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hesive features in argumentative writing by Korean EFL student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 한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능력에 따른 결속장치 사용 양상 연구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argumentative essay
cohesion
cohesive devices
L2 writing
논설문
결속성
결속장치
영어 학습자 글쓰기
Language
English
Abstract
텍스트를 하나로 응집하는 결속성(cohesion)과 일관성(coherence)은 좋은 글을 쓰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외국인 영어 학습자에게는 영어 능숙도와 모국어의 영향 등의 방해 요소들로 인하여 결속성이 있는 영어 글쓰기를 하는 것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보다 어려운 일이다. 외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글의 결속성을 어떻게 이루는지 알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그들의 결속 장치 사용을 분석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이 하나의 영어 능숙도 수준에만 집중하였으며 여러 수준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결속 양상을 다룬 연구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글의 결속성을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며 그것이 영어 능숙도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네개의 영어 수준 집단으로 분류된 148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논설문에서 나타난 결속 장치 사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과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의 결속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원어민 학생 37명의 논설문이 선정되었다. 분석을 위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글은 연세대학교 신입생들의 글로 구성된 Yonsei English Learners Corpus (YELC)에서 무작위로 선택되었고, 원어민 학생들의 글은 영국인 및 미국인 대학생들의 글을 모아 놓은 LOCNESS에서 추출 되었다. 그리고 선택된 각 글에서 사용된 지시어, 접속어, 어휘적 결속 세 가지의 결속 장치들과 그 하위 항목들을 찾고 분석하여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결속장치의 잘못된 사용을 찾아 영어 능숙도에 따라 외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았다.그 결과, 글을 쓸 때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결속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영어 능숙도에 따라 유사점과 차이점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이 어휘적 결속, 지시어 그리고 접속어 순으로 결속장치를 사용하였고, 외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가 향상됨에 따라 결속장치 사용 빈도가 원어민 학습자와 유사해지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더욱 세밀한 분석을 통해 지시사, 연어 그리고 어휘 반복과 같은 장치의 사용은 영어 능숙도 수준이 높은 학습자라도 원어민 학생들과는 다른 사용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원어민 학생들에 비해 모호한 지시사 형태를 더 많이 사용하며 제한된 어휘 목록의 반복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속장치의 잘못된 사용 빈도 또한 영어 능숙도의 향상에 따라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 수준과 함께 결속장치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 또한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영어 수준과 상관 없이 정관사와 연어의 올바른 사용은 모든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어려워하는 부분이었다.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작문에서 나타나는 결속성 양상과 약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영어 능숙도에 맞춘 효과적인 결속장치 사용 및 글쓰기 교수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Among the different features of good writing, cohesion and coherence are considered crucial factors, as they bind a text together as a whole. Writing a cohesive text in English can be a more arduous task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than for native speakers, due to certain barriers such as different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and L1 interference. In an attempt to find out how nonnative English learners achieve cohesion in their compositions, their use of cohesive devices has been investigated in many studie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was focused on students of a single proficiency level, and studies on the cohesion pattern of Korean learners of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have been particularly scarce. In order to find out what strategies Korean EFL students employ to keep their writing cohesive, and how they are affected by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148 Korean EFL students of four proficiency levels. Also, 37 native English speakers’ essays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cohesion patterns of nonnative and native students. The nonnative learners’ essays were randomly chosen for analysis from the Yonsei English Learners Corpus (YELC), and the native speakers’ essays were chosen from LOCNESS. Three types of cohesive devices – reference, conjunction, and lexical cohesion – and their subtyp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in the essays. In addition, erroneous uses of cohesive devices were exa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weaknesses of the EFL learner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Korean EFL students of different proficient levels employ cohesive devices in their writings. Among all the levels, lexical cohesion was found to be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reference and conjunction. Meanwhile, the frequency of each type of cohesive devices dropped as proficiency level advanced, moving closer to that of the native writers. However, it was revealed through a more detailed analysis that devices such as demonstratives, collocation and repetition were used in ways that differed from how native writers employed them, even by the higher proficiency level nonnative students. The nonnative students tended to use more vague forms of demonstratives than the native students, and rely heavily on the repetition of a limited set of lexical items. The number of wrongful uses of cohesive devices displayed a declining pattern as well, as proficiency level advanced. This suggests that the more advanced the Korean EFL students become in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more skilled they become at employing cohesive devices correctly and effectively. However, the nonnative students of all levels appeared to have difficulty with the proper use of the definite article and collocation.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usage pattern and weaknesses of EFL students in achieving cohesion in their writings. The current study will also provide some useful insights into some ways that cohesive devices can be taught effectively to EFL students.