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와 두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이야기 / An Art Therapy Experience Narrative between an Art Therapist and Two Adolesc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inquiry explored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two adolescents, Autumn (pseudonym) and Winter (pseudonym), who found it hard to suppress and express their emotions, led by a researcher as an art therapist. The therapist not only assisted them in depicting their emotionally frozen feelings through image work and enabling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freely but also purposed to discover their inner selves and creativity through the therapeutic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began by asking inquiry questions: first, what did the two adolescents and the art therapist experience in the therapy?; second,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art therapy for both of them?; and third, what was the value of this inquiry?The researcher adopt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by Clandinin and Connelly to effectively uncover the therapy experiences.The study involved two adolescents, Autumn and Winter, experiencing adolescence while attending elementary school—Autumn in the fifth and Winter in the fourth grade. From June to December 2022, the therapist conducted 24 sessions lasting 60 minutes over approximately six months and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he therapy experience of Autumn unveiled feelings of "Needing a protective mother," "Turmoil and confusion due to comparison," "Desire for acknowledgment," "Art was spring to me," and "The horror was gone" and Winter unfolded themes of "Anxiety about the mother," "Image work calmed my anxiety," "Seeking safety through images from memory," and "Discovering inner strength."Feelings of disappointment from their parents and existential crises significantly impacted both adolescents. Through art therapy, Autumn and Winter encountered new emotions and thoughts, expressing their stories through artwork. The therapist understood their feelings and inner worlds through their artwork, guiding them toward the warmth and freedom in spring. Through these experiences, Autumn and Winter gained confidence in accepting and expressing their emotions, showcasing their creativity, and experiencing personal growth.The experience of the two adolescents produce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ly, the image work lighted their sense of existence and revealed their inner selves. Secondly, art served as a bridge between fantasy and the world. Thirdly, they discovered the value of existence amidst pai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inquiry were as follows: Firstly, art therapy provided Autumn and Winter with a safe space to express their sense of existence and emotions through image work and emotional stability by visually expressing emotions. Secondly, art and imagery became to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dolescents' fantasy and the world, fostering therapeutic empathy through sharing images 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irdly, their art therapy helped them discover the value of existence amidst pai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experience, the adolescents confirmed the genuine role of the family, establishe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discovere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xpressing emotional desires and creativity in art. Consequently, it confirmed that art therapy was a practical method for adolescents' emotional expressi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self-development. In their art therapy, both adolescents experienced freedom from their false selves and got an opportunity to be mature. Consequently, it confirmed that art therapy was a practical method for adolescents' emotional expressi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self-development. In their art therapy, both adolescents experienced freedom from their false selves and got an opportunity to be mature.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인 연구자가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표현하기 어려워하 는 두 명의 청소년 가을이(가명), 겨울이(가명)와 함께 한 미술치료 경험을 탐구 한 것이다. 이 연구는 미술치료 과정에서 두 청소년의 차갑게 얼어붙은 감정을 이미지 작업으로 표현하고, 치료사는 따사로운 봄으로 다가가 두 청소년의 감정 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창조성을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첫째,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셋째, 본 연구의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갖고 연구를 시 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미술치료 경험을 잘 드러내기 위해 Clandinin 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에 다니며 사춘기를 겪고 있는 두 명의 청소년 초등학 교 5학년 가을이와 초등학교 4학년 겨울이로 2022년 6월부터 12월까지 각각 24회기로, 1회기 60분씩 약 6개월간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 이후 두 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을이와 미술치료 경험은 ‘나를 지켜주는 엄마가 필요해요’, ‘비교로 인한 혼란과 혼동’, ‘인정받고 싶어요’, ‘그림이 봄을 주네요’, ‘끔직이가 변했어요’ 이고, 겨울이는 엄마에 대한 불안’, ‘이미지 작업은 불안을 잠재운다’, ‘기억의 이미지를 통해 안전함을 찾다’, ‘내면의 힘을 찾다’로 이야기를 펼쳤다. 부모로부터 받은 좌절감과 자신의 존재적 위기감은 두 청소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감정들을 미술치료 과정에서 가을이와 겨울이는 새로운 감정과 생각을 탐색하며, 자신들의 이야기를 미술작품으로 풀어냈다. 치료사는 이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감정과 내면세계를 알아가고, 봄의 따스함과 자유로움을 경 험하도록 안내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가을이와 겨울이는 자신의 감정을 받아 들이고 표현하는데 자신감을 키우고, 자신들의 창조력을 발휘하며 성장할 수 있 었다. 두 청소년이 경험한 미술치료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했다. 첫째, 이미지 작업은 자기 내면을 비추어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다. 둘째, 미술 매체는 판타 지 세계와 현실 세계 사이의 가교(架橋) 역할을 하다. 셋째, 고통 속에서 존재의 가치를 발견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청소년 가을이와 겨울이가 표현한 이미지 작업을 통해 존재 감을 드러내며 자기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안전 기지를 제공해 주었다. 미술치료라는 안전한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그동안 스스로 알아차리기 어려웠던 자신의 감정을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알게 되면서 심리적인 안정을 찾았다. 둘 째, 미술 매체와 이미지는 두 청소년에게 상상의 판타지 세계에서 현실 세계로 소통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주었다. 두 청소년과 함께 시공간을 초월하며 이미지 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치료적 공명인 공감을 이야기하였다. 치료를 공유하는 미 술작업 과정은 그들에게 내면의 감정과 상상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친근하고 흥미로운 일상의 탈출구가 되어 현실 세계로 소통하는 도구가 되었다. 셋째, 두 청소년의 미술치료는 고통 속에서 존재의 가치를 알아차리게 하였고, 삶의 의미 를 발견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미술치료를 경험하고 살아가는 과정을 통해 가정 의 진정한 역할과 부모와 자녀의 원활한 소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서적인 욕구를 발현하여 창조적인 미술작업에서 드러나는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 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는 청소년의 감정 표현, 관계 형성, 자아 발 전을 도울 수 있는 유익한 치료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미술치료를 통해 두 청소 년은 거짓된 자아에서 해방되고 성숙함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