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윌리엄 포크너의『소리와 분노』연구 :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illiam Faulkner's The Sound and the Fury : centered on Narrative Techniqu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포크너
Language
Korean
Abstract
윌리엄 포크너는 미국의 남부에서 태어나 남부에 거주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고 남부에서 사망한 전형적인 남부작가이다. 포크너는 역사적 특정 지역으로서의 남부에 대한 피상적인 기록을 넘어 남부에서 전개되는 인간군상이 보여주는 문제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제시한 점에서 미국문학에 남긴 문학적 업적은 참으로 크다. 포크너가 남부의 작가로서 성공을 이룬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고하기 직전까지 부단한 글쓰기에 대한 노력과 재능이었으며, 자신의 허구적 세계를 실제보다 더 현실적인 차원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포크너 자신이 자란 북부 미시시피주 라파에트 카운티를 모델로 만든 요크나파토파 카운티는 그의 등장인물과 화자들의 다양한 삶이 전개되는 공간적 배경인 가상적 공간이다. 그는 자신이 태어나 성장하면서 체험을 통해 물려받은 미국 남부의 정신적, 문화적 유산을 고스란히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부 사회의 축소판으로 명명할만한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 낸 것이다. 포크너의 소설은 그의 작품 세계를 진정으로 확신할 수 있는 능력과 힘이 작용했다고 할 수 있듯이, 살아 숨 쉬고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서술이다. 그의 인물들은 생각하고 고뇌하고 열망하면서 끊임없이 움직이는생생한 인물들이기 때문에 그의 소설도 따라서 그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행적을 따르게 된다. 등장인물 각자에게는 그들만의 서술 목소리 즉, 자신의 서술을 수행하는 고유의 태도가 주어지기 때문에 포크너가 시도하는 서술문체는 화자의 내면의식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Swiggart 61)고 평가 할 수 있다. 다면적 존재인 인물들의 움직임을 충실하게 재현해낼 수 있는 서술 방법은 작품을 달리 할 때마다 또 다른 실험적 서술 기법들을 대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기본적 동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의미전달의 수단으로서 수사와 상징, 다양성이 결합한 난해한 서술기법으로 일률적인 시간 개념에 도전했으며, 인간과 역사를 망라하는 광범위하고도 예리한 그의 상상력은 분별 있는 수많은 독자층의 지지와 관심을 얻고 있다.『소리와 분노』는 개인의 정체성을 탐구하려는 작가의 사명을 인식하고, 분열, 갈등, 소외의 비극을 통해 자기실현에의 길, 다시 말해서 인간의 참된 자유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작품의 내용은 콤슨이라는 가문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붕괴되어가는 과정을 비극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포크너는 모든 존재가 지닌 무의미를 작품의 중심 주제로 제시하면서 시간, 그림자, 죽음의 이미지를 작품의 저변에 깔아 놓고 있다. 이 이미지들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긴밀히 결합하면서 작가의 자아 탐색 작업에 결정적인 모티프를 생성해 낸다. 특히 다중 서술자를 통해서 그의 기법은 화자의 성격을 명료하게 구분하고 주인공들의 성격을 객관화 하여 독자가 작품의 의미해석에 적극 참여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나아가 주제를 강력하게 부각시키고 구성을 극화시켜 효과적인 문체를 다양하게 만든다. 등장인물의 의식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내적독백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포크너는 내적독백을 이용한 효과적인 서술양식을 구사하고 각 장마다 다양한 문체와 모티브를 사용함으로써 의식의 흐름 소설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본고에서의 연구 방식으로 Ⅱ장에서는 작품 속에 담겨진 다중서술자들의 내면의식과 시간관계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포크너 소설만이 지니는 개별성 및 작품의 독특한 기법의 전개양상을 밝혀내었다. 포크너는 콤슨가라는 한 가정의 몰락을 다루면서, 고립된 의식 속에서 끊임없이 캐디를 연상하는 벤지, 왜곡된 관념으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퀜틴, 물질적 욕망에 대한 현실적이고 비열함을 지닌 제이슨이라는 삼형제의 서술을 통해 그들의 의식 속에 내재해 있는 시간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그들의 왜곡된 시간 의식은 콤슨가의 구성원들을 더 걷잡을 수 없는 붕괴와 무질서 속으로 빠뜨리게 하지만 포크너는 균형적인 시간의식을 지닌 딜지 같은 이상적인 인물을 내세워 파멸적인 시간이 아니라 다른 올바른 시간의식을 부여해줌으로서, 비연대기적인 무질서한 시간으로부터 질서를 창조하고 있다.포크너의 소설에는 풍부한 언어감각이 담겨있어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서술과 문체가 작품 속에 의미 있는 상징적 이미지가 작품 구현에 미치는 예술적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소설 전반에 걸쳐 제시된 상징적 이미지를 설명 할 수 있다. 제1부인 벤지의 서술에서는 사물이 지니는 상징성을 백치에게 어울리는 문체를 부여하고, 제2부인 퀜틴 장에서는 지적이고 이성적인 그의 서술에서 많은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대조시켜 봄으로써 벤지의 독백에서는 단순한 대화가 더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면 자살하기 직전의 퀜틴의 독백에서는 복잡한 내면 의식을 다룬 부분이 훨씬 많음이 나타났다. 그들 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상징적 이미지들 또한 다르게 묘사 되며, 두 형제의 지적 수준에 비례해서 문체도 달라진다. 포크너는 다양한 상징적 이미지를 이야기 속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서술된 문체는 각 화자에게 적절한 문체로 묘사됨으로써 인물을 보다 사실적으로 제시한다고 하겠다.마지막으로 포크너의 다양한 서술기법 중에서 그로테스크 기법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에 주지하여, 본 논문에서는 그로테스크 기법의 개념과 각 서술자의 내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시간과의 투쟁에 반영된 등장인물들의 왜곡된 행동의 여러 양상과 예술적 기능을 고찰해 보았다. 콤슨가의 형제들 중에서 낭만적이지만 자살 직전의 불안한 정신적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제2부의 서술자인 퀜틴과 실질적이고 물질적이며 자기연민에 빠진 제3부의 화자인 제이슨은 자신들의 생각이나 진리에 집착하는 인물로 나타난다. 작품 속에 내재된 서술자들의 갈등은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지만 인물 설정과 반복되는 이미지의 병치, 구조상의 뒤얽힘 등의 묘사를 통해 그들의 독특한 이미지를 독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다. 이것은 포크너가 의도적으로 인물의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그로테스크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소리와 분노』에서 포크너는 다중 화자들의 목소리를 통해서 한 가족의 이야기를 미국의 남부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들려주고 있지만 어떤 곳에 국한된 것이라 볼 수 없다. 남부뿐만 아니라 인간세상을 그려내는 전체사회로서 요크나파토파를 창조한 그는 그 안에서 전개되는 콤슨가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세계에서 일어나는, 그리고 일어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포크너는 한편의 소설 안에서 여러 인물을 화자로 등장시켜 각각의 화자에게 적절한 내면의식의 분석, 상징적 이미지 부여, 그로테스크 기법을 병행함으로써 서술기법의 다양화를 성취하여 인물을 보다 사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arrative technique shown in The Sound and the Fury, a monumental work of modern American literature, among other ones, which has the most noticeable innovation in terms of technique.Faulkner is an author who made a constant attempt to experiment with literary technique. His novel is a narration of living people. And since his characters are vividly alive, endlessly thinking, longing and anguishing, his novel depicts the movements that they make. It can be said that trying to find a narrative technique to faithfully reproduce the movements of these multifaceted beings is a basic motive by which he boldly used another experimental narrative technique whenever he started a different work.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technique that expresses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it examines his narrative technique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how' rather than 'what,' and multiple narrators' internal consciousness, through this unique narrative technique.Chapter two examines how the Faulkner's unique technique in The Sound and the Fury develops by interpreting the meanings that the multiple narrators' internal consciousness and time relation have. As his rich sense of language is contained in his novel, chapter three examines the effects that the narration and style through this symbolic image have, and the artistic effect that the symbolic image has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k. Seeing tha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grotesque technique, among his various narrative technique, chapter four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and their artistic functions through the meanings of the technique and the strife with time dormant in the narrators' internal consciousness.Faulkner achieves the diversification of narrative techniques and makes more realistic presentation by making many characters appear as narrators in one work, analyzing the internal consciousness proper to each narrator, providing a symbolic image, and brings grotesque characteristics along. These effects can be said to have made a contribution to expanding the appearance of multiple narrators, stream of consciousness, symbolic language, and unique narrative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