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래 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ADHD 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Activities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of ADHD Children’s Par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음악치료
노래 중심 음악치료
ADHD 아동 부모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노래 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ADHD 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의정부에 위치한 H병원 소속 사회성치료센터를 이용하는 ADHD 아동 부모 22명으로 실험집단에 10명, 통제집단에 12명씩 각각 무선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 60분씩 총 6회기의 노래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중재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 폼을 이용하여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척도와 부모 양육효능감(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척도 검사를 프로그램 시행 전후로 실시하였고, SPSS 26 프로그램에서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양육스트레스 점수와 부모효능감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노래 중심 음악치료 활동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부모효능감 점수가 노래 중심 음악치료 활동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래 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ADHD 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효과적인 중재로 작용한 것을 시사하고, 본 연구가 음악치료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여 ADHD 아동 부모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activities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of ADHD children's pare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 parents of ADHD children who used the social treatment center belonging to H Hospital located in Uijeongbu, and 10 were randomly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total of 6 sessions of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program once a week, 60 minutes each,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intervention. To measur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of study participa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scale and the Parenting Sense of Compatibility scal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paired sample t-test in the SPSS 26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scores and parental efficacy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s parenting stress scor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activities. Third, experimental group's parental efficacy score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nging-centered music therapy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of ADHD children's parents, an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usic therapy research for ADHD children's parents by expanding the scope of music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