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라마 경험을 통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hanges of Underachieved Students’ Self-Esteem Through Drama Experie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교육연극
드라마
학습지원대상학생
학습부진학생
자아존중감
의미 구성
드라마 프로그램 개발
Language
Korean
Abstract
Underachieved students have low self-esteem due to various difficulties that they have faced from the accumulation of learning failure experiences. Since low self-esteem has negative impacts on the general aspects of their life,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m to enhance their self-esteem. Under this situation, the investigator discovered that drama with it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was fit for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d students and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The investigator thus set out to organize a drama program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nd analyze its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participa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can a drama program be organized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B. What kind of effects does drama have on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The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with a self-esteem scale, as well. A total of ten underachieved students that were in the fifth-grade and participated in ‘Kidarisaem’ took part in a program, and four of them that met the research requirem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seven 80-minute sessions in total. Sessions 1~2 dealt with home-parents self-esteem; Sessions 3 social-peer self-esteem; Session 4 school-academic self-esteem; and Sessions 5~7 global self-esteem.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general ones of underachieved students were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 In its implementation process, the investigator gathered lesson transcriptions, individual interviews, observation logs, reviews after the program, and interviews with homeroom teachers to figure out their self-esteem. Data analys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drama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s they changed their self-perceptions. After experiencing drama, underachieved students conducted an inquiry into themselves actively with interest in themselves or accepted themselves as able and valuable beings in a positive viewpoint. Based on these,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rama structures of ‘aesthetic engagement’ and ‘critical detachment’ and the drama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spectator’, ‘mantle of the expert’, ‘achievable drama tasks’, and ‘drama events were effective for underachieved students making positive meanings about themselves. Secondly, drama was also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s they helped them recognize others positively. A person's self-esteem depends on his or he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at he or she finds meaningful and the attitudes that they have toward him or her. Drama offered underachieved students proper situations and roles, creating an opportunity for them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m and change their perceptions amicably. As a consequence, the underachieved students were able to form satisfying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ies, friends, and teachers and increase their home-parents, social-peer,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Finally, drama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s well, by providing them with experiences in the subjects of learning. In a common lesson scene, underachieved students would be left as the objects of learning due to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difficulties. The ‘multimodality’ and ‘aesthetic engagement’ of drama, however, provided specific contexts and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helping even underachieved students with low verbal skills and thinking abilities explore and express their ideas actively. As a result, they participated in drama with an active and voluntary attitude and perceived themselves to be independent and ab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By connecting drama to underachieved students in a way not tried a lot in the nation, the study validated the value and usefulness of drama as a measure to support underachieved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d a need to maintain and develop projects and policies to support underachieved students consistently and implied the possibilities of participant expansion to apply drama to student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may serve as a specific case to provide underachieved students with emotional support at the site in school. Various follow-up studies proposed in the study will hopefully advance the study further.
학습지원대상학생은 누적된 학습실패 경험에서 비롯된 다양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한다. 낮은 자아존중감은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드라마의 구조와 특성이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에 적합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드라마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것이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드라마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나.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실행되었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지를 활용한 양적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는 ‘키다리샘’에 참여하는 5학년 학습지원대상학생 10명이 함께하였고, 그중 연구 조건에 부합하는 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7회기(회기당 80분) 분량이며, 1∼2회기는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3회기는 사회적 자아존중감, 4회기는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5∼7회기는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다룬다. 프로그램 구성 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자의 개별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였고, 실행 과정에서는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을 파악할 수 있는 수업 전사 자료, 개별 면담 자료, 관찰일지, 사후 소감문, 학급담임 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이 자아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드라마를 경험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자기탐색을 하거나, 긍정적인 관점에서 자신을 유능하고 소중한 존재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몰입’과 ‘거리두기’로 이루어지는 드라마 구조와 ‘자기-관객’, ‘전문가의 망토’, ‘성취 가능한 드라마 과제’, ‘드라마 이벤트’ 등의 드라마 특성은 학습지원대상학생이 자신에 관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이 타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한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그가 의미 있게 여기는 타인과의 관계와 그들이 보이는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에게 적절한 상황과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스럽게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그들에 대한 인식을 우호적으로 변화시키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지원대상학생은 가족, 친구, 교사와 만족스러운 관계를 맺을 수 있었고, 그들의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향상되었다. 셋째,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에게 학습 주체의 경험을 제공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수업 장면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인지적·정의적 어려움으로 인해 학습의 객체로 남겨지곤 했다. 그러나 드라마의 복합양식성와 미적 몰입은 구체적인 맥락과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언어능력과 사고력이 낮은 학습지원대상학생도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표현하도록 도왔다. 덕분에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자세로 드라마에 참여하며 자신을 주체적이고 유능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살펴보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시도되지 않았던 드라마와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연계함으로써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 방안으로 드라마의 가치와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 사업 및 정책의 지속적인 유지와 발전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에게 드라마를 적용할 수 있다는 참여자 확장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언에서 제시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고 확대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