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성평등 인식과 행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주관적 삶의 질
양성평등 인식
양성평등 행동
기혼취업여성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혼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양성평등 인식과 양성평등 행동이 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자료의 30세부터 60세 미만의 기혼취업여성 602명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t-test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기혼취업여성의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 건강상태, 직장 내 성차별, 양성평등 수 준 인식, 여성에 대한 폭력의 심각성, 폭력 목격 시 대응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장 내에서 성차별이 없을수록, 우 리 사회의 양성평등 수준이 남녀가 평등하다고 인식할수록, 여성에 대한 폭 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폭력을 목격하였을 시 대응에 있어 직접 개입을 할수록 삶의 질이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취업여 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방향으로는 첫째, 전통적인 가부장제 성 역할에서 벗어나 성평등을 위한 인식 개선 및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둘 째, 성평등 사회 구현을 위해 직장 또는 가정 내 분위기가 변환되어야 할 것 이다. 셋째,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양성평등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남성 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한 양성평등 교육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