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방문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home schooling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marriage immigra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Marriage immigrants have hard time of Korean life because of language difficulties, differences of culture and ways of life. Korean language teaching is essential to secure their lives and further more educate their children as a parent. However, they cannot afford to get Korean language teaching owing to pregnancy, childbirth, rearing, housework etc. For this, the "Korean language home school service" (language teaching program through personal visitations for marriage immigrants) rises. Despite of necessity, home school services have some problems in operating currently. First, in spite of visiting teachers are not experts in language teaching, we can point out there isn’t training system. As a result, contents and qualities of educations are unable to be standardized and there can be wide gaps in substances of educations according to teachers' abilities. Also, without making full use of advantage nor understanding of marriage immigrant learners' peculiarities, man-to-man visit education are no more than following in the former Korean language teaching as a general object.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aim at efficient methods of operation and designing practical plans of home schooling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ing.Concretely, in the first chapter, we make sure the object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examine cultural, lingual adapta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studies precedent.In the second chapter, by examining theory about acquirement of secondary language and culture transformation theory as theoretical backgrounds, we find essential factors to acquire language for marriage immigrants who are learning language consciously and consciously, and find how attitudes toward culture of the target nation have influence on acquirement of target language. Also, we examine the man-to-man mentoring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and make full use of this to frame a scheme for effective man-to-man home schooling.In the third chapter, we study social traits and peculiarities concerning using language of marriage women immigrants to understand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Moreover, we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home schooling services, and dedue some problems from them.In the fourth chapter, we try to find solutions of problems above and conduct questionnaires intended for 100 marriage immigrants who had experiences on home schooling servic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30 visiting teachers so that we can frame a scheme for effective man-to-man home schooling. The aims of analysis are effective training for visiting teachers and education programs harmonized with home schooling. Through this analysis, we collect opinions about influential factors on home schooling, such as qualifications for visiting teachers and effective ways of home schooling education. As a result, influential factors on home schooling servic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re the length of marriage immigrants' stay, experience of systematic Korean language teaching, educational backgrounds, learning abilities of learners, help of their family, the degree of contact with outside, learner's will power for learning. standard of satisfaction in Korean life and marriage, and obstacles of young children, home surroundings, healthy problem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visiting teachers abilitie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etc. People said visiting teachers should have expert knowledge as a language teacher, friendship, sincerity and so on. Also, in this chapter, we put various results of analysis together and analyz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home schooling to bring up the ways making up for the week points.In fifth chapter, we present how to manage programs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Especially, considering man to man educational method of homeschooling, abilities of visiting teachers affect quality of education. So we lay emphasis on strengthening abilities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the concrete, we describe training system of visiting teachers, roles as a mentor and good attitudes toward learners. In addition, we try to make this study more practical by presenting the guiding principles and education program of home schooling to make full use of advantage as man-to-man education.Finally, in the sixth chapter, we summarize contents of this study and make the messages clear, and finish with some suggestions for succeeding studies.
결혼이민자들은 언어소통의 어려움 및 문화와 생활양식의 차이로 인해 한국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이 한국 생활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게 하고 나아가 한 가정의 부모로서 자녀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한국어교육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임신, 출산, 육아, 가사일 등 여러 가지 환경적인 제약으로 인해 한국어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 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서비스’(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방문교육)이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방문교육 사업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는데 우선 방문교사가 대부분 한국어교육의 비전문가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사 연수 체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교육의 내용과 질이 정형화 되지 못하고 교사의 역량에 따라 교수 내용에 현격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일대 일 학습 지도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거나 결혼이민자 학습자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없이 기존의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 방식만을 답습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방문교육 과정의 효과적인 운영 및 한국어 방문교육에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교육 방안 구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구체적으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결혼이민자의 언어 및 문화 적응과 한국어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2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제2 언어 습득에 관한 이론 및 문화변용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무의식적 언어 습득과 의식적 언어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결혼이민자의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목표어 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어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구성주의 이론에 바탕을 둔 일대 일 멘토링 학습에 대해 검토해 보고 이를 효과적인 일대 일 방문교육 방안 구상에 활용하고자 하였다.3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특성 및 언어사용에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 그들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또한 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방문교육 사업 현황에 대해 분석해 보고 여기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4장에서는 앞서 제기되었던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방문교육 방안을 구상하기 위해 한국어 방문교육을 경험한 결혼이민자 100여 명 및 방문교사 30여 명을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 분석의 목적은 효과적인 방문교사 교육 방안 및 방문교육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의 구상에 있다. 요구 조사를 통해 방문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방문교사에게 요구 되는 자질 그리고 효과적인 방문교사 교육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한국어 방문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이민자의 한국 체류 기간, 체계적인 한국어교육 경험, 학습자의 교육 배경 및 인지적 능력, 가족의 협조(가정생활에서의 언어 입력), 외부와의 접촉 정도, 학습자의 학습 의지 및 노력, 한국 생활 및 결혼 생활에 대한 만족도 등이 있었고 더불어 어린 자녀의 방해, 가정환경(교수-학습 환경의 물리적 상황), 임신 및 출산으로 인한 건강 문제, 방문교사의 자질, 방문교사와 학습자 간의 친밀 정도가 있었다. 다음으로는 방문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물었는데 학습자와 교사 모두가 공통적으로 높게 응답한 것은 ‘언어교사로서의 전문 지식’과 ‘친화력’, ‘성실성’ 등이 있었다. 또한 요구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방문교육의 장점 및 한계점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보완 사항을 제시하는 것으로 4장을 마무리하였다.5장에서는 앞서 실시한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방문교육 운영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특히 일대 일 학습으로 이루어지는 방문교육의 특성상 교사의 역량이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므로 교사의 자질 및 전문성 강화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방문교사 교육 과정 설계를 비롯하여 방문교사의 멘토(mentor)로서의 역할과 올바른 교육 자세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 일대 일 학습의 장점을 살린 한국어 방문교육 원리 및 실제 수업 구성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연구 결과물이 되고자 노력하였다.끝으로 6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