welfare for residents using an income from the local community to manage/maintain MPC independently.Furthermore, the number of people is ranging from 2 to 5, operated by the chief in the region, while the area where the MPC was activated was manag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local people. Also, it is essential that they are required a human resource administration via continuous self-development and governmental support because of its expertise.Moreover, the fund for maintaining MPC was covered by performing programs at the facility, and the residents required the support for 'building maintenance' and 'electricity costs', which is similar to conductors. Lastly, IPA results for evaluation of MPC management show that the resident group wants to pursue the business focused on support for labor costs, advertisement, and maintenance for facilities and programs, and conductor group want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ransparent accounting and funding, and financial support for facilities and program management. Both residents and conductors are needed a financial support for maintaining facilities and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suggestions for activating MPC are as follows.At first, it is essential to 1) compose a council comprised of local government, corporation, resident, and professional consultant 2) operate MPC by providing an agreement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detail 3) standardize a system by developing a complexation model of MPC via an integrated management.Second, it is required to generate a profit for its maintenance at least in order to efficient MPC oper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view how to release the restriction on the profits from the local MPC and then the policy for human resources, which establishes relevant human resources and its pool by performing a matching, would contribute to creating a job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we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reduce a maintenance part by estimating a post-operation cost in the allocation of the business cost prior to activation of a regional business.Lastly, it is required to consider supporting a fund sponsored by the government for rural activity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t is believed that it would increase continuously the number of visitors when applying for the rural tourism where we can preserve our resources and get into nature.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raw problems for MPC operation where the regional business has been already conducted and provide how to operate it independently by proposing the improvement methods. We anticipate an evaluation index for MPC operation and establishment with the various views of policy sugg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