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지역 판축토성의 축조기법에 관한 연구 : 판축틀의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ammed Earth fortress in South Korea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성곽(城廓)
판축(版築)
土城(토성)
版築틀(판축틀)
木主(목주)
거푸집
Language
Korean
Abstract
版築土城은 판재와 나무기둥을 이용한 版築틀(거푸집)을 만들고 내부에, 흙을 넣고 다져서 城壁을 築造한 土城을 말한다. 토성의 축조 방법에 있어 版築技法은 가장 발전된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남한지역 내 판축토성의 축조는 삼국시대부터 처음 도입되어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까지 이어진다. 현재까지 고고학 조사를 통해 많은 자료가 확보되고 판축토성 내 판축틀의 흔적들이 국가별, 시기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판축틀의 구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확보된 자료와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확인된 판축틀의 양상을 분류하고 그 구조를 복원함으로써 국가별, 시기별 판축틀의 구조의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판축토성의 분류 기준을 정하고, 이에 맞는 사례들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사례에서 확인되는 자재 양상을 종합하여 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적별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판축토성에서 확인되는 판축틀의 구조를 자재의 배치 및 형태에 따라 A형식, B형식, C형식으로 구분하였으며, 이후 목곽고, 흙다짐 공법의 사례를 비교 검토하여 구분한 형식별로 구조 복원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분류, 구조복원을 통해 삼국시대 국가 간 판축틀의 구조 차이와 이후 통일신라, 고려시대 말기까지 토성 축조기법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구조의 변화 양상이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성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mmed Earth fortress means the clay castle constructed with mold using a board and wooden column and soil inside. Rammed Earth technology can be the most advanced one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 fortress and it had been introduced in the territory of South Korea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be continues to Goryo and Joseon. To date, few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structure of Rammed Earth frames although lots of data were secured by archeological investigations and their traces were shown within the Earth fortress variously by nations and times He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s by nations and times and their meanings upon reviewing the secured data and study performances to classify the confirmed aspects of Rammed Earth frames and to recover the structures.To do so, first, classification criteria of Rammed Earth fortresses were determined and the cases were selected to meet these criteria. Also, the aspects of materials found in the cases were summarized and classified by their functions to show the differences by the remains. The structures of Rammed Earth frames found in Rammed Earth fortresses were classified as A, B, and C ty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s and types of materials. The structural recovery was tried by the types classified upon comparisons of cases with wooden warehouse and Rammed Earth Method. Structural differences of Panchook frames among three nations and the changes of construction methods from unified Shilla to the end of Goryo were found through these analysis,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 recove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es had been changed to construct the castles more efficiently than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