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재난관리체계
재난관리방식
재난관리 협력체계
재난관리체계 효율화
Language
Korean
Abstract
재난은 일정 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정부의 대응은 일차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재난에 대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마다 재난관리가 다른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고, 재난 관련 조직의 형태로 다른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그 피해가 컸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효율화를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비교·분석을 활용하였다.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분석을 위한 요인으로 통합성, 학습성, 협력성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를 비교·분석하여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 니가타현의 쥬에쯔 지진, 경기도 메르스, 서울특별시 우면산 산사태를 재난대응 사례로 선정하였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발생 당시와 그 후의 재난관리체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 지방자치단체 간 비교·분석을 통하여 재난관리체계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및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해서는 통합 재난관리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통합된 재난관리가 이뤄져야 효과적인 재난대응이 이뤄질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재난관리에 있어서 협력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 및 재난 관련 기관 간의 협력체계뿐만 아니라 민간 영역인 지역 주민, 시민단체, 지역 기업 등과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구축은 재난대응의 효과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Since disaster occurs in a certain area, the government's response is primarily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However, until now, Korea has been leading the disaster management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and disaster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by other local governments in other ways. In the form of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There are other situations. Therefore, it is evaluated that the damage is great every time a disaster occurs, and it is time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his study, comparison and analysis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re utilized to present the efficiency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by analyzing the integration, learning, and coope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Juetsu Earthquake in Niigata Prefecture, Mies in Kyunggi Province, and Woomyunsan Mountain Lands in Seoul as disaster countermeasur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t and after the disaster. In addition, a comparison of the three local governments is presented to suggest ways to streamlin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Major research contents and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he case analysis, it is understood that effective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only by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in disaster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 residents, civic groups, and local companies, as well as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disaster - related organizations, was analyzed as a positive effect of disaster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