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二十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研究 : 以中国大陆、台湾、香港为中心 / A Study on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 Focusing on Mainland China, Taiwan and Hong Ko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20세기
한국
중국
번역
현대소설
Language
Chines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modern Chinese fiction from 1925 to 2001 was received in Korea and explores its relationship with Korean politics, culture, and social transformations. During the pre-liberation period,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experiencing extensive control in all aspects, including translation. As a result, the scale of Chinese fiction translation was small, with only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novels by specific authors being translated.In the post-liberation period, both Korea and China became divided, and amid the Cold War situation, they ideologically opposed each other. Therefore,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Korea wa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se circumstances. From the 1980s onwards, with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ies since the late 1970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democracy in Korea, and the normalization of China-Korea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the influence of ideologies diminished, and a new era of translating diverse and open works began.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 century Korea has gone through significant turning points and exhibited various patterns of reception according to the era. This study reflects on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Korea, China, and Taiwan as backgrounds. To conduct the research, previous studies on modern Chinese fiction translated in 20th century Korea were review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organized directly. The compiled data was presented in a table format, categorized by year (and within each year, by author), with six key elements: year, original work, translated work, author, translator, and publisher. The statistical data thus obtained was examined f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ng modern Chinese fiction in Korea, considering the collective features originating from the translation background, period-specific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publishing forms. In this study, modern Chinese fiction translated in 20th century Korea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colonial period (1925-1945), the Cold War period (1946-1979), and the opening-up period (1980-2001).According to existing records, the first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Korea occurred in 1925. Therefore, the starting year for the first period, the colonial period, was determined as 1925. However, before 1945, Korea was under Japan's colonial rule and faced censorship of the media, preventing people from freely using the Korean language. Meanwhile, China was in a state of ongoing war. Therefore,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at that time stemmed from the intellectual interest in China under Japanese rule and the desire to awaken and encourage young Koreans through literature. The works translated under such harsh publishing conditions were mainly published in newspapers or magazines, and most of them were the works of Lu Xun (鲁迅). The translators were individuals who had an interest in Chinese literature or were involved in revolutionary activities in China, which also encompassed literary activities. Additionally, due to the widesprea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nder Japanese rule, many translated works of Chinese fiction, despite being originally in Chinese, went through Japanese translations and were then translated into Korean, resulting in "intermediate translations”(중역본). The second period spanned from 1946 to 1979. Korea experienced liberation, but due to political turmoil and ideological struggl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factions,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resulting i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60s and 1970s, Korea witnessed economic growth, but politically, it remained under military dictatorship. During these 30 years, Korea underwent simultaneous struggle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pursuit of freedom and democracy.In the second period, the translation of works by Taiwanese authors and ideologically biased works related to mainland China dominated the scene. The number of translated work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existed ideological biases in terms of subject matter. Chinese fiction translated during this period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economic downturn of the pre- and post-war market, leading to many publications in the form of “collected works”(전집). Additionally, the re-emergence of Lin Yutang(林语堂)'s translations in the 1950s and 1960s and the translation of Lu Xun's works in the 1970s were distinctive examples that demonstrated the profound influence of ideology on translation.As we enter the 1980s, the dismantling of the Cold War regime led to a new st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marking the opening period for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1987, Korea underwent a transition to a democratic society, and in 1992, China and Korea officially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Furthermore, in 1993, a Chinese book and culture exhibition was held at Yonsei University in Seoul. During this period, the creative and publishing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number of translations of modern Chinese fiction reached 422, surpassing the combined total of the previous two periods. In terms of subject matter, translations expanded beyond ideological constraints, encompassing a variety of novels by mainland Chinese authors, as well as those from Hong Kong and Taiwan. These translations developed along two trends: genre fiction from Taiwan and literary fiction from the mainland.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dramas and films,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lso extended to the realm of fiction translation and publishing.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translators of Chinese fiction demonstrated the revitalization of the Chinese fiction translation and publishing market. Moreover, starting from the 2000s, some illustrated fictions and web fictions have also been translated into Korean. This new situation signifies significant changes in the translation of 21st-century Chinese fiction, the reading environment for readers, and the publishing industry.In this essay, it has been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social and political atmosphere of the country. To illuminate this, the essay examined the translation activities related to revolutionary discours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liberation period, the ideologically biased translations from the onset of the Cold War regime until the late 1970s, and the diverse restrictions and translations that moved beyond ideological biases from the 1980s to the pre-2000s. By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from a chronological perspective, the essay provided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overview of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and contemplated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thus exploring the translation context of Korean modern Chinese fiction from a synchronic viewpoint. Furthermore, this research anticipates contributing to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on practices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중문 소설이 한국내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밝히고, 그것이 한국의 현대 정치, 문화, 사회 변혁과 어떤 영향 관계를 지녔는지 탐구했다. 해방 이전 한국은 모든 측면에서 일본의 통제를 받았으며, 이는 중문 소설 번역에도 영향을 미쳐, 소설의 번역량이 적었고 특정 작가의 소설만 비교적 많이 번역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중국은 각각 분단 상태가 되었고, 냉전 상황에서 이념적으로 대립하여 한국 내 현대 중문 소설 번역 또한 편향적인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70년대 말 시작된 개혁개방, 80년대 이후 냉전체제 붕괴와 한국의 민주화, 1992년 한중 국교의 정상화 등 변화로 인해 한중간 이념대립이 줄어들고 새롭고 개방적인 작품의 시대가 열렸다. 이렇듯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문 소설 번역은 많은 변곡점을 거쳐 발전해왔고, 시대에 따라 다양한 수용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대만의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한국의 중문 소설 번역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세기 한국에서 번역된 현대 중문 소설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직접 수집, 정리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년도, 원작명, 역작명, 작가, 역자, 출판 6가지 내용을 년도별로 구분하여 표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정리된 자료를 기초로 각시기별 중요한 현상과 특징, 그리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총체적인 의의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문 소설 변역 양상을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식민기(1925-1945), 냉전기(1946-1979), 개방기(1980-2001)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제1기 ‘식민기’의 시작 년도를 1925년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1945년 이전, 한국 국민은 일본의 식민 통치와 언론 검열 제도로 한국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었고, 중국은 지속적으로 전쟁 상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은 일제의 침략 아해 있던 중국의 문학을 번역, 소개하여 조선 청년들을 일깨우고 격려하고자 했다. 당시 열악한 출판환경 하에서, 번역된 작품들은 주로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되었는데, 그것들은 대부분 루쉰(鲁迅)의 작품이었고, 역자들은 전문 번역자가 아니라, 중국 문학 애호자나 자나 중국에서 혁명과 문학 활동을 병행하던 지식인이었다. 또한 이 시기 조선은 일본어 교육이 보편화되어 있어서 일본어 역본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중역본’이 많았다. 제2기는 1946년부터 1979년까지를 말한다. 한국은 1945년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좌우익의 투쟁에 따른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이는 한반도의 남북 분단을 초래했다. 1960, 70년대 한국은 경제적인 성장을 이룩했지만 정치적으로는 여전히 군사 독재 상황이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한국에서는 이념적 대립과 자유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제2기에는 대만 작가의 작품과 이념적 편향성이 강한 중국 대륙 관련 작품에 대한 번역이 주를 이루었다. 번역 작품의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주제에 있어서는 이념적인 편향성이 존재했다. 이 시기에 번역된 중문 소설은 전후 시장 불황의 영향으로 인해 ‘전집' 형태로 많이 출판되었다. 또한,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린위탕(林语堂) 번역과 1970년대의 루쉰 소설의 재번역은 이데올로기가 번역에 미친 깊은 영향을 잘 보여준다. 제3기인 1980년부터 2001년까지는 현대 중문 소설 번역의 개방기로, 한국과 중국 간의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였음 반영한다. 1987년 한국은 민주 사회로 전환되었고, 1992년에는 중국과 한국이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이듬해 연세대학교에서 중국 도서 문화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 및 출판 환경이 크게 개선되어, 번역된 현대 중문 소설의 수가 이전 두 시기의 합을 초과한 422종에 이렀다. 주제에 있어서도 이념적인 제약에서 벗어나 대륙 작가와 홍콩, 대만 작가의 다양한 소설들이 번역되었다. 특히 이 시기의 번역은 대만의 대중문학번역과 대륙의 순수문학 번역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대중 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드라마와 영화의 영향력이 소설 번역 출판에도 나타났고, 전문 중문 소설 번역가들의 등장은 중문 소설 출판 시장의 활성화를 입증하였다. 또한 2000년대 이후로는 일부 삽화 소설과 웹 소설도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국 소설 번역이 한국의 정치, 사화, 문화적 분위기에 큰 영향을 받았음을 명확히 밝혀내고자했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반부터 해방 이전까지를 혁명 담론과 관련된 번역으로, 해방 이후부터 70년대 말까지를 냉전적 이념의 편향성이 짙은 번역으로 그리고 80년대부터 2000년대 직전까지를 이념에서 벗어난 다양하고 풍부한 번역으로 개괄하여, 그 특징을 다각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문 소설 번역 활동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역사성과 현장성을 고찰함으로써 20세기 한국의 중문 문학 수용사, 더 나아가 한국의 외국 문학 수용사 기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本文旨在结合韩国现代政治、文化和社会变革与翻译之间的关系,探讨二十世纪现代中文小说在韩国内的接受情况。在光复以前,韩国在各个方面都受到日本帝国主义的殖民控制,这对中文小说的翻译产生了影响,导致小说的翻译量较少,只有某些作家的小说被相对较多地翻译。光复后,韩国和中国分别陷入分裂状态,冷战时期两国在意识形态上对立使得韩国内的现代中文小说翻译也表现出偏向性特点。然而,从七十年代末开始的改革开放,八十年代冷战体制的逐渐崩溃以及韩国的民主化,乃至1992年中韩建交等变化,减少了韩中意识形态对立,开启了一个新的、开放的小说翻译时代。如此,20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经历了许多曲折,并随着时代的变化展现出不同的接受态势。本文在考虑韩国、中国和台湾的政治、社会和文化背景的基础上,探讨了韩国中文小说翻译的发展过程。为此,笔者考察了二十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相关既往研究结果,并直接收集和整理了相关资料,即二十世纪韩国得翻译现代中文小说作品。笔者将这些翻译小说按照年份排序,并对小说的年份、原作名称、译作名称、作者、译者以及出版机构进行标记制成表格。然后,以此为基础,综合、系统地分析了各时期的重要现象、特点以及它们所具有的整体意义。本文将二十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情况分为三个时期进行分析,即殖民期(1925-1945年)、冷战期(1946-1979年)和开放期(1980-2001年)。该研究基于现有研究的依据,将第一个时期“殖民期”的起始年份设定为1925年。然而,在1945年之前,韩国人民由于日本的殖民统治和新闻审查制度,无法自由使用韩语,而中国则一直处于持续的战争状态。因此,当时朝鲜的知识分子翻译和介绍同样受到日本侵略的中国的文学作品,以唤醒和鼓励朝鲜青年。在当时恶劣的出版环境下,翻译的作品主要以报纸或杂志连载的形式出现,其中大部分是鲁迅的作品,翻译者们不是专业翻译家,而是热爱中国文学或在中国从事革命和文学活动的知识分子。此外,由于当时朝鲜广泛普及了日语教育,这一时期翻译的小说有许多是经过日语译本翻译成韩语的“重译本”。第二个时期指的是从1946年到1979年。韩国在1945年迎来光复,但由于国际冷战局势的紧张以及韩国国内左右翼斗争导致的政治混乱,1950年韩半岛爆发了韩国战争,造成了韩半岛的南北分裂。在六、七十年代,韩国实现了经济上的增长,但政治上仍然持续着军事独裁的状态。在这个时期,韩国同时进行着意识形态对立和争取自由民主的斗争。第二时期的翻译以台湾(及香港)作家带有反共倾向的作品为主,穿插有一小部分大陆新文学运动时期作家的作品。这一时期虽然翻译作品的数量大幅增加,但在主题方面存在着意识形态的偏向性。在这个时期,由于战后市场的不景气,翻译的中文小说大多以“全集”形式出版。此外,五、六十年代对林语堂作品的翻译以及七十年代对鲁迅小说的再翻译,是意识形态对翻译产生影响的典型现象。第三个时期从1980年到2001年,笔者定义这一时期为“开放期“,这一时期韩国和中国之间关系进入了新的阶段。1987年,韩国实现了民主社会转型,1992年,韩国和中国正式建立外交关系,第二年,韩国延世大学就举办了中国图书文化展览会,以此为开端,这一时期,文学作品的创作和出版环境都得到了极大改善,翻译的现代中文小说数量超过了前两个阶段的总和,达到了422种。在主题上摆脱了意识形态的限制,涵盖了大陆作家、台湾和香港作家的多种题材的小说的翻译。这一时期的翻译形成了“大陆——严肃文学”和“台湾——大众文学”两种不同的翻译倾向。此外,随着大众媒体的发展,电视剧和电影的影响力也在小说翻译出版领域体现出来,而专业中文小说翻译家的出现证明了中文小说出版市场的活跃。此外,从2000年开始,一些绘本小说和网络小说也被翻译成韩语。如上所述,本文希望探明韩国的政治、社会和文化氛围对二十世纪韩国现代中文小说翻译的重大影响。本文概述了韩国从二十世纪初到光复前期与革命论述相关的翻译、从光复后到七十年代末期具有浓厚冷战意识形态偏向性的翻译、以及从八十年代到二十一世纪交接时期超越意识形态的多样化和丰富的翻译,并对这些翻译情况进行了历史性和实践性的研究。本文通过对二十世纪韩国现代中文小说翻译活动的具体而系统的整理,期待为二十世纪韩国对中文文学的翻译接受史乃至韩国对外国文学接受史的描述做出贡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