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소진 잠재프로파일 분석 / Latent Profile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burout of collge stu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학습동기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사회비교경향
진로적응성
잠재프로파일분석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소진의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사 회적지지,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적응성이 이러한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현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성인을 대상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신뢰 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를 알아보기위해 SPSS 25.0을 사용하였으며, Mplus8을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 집단을 구하고 예측변인을 살펴보았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학업소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와 학업소진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 해 분류적합도 및 분류율, 해석가능성을 고려하였을 때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개의 유형을 각각 자율적 저소진집단(집단1) 동기상실 소진집단(집단2), 타율적ㆍ비관적 소진집단(집단3)으로 명명하 였다. 둘째, 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수지지), 사회비교경향성, 진로적응성 모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colleg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potential groups of academic exhaustion and explore how social support,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career adaptability affect this classifi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74 adults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SPSS 25.0 was used to find out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d Mplus8 was used to obtain latent profile groups and examine predictive variables. The results of a study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exhaustion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lassification suitability, classification rate, and interpretabilit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potential profiles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exhaustion. Each of the three types was named as an autonomous low burnout group (group1), a synchronous loss burnout group (group 2), and a batting average and pessimistic burnout group (group 3). Second, social support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professor support),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career adaptability all aff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each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