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유아반 보육교사의 연속담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within a Continuity of Car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유아반 보육교사
연속담임제
질적 사례연구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in a continuity of care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themselves. The research problems considered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 continuity of care when it comes to toddler classes?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and demand support within this system? The study explored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is particular car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motivations and experiences in toddler day care centers, and the support strategies they require.This qualitative case study used a snowball sampling method, from which five early childhood (toddler) teachers were selected who had worked within a continuity of care. Data was examined via within-case and case-to-case analysis by Stake. Within-case analysis involved a detailed examination of each case to reveal teachers' motivations, concerns, efforts, childcare experiences, changes in their roles, and support demands. Case-to-case coding was performed to analyze comparing and categorizing units of content that were fundamentally similar or relevant to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aforementioned care. 5 upper categories, 16 lower categories, and 44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se results.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continuity of care system took on such assignments due to their own voluntary desire, and the encouragement of their director. This factor highlights the need to consider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ability with, continuity of care, including their voluntary commitment, enthusiasm, and personality when making assignment decisions. Second, after the system was established, results suggested that early childcare teachers felt a sense of burden when providing support to children and parents during the preparation for a new semester. However, they also made various efforts by organizing their environment and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to underst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when preparing for the new semester. This result indicates how continuity of care system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by enabling teachers to grow as childcare professionals, yet also presenting concerns and burdens related to supporting children and parents. Third, teachers perceived growth and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play, and parent relationships. Stable and trusting relations between teachers, children, and parents based on continuity allowed for higher-quality childcare: during play, and by fostering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Fourth,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their own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ism when supporting the children's development, play, and parent relationships, leading to a sense of pride and fulfill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ing a continuity of care system can enhance teachers' expertis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Finally, to establish a high-quality continuity of care system, teachers continuously pondered their approach and made consistent efforts to improve. They requested opportunities for classroom reassignment to facilitate smooth transitions and demanded support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er training.This study thoroughl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care teachers within a continuity of care system, including their perceptions, experiences, support demands, and strategies through specific cases. The findings presented herein provide an opportunity for early childcare teachers who are experiencing or considering such an approach (as well as directors contemplating assignment decisions) to reflect on the system and receive practical assistance. Furthermore, by presenting practical cas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early childhood care policies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본 연구는 유아반 보육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유아반 연속담임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유아반 보육교사의 연속담임 경험은 어떠한가?’, ‘어린이집 유아반 보육교사의 연속담임 경험에 따른 연속담임제 인식과 지원요구는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통해 유아반 보육교사들에게 연속담임 경험이 유아반 보육교사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동기와 보육교사의 보육 경험, 지원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도있게 탐색하고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연속담임을 경험하였던 어린이집 유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 방식을 통해 5명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Stake가 제시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사례 내 분석은 보육교사들의 담임 배정을 맡게 된 동기와 고민, 노력, 보육경험, 교사의 변화와 지원요구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각 사례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유아반 보육교사들의 연속담임 경험 중 본질적으로 서로 비슷하거나 어울리는 내용을 지닌 단위들을 각 사례와 비교하며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상위범주와 16개의 하위범주, 4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속담임을 경험하였던 보육교사들은 원장의 권유 혹은 교사의 자발적 희망, 부모의 희망에 따라 연속담임을 맡게 되었다. 이는 담임배정에 있어 보육교사가 역할을 잘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연속담임에 대한 이해와 교수 능력, 보육교사의 자발성과 열의 및 성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담임배정 시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연속담임이 결정된 이후, 새로운 학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보육교사들은 유아와 부모 지원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기도 하였으나, 유아들의 특성과 발달을 파악한 신학기를 준비하기 위해 환경 구성과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 다양한 노력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는 연속담임제 경험이 보육교사를 보육전문가로서 성장하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과 동시에 유아와 부모의 지원을 위해 고민과 부담을 함께 느끼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셋째, 연속담임을 통해 보육교사들은 유아들의 또래 관계와 놀이 뿐만 아니라 부모 관계에 있어 성장과 변화를 체감하였다. 연속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 부모 간의 관계는 안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놀이와 환경 등 질 높은 보육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넷째, 연속담임을 통해 보육교사들은 유아의 발달과 놀이 지원, 부모 관계에 있어 높은 책임감과 전문성을 갖춘 보육교사로서 성장하게 되었고 자긍심과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이는 보육교사의 연속담임제 경험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보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시사하였다. 다섯째, 질 높은 연속담임을 위해 보육교사들은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활하고 교사와 유아, 부모 모두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연속담임을 위해 반 배정시 교체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교사학습공동체, 교사교육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연속담임을 경험하고 있는 유아반 보육교사들의 보육경험에 대해 탐구하며 유아반 보육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지원요구와 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깊이있게 고찰하였다. 이는 연속담임제를 경험하게 될 예정인 유아반 보육교사들 경험하고 있는 유아반 보육교사, 담임 배정을 고려하고 있는 원장에게 연속담임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하여 실제적인 도움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실제적인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영유아 보육정책 및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