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한(在韓) 중국 유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 영향 요인의 탐색: 혁신 확산 이론, 이용과 충족 및 사회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Smartphone Usage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 Uses and Gratifications and Social Influe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스마트폰
혁신 확산 이론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재한(在韓) 중국 유학생들의 스마트폰 수용 및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스마트폰 이용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스마트폰의 이용 동기와 수용 영향 요인들에 대해서 여러 측면에서 검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재한(在韓)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이용 영향 요인이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혁신 확산 이론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Rogers, 2003),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 (Katz et al., 1973) 및 사회적 영향력(Social influence)(Ajzen & Fishbein, 1975) 등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재한 중국 유학생의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한다. 더불어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주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자료는 현재 한국에 유학중인 100명의 중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선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으로서 성별은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교육 수준은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혁신 특성들 중 사용 편리성과 관찰가능성이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쩨, 이용 동기로 인포테인먼트 동기가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영향력의 일종으로 주관적 규범은 스마트폰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함의에 대해서도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